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기능(WiFi, 4/5G 모바일 데이터 등)을 탑재한 기기들(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스마트TV 등)의 기능 활용 및 부족한 저장 공간을 확보, 확장할 수 있는 여러가지 방법 중 네트워크 스토리지 서버(NAS : Network Attached Storage)를 최근 많이 사용하고 있다.
대용량 스토리지 구성과 초고속 인터넷 보편화 그리고 NAS의 가격이 많이 내려오면서 이제 개인이 집에서도 홈 나스(NAS)를 직접 운영할 수 있는 조건과 환경이 좋아진 것이 가장 큰 이유이다. NAS는 기본적으로 데이터 업다운을 통해 중요한 자료를 백업하거나 다이렉트 재생 혹은 스마트기기에 다운로드하여 다른 플레이어로 재생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비슷한 서비스로 클라우드 서비스가 있긴 하지만 저장 공간의 제약과 함께 유료로 사용해야 해야 하기 때문에 50TB 이상으로 구성이 가능한 개인용 NAS와 비교 대상이 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
NAS 만큼 편리한 서비스가 클라우드 백업 서비스이긴 하지만 유료로 사용해야 해서 일단 구축해 놓으면 유지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홈 NAS가 조금 더 메리트가 있다.
다양한 개인용 NAS 디바이스 중 큐냅에서 출시한 QNAP TS-464-4G-KR(실시간 690,000원)은 동급 타사 제품 보다 19.4% 빠른 인텔 셀러론 N5095 CPU를 탑재하고 있으며 4GB RAM, 2.5GbE 랜포트 2개를 탑재하여 강력한 퍼포먼스의 NAS 서버이다. 합리적인 가격의 병목현상 없는 빠른 네트워크 속도로 언제 어디서나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접근하여 일상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게 해준다.
M.2 NVMe SSD와 3.5" HDD 슬롯이 혼합된 NAS로 시스템 볼륨을 지원하며 SSD의 경우에는 캐시 기능 사용으로 조금 더 빠른 전송속도로 데이터를 복사, 이동할 수 있다.
NAS용 3.5"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는 씨게이트 Ironwolf Pro NAS HDD(실시간 866,440원)를 사용하였다. 각각의 용량은 24TB로 총용량은 96TB가 되는 대용량 저장 공간을 구성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QNAP NAS에서 사용 시 데이터 상태 보호 기능(IHM)을 지원한다.
IHM를 통해 3단계 상태 모니터링으로 데이터를 적극적으로 보호하여 중요한 자료 유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2개의 RV 센서가 진동을 감지하여 움직임을 스스로 보정하며, 시스템에서 일관적인 데이터 확인 정확도와 손상 방지를 지원하여 최상의 시스템 상태를 유지해 준다.
또 다른 특징으로는 3년 내 1회에 한하여 데이터 복구 서비스를 지원하며, 제품 보증은 5년으로 고성능 SSD와 비슷한 수준으로 제공하고 있다.
씨게이트 NAS 하드디스크는 씨게이트에서 제공하는 레스큐 데이터복구 서비스를 3년 내 1회를 이용할 수 있다. 데이터 복구 서비스는 업게 최고 수준의 신뢰성으로 평균 복구 성공률이 무려 90% 이상을 자랑하면서도 이 모든 데이터 복구 비용이 무료라 비용 걱정 없이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보안 및 중요한 파일을 많이 다루고, 스토리지 백업하여 보관하는 분들에게는 매력적인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QNAP TS-464-4G-KR 홈 NAS 스펙
CPU : 인텔 셀러론 N5095 쿼드코어 2.9GHz
시스템 메모리 : 4GB
최대 메모리 : 16GB(2 x 8GB)
메모리 슬롯 : DDR4 메모리 슬롯 2개
플래시 메모리 : 4GB(듀얼 부트 OS 보호)
드라이브 베이 : 4 x 3.5" SATA 6Gb/s
M.2 슬롯 : 2 x M.2 2280 PCIe 3x1
USB : 2 x USB 3.2 Gen2 / 10Gbps
이더넷 포트 : 2.5기가비트(2.5G/1G/100M/10M)
기타 : 4K HDMI 2.1 출력 지원
3.5인치 하드 디스크 4베이를 지원하는 고성능 NAS 답지 않게 컴팩트한 사이즈라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아 협소한 공간에서도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전면에는 전원 버튼, USB 포트, USB 복사 버튼이 우측에 위치한 심플한 모습으로 좌측에 있는 커버를 분리가 가능하다.
측면에 부착된 스티커에는 클라우드 및 초기 세팅을 위한 서비스 포털과 환경 설정을 위해 필요한 로그인 정보가 표기되어 있다.
NAS 후면에는 대형 냉각팬 공기순환구가 위치하며, 좌측에는 활용 가능한 다양한 포트가 배치되어 있다. USB 3.2 Gen2 포트, USB 2.0 포트, HDMI 2.1 포트, 2.5기가비트 이더넷 포트, 전원 단자, 리셋홀 등으로 중요한 포트는 모두 후면에 자리한다.
지원 포트는 유무선 키보드, 마우스, HDMI 모니터를 연결하여 마치 PC처럼 사용할 수 있다.
HDD & SSD를 설치하려면 전면 커버를 분리해야 한다. 분리하는 방법은 우선 측면의 열림/잠금 스위치를 올린 후에 커버를 우측으로 당기면 쉽게 분리된다.
4개의 HDD 베이는 레버를 잡고 누른 상태에서 잡아 당기면 쉽게 분리할 수 있다.
SATA 6Gb/s 속도를 지원하는 SATA3 슬롯이 내부 기판으로 깔끔하게 디자인되어 있으며, 그 뒤로는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대형팬이 장착되어 있다.
3.5"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장착하는 브라켓은 모두 4개로 원터치 방식으로 쉽게 장착할 수 있으며, 재질은 플라스틱이다.
좌우에 있는 브라켓 지지대를 잡고 바깥쪽으로 잡아 당기면 쉽게 분리가 된다.
분리된 상태에서 HDD를 브라켓에 넣고, 분리한 지지대를 다시 결합하면 나사가 없어도 쉽게 빠지지 않는다. 작동 중 조금 더 견고하게 장착하고 싶다면 구성품으로 제공하는 나사를 이용하여 한 번 더 고정해 주면 된다.
4개의 HDD 브라켓에 설치한 씨게이트 Ironwolf Pro NAS 24TB HDD이다. QNAP TS-464 NAS의 경우에는 HDD로만 구성할 수 있는 스토리지 용량을 최대 16개의 하드 드라이브로 확장할 수 있으며, RAID5 구성 시 2개의 3.5인치 24TB HDD를 설치하여 최대 72TB의 저장용량으로 구성할 수 있다.
HDD 브라켓에 설치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는 각각의 베이의 홈에 맞춰 넣고, 안쪽으로 천천히 밀면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다. 끝까지 밀어 넣으면 딱~~하는 소리와 함께 SATA 포트에 결합이 되므로 소리를 반드시 확인하자.
M.2 NVMe SSD는 QNAP TS-464-4G-KR 세웠을 때 우측의 슬롯에 설치할 수 있다. 총 2개의 슬롯을 제공하며, 나스를 분리하지 않아도 설치할 수 있어 HDD에 추가하여 용량을 늘리고 싶을 때 유용하다.
USB 3.2 Gen2 포트에 외장 HDD/SSD를 연결하면 외부 장치(크루셜 X8 1TB 외장 SSD)로 인식하여 자동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USB 무선 랜카드를 USB 포트에 꽂으면 유선랜 외에도 와이파이로 사용할 수 있다. 유선랜으로 연결할 수 없는 환경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다.
전원버튼을 누르면 부팅이 되며, 부팅 시간은 장착한 하드 디스크 수와 용량에 따라 달라진다. 길게는 몇분이 소요되므로 여유를 가지고 기다릴 필요가 있다. 그리고 PC에 QNAP Qfinder Pro 프로그램을 설치해 준다.
처음 연결 시 주의할 점은 공유기에 NAS 장치와 PC가 반드시 같이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야 QNAP Qfinder Pro에서 NAS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등록해 주며, 프로그램에 리스트로 올라와야 초기 세팅 작업에 들어갈 수 있다.
자동으로 인식한 NAS 서버를 더블클릭하면 초기 설정 화면으로 넘어가 기본 세팅을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설정은 초기 admin 계정을 비활성화하고, 나만의 새로운 계정을 생성하여 ROOT 권한으로 제어할 수 있는 설정이다.
초기 설정에서 생성한 계정으로 로그인하면 QTS 운영체제의 메인 화면을 로딩된다.
컨트롤 패널로 들어가면 시스템, 권한, 네트워크 및 파일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등 주요 기능과 서비스, 앱 등을 확인할 수 있어 대략적으로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알 수 있다.
QTS에는 활용 가능한 다양한 앱을 지원하며, 환경에 맞게 필요한 앱을 설치하여 기능 확장 및 편리하게 데이터를 관리,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안드로이드 디바이스처럼 앱을 추가하여 기능을 확장함으로써 마치 PC처럼 활용할 수 있다.
NAS 내부에 설치한 SSD, HDD는 모두 정상적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스토리지 및 스냅샷 앱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SSD, HDD 각각의 용량을 정확하게 인식하며 인터페이스, 용량 등도 스펙과 동일하다. 상태 또한 모두 양호한 상태로 총 6개의 스토리지를 어떻게 구성하여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세팅할 차례이다.
장착한 저장장치의 성능 테스트를 진행해 보면 M.2 SSD는 800MB/s 중후반대의 읽기 속도가 나오고 있으며 HDD는 200MB/s 중후반대의 읽기 속도를 보여주고 있다.
스토리지 세팅은 스토리지 풀을 만들고, 볼륨을 생성하는 과정으로 중요하고 보안이 요구되는 기밀 파일을 NAS로 자주 백업하고 다시 다운로드하여 사용한다면 RAID로 구성하여 만일에 대비하는 것이 좋다. 레이드(RAID) 유형은 단일, JBOD 외에도 RAID 0/1/5/6/10/50/60을 지원하여 저장장치를 누구나 쉽게 레이드로 구성하여 안정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스토리지 풀을 생성하고 난 후에는 사용할 볼륨을 만들면 스토리지 작업은 끝나게 된다. 볼륨 용량은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풀 용량 설정을 누르면 전체 용량이 볼륨으로 할당이 된다.
그리고 볼륨 암호화 기능을 지원하여 외부에서 네트워크로 접속 시, 해킹으로부터 일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그 외 보안 기능으로는 포괄적인 권할 설정과 보안 조치를 제공함으로써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멀웨어 및 해킹과 같은 위협으로부터의 NAS 보호를 보장해 준다.
볼륨 생성까지 끝나면 스토리지 폴 아래에 책정한 용량의 볼륨이 생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스냅샷 기능은 측정 시점으로 상태를 그대로 다시 복원하는 기능으로 스냅샷 관리자를 통해 설정할 수 있으며, 자동 스냅샷 기능을 이용하면 복원할 때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스토리지, 스냅샷 설정까지 모두 완료했다면 이제 외부에서 NAS 서버에 접속할 사용자 계정과 권한을 설정해야 한다. 이것은 사용자 만들기에서 할 수 있으며, 개별적으로 공용 폴더나 특정 폴더에 권한을 다르게 부여함으로써 사용자를 유연하게 관리할 수 있게 해준다.
위에서 세팅한 6개의 저장장치의 온도와 기타 장치 정보는 하드웨어 정보에서 확인할 수 있다. M.2 SSD는 40~43도 사이, SATA 하드 디스크는 40도 초중반에서 안정적으로 구동하고 있다. 저장장치에 대한 더 상세한 정보를 확인하고 싶다면 스토리지 및 스냅샷의 스토리지 - 디스크/VJOB에서 개별적으로 보면 된다.
리소스 모니터를 통해 시스템 리소스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어 NAS를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위에서 세팅한 스토리지에 데이터를 저장해야 한다. 저장방법은 FileStation 5로 할 수 있으며, 파일별 폴더를 만들고 그 폴더에 파일을 드래그하여 업로드하거나 상단의 ↑ 드롭다운 메뉴를 클릭하여 파일, 폴더 단위로 데이터를 선택하여 업로드하면 된다.
직접 생성한 공유폴더는 사용자별로 별도의 권한 설정도 줄 수 있으며, 잠깐 사용하는 게스트 계정에도 임시 권한을 부여하여 운영할 수 있다.
PC에서 NAS 스토리지로 파일을 전송해 보면 최대 속도가 92MB/s까지 나오는데~ 파일 전송 속도는 랜 케이블 규격, 사용하는 공유기 설정 등에 따라 조금씩 달라질 수 있다. 최고 속도는 110~120MB/s 사이.
파일 전송이 완료되면 생성한 폴더에 전송한 파일이 저장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렇게 업로드된 데이터는 NAS 서버에서 구동이 가능한 다양한 서버,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서 접속할 수 있다. SMB 서버, AFP 서버, FTP, NFS 서버가 가장 대표적이며 DDNS를 통해 외부에서 접속하는 방법도 있다. 스마트폰, 태블릿 PC에서는 Qfile Pro라는 모바일 앱을 설치하여 NAS 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내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앞에서 생성한 공유 폴더를 네트워크 폴더로 생성에서 윈도우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SMB 기능이 가장 빠르게 접속할 수 있는 방법이다.
파일 전송은 물론 NAS 서버에 저장된 다양한 파일들을 빠르게 제어할 수 있고, 영상 파일의 경우에는 재생까지 가능하여 가장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myQNAPcloud Link를 통해 외부에서 안전하게 NAS 접속하려면 QTS 화면에서 먼저 myQNAPcloud 설정을 해줘야 한다.
Qfile Pro 앱을 스마트폰에 설치하면 모바일 기기에서 NAS 서버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장치 주소 혹은 myQNAPcloud 이름을 입력하고 NAS 사용자 이름과 NAS 암호(사용자 계정)를 입력하면 공유폴더로 바로 들어가 다양한 데이터를 쉽게 다운로드하고, 재생할 수 있게 된다.
Qfile Pro는 모바일 기기에서 NAS 파일에 액세스하기 위한 필수 모바일 앱으로 모바일 사진, 비디오 및 문서를 NAS에 백업하기에 가장 좋은 앱이기도 하다.
NAS 스토리지에 저장된 영상, 음악, 사진 파일 외에도 기타 텍스트 파일 등을 자유롭게 다운로드, 업로드할 수 있다. 영상, 음악 파일은 스마트폰으로 다운로드해 재생할 수 있으며, 링크를 통해서 공유할 수 있다.
Qfile Pro 앱이 아닌 다른 앱으로 다운로드하거나 열어서 시청할 수 있다. 영상을 더블클릭하면 플레이어가 실행되며 자막과 함께 고화질로 영상 시청이 가능하여 활용도가 높다.
Mac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유저들은 AFP 서버를 통해서 빠르게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에서 Apple 네트워킹(AFP)로 들어가 AFP 활성화에 체크하고 적용을 누른다.
AFP 서버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맥북, 아이맥 등에서 서버연결에 NAS 서버 아이피 주소를 입력하고 연결을 누른다. 그러면 사용자 계정으로 접속할 수 있는 팝업창이 뜨며, NAS 등록한 사용자 계정을 넣으면 바로 연결이 된다.
AFP 서버로 들어가면 각 스토리지에 생성한 공유 폴더 모두와 외장 SSD를 볼 수 있다. 하나의 폴더를 선택해서 들어가면 생성한 다양한 컨텐츠 폴더가 보이며, 내가 원하는 데이터가 있는 폴더로 들어가 다운로드, 업로드, 재생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NAS에 저장한 동영상 파일을 더블클릭하면 네트워크로 연결된 상태에서 고화질로 영화, 드라마, 애니 등을 감상할 수 있어 용량이 큰 동영상 파일을 맥북에 저장하지 않아도 된다.
영상을 재생했을 때의 최고 온도는 36.7도이며, 보통 30도 내외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대기전력은 1.6W이며, 6개의 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영상을 재생하면 최대 48.8W까지 전력을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QNAP TS-464-4G-KR는 HDD 4베이, M.2 SSD 2베이 지원으로 최대 6개의 저장장치를 장착하여 대용량 NAS 서버로 운영할 수 있는 고급형 NAS이다. 큐냅의 NAS의 가장 큰 장점은 앱 센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앱들을 설치하면 기능 확장을 넘어 마치 PC처럼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한 자료 백업, 그리고 직장인이라면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편리한 멀티미디어 관리, 보안 강화, 협업 지원 등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하며 스마트폰이 내부 공간이 사진과 영상으로 가득 차 있다면 백업하여 내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인텔 UHD 내장 GPU를 통해 스트리밍이 가능하고, USB/HDMI 포트를 이용하면 NAS를 PC처럼 활용할 수 있어 활용도를 높여준다.
단점이라면 부팅 속도가 느려서 기다려야 하며, 하드 베이 소재가 알루미늄이 아닌 플라스틱이라 내구성과 발열에 있어서 아쉽다는 것이다. 단점보다 장점이 많은 NAS 디바이스로 대용량 저장공간으로 구동이 가능한 고급형 개인용 NAS, 홈 NAS를 찾고 있는 사용자들이라면 고려해 봐도 좋을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