2차 업그레이드 큰 돈 썼다. 그래픽카드도 샀지, 리안리도 샀지. 그래 스트리머까찌 다 구매하자해서 그냥 다 카드로 불러들였다.
어차피 조립 해야되는거 한방에 가기 위해서!
리안리 24P (메인보드 전용)
리안리 16-12 (또는 12V 2X6) 그래픽카드
리안리 UNI FAN TL Wireless LCD 120 리버스 3팩 컨트롤러 포함
리안리 팬 TL , SL, 2가지로 분류된다. 또한 여기서 LCD 표기가 되있야 안되있냐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니 꼭 구매하실때 다나와에 물어보고 구매하시길
한가지 팁을 드리자면 V2 PLUS 약자가 들어간건 구매하지마세요
ARGB를 별도 연결해줘야 합니다. 비용이 더 들겁니다.
요즘 시대인 시대인만큼 최신꺼 쓰세요!
일단 다 개봉 해봤습니다.
리안리 STRIMER WIRELESS 24핀 케이블 (PW24-1W, 0.26m) 구매
메인보드 연결 후 컨트롤러로 조작 가능
리안리 STRIMER WIRELESS 12V-2X6 WIDE 케이블 (PW16-121W, 0.34m)
그래픽카드에 연결 후 컨트롤러로 조작 가능
리안리 STRIMER WIRELESS 12V-2X6 케이블 (PW16-81W, 0.34m)
2가지 모두 그래픽카드 케이블이지만 크기가 다릅니다.
PW16-121 12개 줄이 있다는 뜻
PW16-81 8개 줄이 있다는 뜻 차이입니다.
이때 와이드가 더 좋은거 아냐 하실텐데 절대 아닙니다!
예를 들면 와이드 구매후 조립시 케이스 공간 (케이블 뺴는 공간)이 작아서 사용 못할수도 있으니
꼭 크기를 확인하시어 본인 케이스에 맞는 케이블을 구매하셔야 합니다.
커세어 7000X RGB 경우, 12V WIDE 를 뒤쪽으로 뺼려고 하니. 공간이 너무 작아서 조립을 못할뻔 했습니다 (머 우여곡절 끝에 조립하긴 했지만요)
또 그중에서 2가지가 있는데 비싼건 컨트롤러가 있다는 뜻이며, 저렴한건 컨트롤러 없음
리안리 스트리머 24핀은 문제가 없으나, 그래픽카드 12V 연결케이블이 약간 단점이 있더라구요
너무 힘을 주고 그래픽카드에 꼽으면, 안쪽에 있는 12V 안쪽으로 쏙 들어가서, 나사를 풀어서 재조립 해줘야 합니다.
또한 12V 방향을 역방향으로 바꾸고 싶을 경우, 모든 클립을 분리하여 뒤집어서 재조립해주면 됩니다.
리안리 팬에도 진짜 여러가지 있어서 처음에 좀 헷갈리더라구요.
일단 120mm 팬, 140mm 팬으로 분류 되며 또 여기서
WIRELESS , 유선 이렇게도 분류가 됩니다.
TL Wireless 제품은 26개의 LED가 장착된 듀얼 존 조명 효과이며 0.7mm에 인피니티 미러가 탑재가 되었습니다.
SL Wireless 제품은 40개의 LED가 장착된 듀얼 존 조명 효과 스타일입니다.
스펙이 서로 다르며 풍량과 풍압이 TL Wireless 제품이 더 상위 모델입니다.
(출저 : 서린씨앤아이)
리안리 UNI FAN TL Wireless (RGB 지원 색상만 나옴)
리안리 UNI FAN TL Wireless LCD 120 (RGB, 팬 중앙에 온도, 영상 출력 가능)
리안리 UNI FAN TL Wireless LCD 120 리버스 (RGB, 팬 중앙에 온도, 영상 출력 가능, 공기 흡입)
리안리 UNI FAN SL Wireless (RGB 지원 색상만 나옴)
리안리 UNI FAN SL Wireless LCD 120 (RGB, 팬 중앙에 온도, 영상 출력 가능,)
리안리 UNI FAN SL Wireless LCD 120 리버스 (RGB, 팬 중앙에 온도, 영상 출력 가능, 공기 흡입)
리안리 UNI FAN SL-INF 120 RGB (2023년 출시)
자고로 전 측면에 설치하기 위해서
리안리 UNI FAN TL Wireless LCD 120 리버스를 3팩 (컨트롤러 포함) 구매 햇습니다.
구성품으로 3팩 팬, 컨트롤러, 컨트롤러 케이블, 무선 리시버 (전원 케이블), 12V SATA 케이블이 동봉되어 있습니다.
L-WIRELESS 컨트롤러를 외부 USB에 연결한다면 바로 조립하시면 됩니다.
만약 컨트롤러를 내부에다 넣어 숨김처리 하고 싶으실 경우, 컨트롤러 케이블을 메인보드와 연결해주셔야 합니다. 이때 USB 헤더 1개가 필요로 합니다.
원래 이랬는데....
리안리 패밀리 24핀, 12핀, 3팬 리버스 조립하다보니 이런 세상이 되버렸네요.
케이블 정리 포기 햇습니다. 닫히는것만으로도 감사 하더군요.
자고로 6개 HDD, ICUE, TRYX 수냉쿨러, TURZX 보조화면, 모두 연결하기 위해서는 USB 헤더가
부족하여 헤어 확장 허브를 별도로 구매해야만 했네요.
만약 부족하게 될시 USB 헤더 확장 허브를 구매 하세요
일단 정상적으로 제대로 다 들어오는지 테스트 하기 위해 대충 조립
L-CONNECT 3 설치 후 실행한 모습입니다.
SYSTEM INFO 제 컴퓨터 사양~!
수냉 쿨러 프로필을 볼 수 있구요.
QUICK / SYNC 는 RGB 효과를 주는 셋팅 섹션이며, 이외에도 속도 , 밝기, 방향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L-WIRELESS 유틸리티 섹션에는 RGB 효과를 좀 더 세밀하게 셋팅 하는 공간이자, 팬 정중앙에 있는 LCD 화면에 GIF, 영상을 직접적으로 넣어 색다른 연출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팬 중앙에 있는 LCD SCREEN 클릭 하시면
아래의 사진처럼 JPG, GIF 움짤, MP4 영상, 센서,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 VIDEO MP4 를 선택 후 영상을 3개 넣었습니다.
제일 하단에 GROUP 있습니다.
각개별 화면에 따로 넣어줄건지, 묶어서 넣어줄건지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즉 각개 전투로 영상을 출력할건지, 3개의 화면에다 1개의 영상을 보여줄건지 셋팅값임
영상이 반대로 나온다? 옆에 있는 회전버튼을 이용하세요
GIF 가 아니라 영상을 넣은 모습입니다.
아래에는 같이 연결 했던 STRIMMER 24핀, 12V ARGB 각 서로 다르게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L-WIRELESS SYNC 묶은 처리 방식입니다.
리안리 WIRELESS 케이블, 팬들은 서로 각개별로 채널에 묶어서 다르게 연출할 수 있게 도와주는 섹션입니다.
예를 들면 채널 1번에 24V, 측면 팬
채널 3번에 12V, 후면 팬 이렇게 말이죠
그리고 오직 리안리 제품에서만 활용 가능합니다.
SETTING 섹션에는
리안리가 연결된 케이블, 팬 이름 변경, 순번 변경, RGB 테스트를 할 수 있었습니다.
머 정상적으로 잘 작동되고 있으니 ㅎㅎㅎ
현재 컴퓨터 내부 모두 SYNC화 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서로 브랜드가 각자 다르다 보니, SYNC 효과는 RAZER, 리안리 2가지로 사용하고 있네요.
RAZER SYNC 경우, 애즈락 메인보드, 키보드, 지스킬 램, TRYZ 수냉쿨러, 조텍 그래픽카드가 모두
한묶음으로 SYNC 가 되는 반면
리안리는 그냥 홀로 놀구 있습니다.
이유는 WIRELESS 시리즈 경우에는 메인보드 SYNC 호환되지 않는다고 하는데요.
그러나 모두 SYNC 할 수 있습니다. SignalRGB 무료 프로그램을 설치하시면 됩니다.
또는 OpenRGB 프로그램을 쓰셔도 되요 (이건 안써봤어요 ㅜㅜ)
단 현재 바이러스가 살짝 잡히는 경향이 있어서 ㅜㅜ
아래 보시면 메인보드, 마우스 외에도, 독거미 키보드까지 모두 SYNC 로 잡히며, 해외유저들도
커세어, 리안리로 조립하더라도 잘 된다고 합니다.
이건 2주전에 SignalRGB 로 음악 파형에 따라 RGB SYNC 효과를 준 모습인데 잘 되죠?
(볼륨 크게 하셔야 들려요)
그냥 RGB 잡히는건 다 잡힌다고 보시면 됩니다.
다만 앞서 말씀드렸다 싶이 SIGNALRGB 는 지금 조금씩 잡아가는 느낌이며, 영어 또는 소프트웨어쪾으로 좀 잘 다를줄 아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