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사용기

망분리 된 직장에서도 편리하게 컴퓨터 쓰는 법, 강원전자 KVM

IP
2025.09.20. 22:45:00
조회 수
77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강원전자 KVM과 삼성 갤럭시의 DeX를 이용한 직장 내  딴짓 생산성 향상 방법 제안


본 사용기는 강원전자의 제품 지원을 받았습니다.
pdf 로 보시면 더 편하게 보실 수 있습니다. 링크 

초록

본 사용기는 인터넷 차단(에어갭) 오피스 환경에서 외부 참조·딴짓 전환의 제약을 완화하기 위해, 스마트폰 기반 Samsung DeX와 강원전자 KVM 스위치를 결합한 데스크톱급 입력·출력 구성을 제안하고 사용성 평가를 수행한다. 제안 구성은 단일 모니터·키보드·마우스를 다중 단말과 공유하는 KVM의 스위칭 특성을 활용하여, [USB C 허브, HDMI, KVM] 연계를 통해 추가 도킹 없이 DeX 구동과 입력 자원 공유를 구현한다. 모사된 에어갭 환경에서 전환 지연, 입력 일관성, 표시 해상도, 연결 복원성 등 핵심 지표를 다른 대안과 비교하였다. 평가 결과, KVM의 일관적 자원 공유와 DeX의 데스크톱형 UI에 힘입어 전환 마찰이 감소하고, 소형 화면·무자판 입력의 불편이 유의하게 완화되어 맥락 유지와 전환 비용이 동시 개선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본 구성은 조직 보안 정책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개인 스마트폰의 데스크톱화를 통해 생산적 전환과 비업무 전환 모두의 사용자 경험을 고도화하는 실용적 대안을 제시하며, 부작용·호환성 이슈를 토대로 본 KVM 의 개선 방향을 논의한다.

키워드

Samsung DeX, 강원전자 NETmate KVM NM‑HK4602, 에어갭(보안/WIPS) 환경, KVM, 생산성 향상

목차

1. 약어
2. 서론
  A. 문제배경
  B. 목표 정의(필수/선호)
  C. 삼성 DeX
3. 제안하는 시스템 구성
  A. 주 하드웨어
  B. 권장 액세서리
4. 유사한 다른 기기
  A. 유사 기기/구성
      i. KM 전환 기기
      ii. 디스플레이 전환 기기
  B. 비교 결과
  C. 본 제안 구성의 차별점
5. 사용 후기
6. 본 구성으로 제안하는 사용 패턴
  A. LLM 서비스
  B. Windows 원격접속
      i. Windows App – RDP
      ii. 크롬 원격 데스크톱
  C. Terminus SSH
  D. WOL 세팅
  E. 구인구직 서비스
7. 아쉬운 점 및 설계 제안
8. 마치며
9. 참고자료 출처

약어

본 사용기에서 대문자 알파벳 K, V, M 은 단독 혹은 모음 없는 조합으로 사용시 키보드(Keyboard), 디스플레이(Video), 마우스(Mouse)를 의미한다.

서론

문제 배경

대한민국의 다수 조직은 보안 정책에 따라 외부 웹 서비스 접근을 제한하거나, 더 나아가 인터넷 연결을 차단하고 인트라넷 중심으로 운영되는 에어갭 또는 준(準) 에어갭 환경을 채택한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생산성 도구로 확산된 대규모 언어모델 기반 서비스(예: ChatGPT)를 포함한 온라인 도구의 활용이 곤란하며, 개인적 용무를 위한 가정의 개인 PC로의 원격 접속 역시 규정상 또는 기술적으로 차단된다. 이로 인해 일부 종사자는 개인 소유의 스마트폰·태블릿을 통해 차단된 서비스를 우회적으로 이용하지만, 소형 화면과 터치 중심 입력에 따른 가독성·정밀 입력·멀티태스킹의 제약이 반복적으로 보고된다. 이러한 제약을 완화하기 위한 현실적 대안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일부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들이 여럿 있으나 종합적으로 분석한 자료는 없어서 직장인들의 아쉬움이 크다.

목표 정의(필수/선호 목표)

본 사용기는 에어갭 또는 준 에어갭 환경에서 스마트폰을 데스크톱 유사 환경으로 확장하는 구성의 실현 가능성과 편리한 전환의 사용성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필수 목표와 선호 목표를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 필수 목표
  • KM의 PC, 스마트폰 간 연결 전환
  •  V의 PC, 스마트폰 간 연결 전환
  • 보안 준수
 선호 목표
  • 전환의 편리성

삼성 DeX

삼성 DeX는 “Desktop eXperience”의 약어로 삼성의 상위 라인업에 해당하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및 태블릿에 탑재되는 기능으로 유무선 연결을 통해 FHD급 데스크톱과 유사한 환경으로 확장하게 해 주는 기능이다. USB C – HDMI 컨버터가 있다면 디스플레이 연결을 유선으로 가능하며, 무선으로는 Miracast를 지원한다.
외부 인터넷을 하는데 삼성 DeX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나, 사실상 데스크탑처럼 큰 화면을 사용하기 위한 기능이라, 이 사용후기의 근본적인 요소이다.

퀘이사존
그림 1. DeX 화면. 데스크탑 같은 GUI를 제공한다.

제안하는 시스템 구성

주 하드웨어 명세

강원전자 KVM 스위치 NM-HK4602
퀘이사존
그림 2. 강원전자 KVM 스위치 NM-HK4602
강원전자 NETmate 브랜드의 하이엔드급 HDMI KVM 2:1 스위치로, 4K 60Hz(3840×2160) 출력과 HDCP를 지원해 선명한 UHD 환경에 적합하다. USB 3.0 허브 기능과 HDMI, 오디오(3.5mm) 콘솔 단자를 제공하며, EDID 지원으로 빠른 화면전환, 키보드 핫키 전환, 오토스캔/오토스킵 등 편의 기능을 갖춰 작업 전환이 빠르고 안정적이다. 외부 전원 어댑터를 사용하는 콘솔 박스형으로 케이블이 포함되어 설치가 간편하며, 사무·개발 환경에서 고해상도 멀티 시스템 운용에 유용하다.

갤럭시 S25
퀘이사존
그림 3. 삼성 갤럭시 S25
삼성 DeX는 갤럭시S 시리즈에만 제공된다. 본인은 갤럭시 S21 -> S25 로 바꾼 지 얼마되지 않았는데, 체감 성능이 급격히 증가하여 S21에서 느꼈던 DeX에서 지연이나 반응 속도 등이 대폭 개선됨으로써 사용경험이 대단히 좋아졌던 점을 고려하면, 신형 갤럭시 스마트폰을 가급적 권장한다.

프로링크 USB3.0 Type C 5 in 1
퀘이사존
그림 4. 프로링크 USB3.0 Type C 5 in 1 멀티 허브 WG508B. 삼성 DeX를 유선으로 쓰기 위한 키 아이템이다.
USB-C 하나를 HDMI, USB A 3.0, USB A 2.0, RJ-45 그리고 전원 입력으로 USB C PD 충전을 연결할 수 있는 멀티포트 USB 허브이다. HDMI를 통한 삼성 DeX를 USB 유선 KM과 같이 사용하면서도 동시에 호스트 머신인 스마트폰을 초고속 충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반드시 필요한 아이템이다.

권장 액세서리 명세

강원전자 넷메이트 USB PD 25W GaN 초고속 멀티 충전기 NM-GN025W
퀘이사존
그림 5. 강원전자 넷메이트 USB PD 25W GaN 초고속 멀티 충전기 NM-GN025W
USB-C 허브에 USB-PD 충전을 연결하여 해당 허브를 통한 DeX를 사용하면서도 초고속충전을 상시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퀘이사존
그림 6. 강원전자 넷메이트 USB3.1 Gen2 연장 CM-CF 케이블 1m NM-UNC301F
USB-C 허브는 필연적으로 K, M, 충전선까지 케이블이 3개나 꽂히는 거추장스러운 구성을 가지게 되는데, 이 거추장스러운 허브가 스마트폰에 짧은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기에 스마트폰 본체를 사용하기 아주 불편하다.
따라서 스마트폰과 USB-C 허브 사이에 충분한 길이의, 동시에 데이터 및 충전 전류 손실이 적은 고스펙 연장선을 사용하여 스마트폰 본체 사용 시 불편함을 제거한다.

유사한 다른 기기

유사 기기/구성

KM 전환 기기 파트
(1) 블루투스 KM 전환기 ( KUWEE KM 블루투스 컨버터)

퀘이사존
그림 7. KUWEE 블루투스 KM 컨버터
KM의 USB 입력을 기기 우측의 USB 포트에 입력해 주고, 상단의 USB C 포트를 PC에 연결해 주면, 1번 PC는 USB C를 통한 유선으로 연결된 뒤, 2~8번까지 블루투스 페어링으로 각기 다른 PC, 스마트폰, 패드 등을 등록하면, Ctrl+Alt+번호 로 연결된 유선(1번만 해당) 및 블루투스 페어링을 전환해 주는 블루투스 KM 허브. 본인이 이전에 HDMI 수동 선택 스위치와 같이 사용하던 구성이다.

(2) 소프트웨어 방식의 공유 – 마우스 위드아웃 보더스 와 삼성 멀티 컨트롤
마우스 위드아웃 보더스(Mouse without Borders)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만든 LAN을 이용한 KM 공유 프로그램으로 오직 윈도우 PC 기기간 공유만 지원하기 때문에 이 탐색에 해당되지 않는다.

삼성 멀티 컨트롤은 공.식.적.으로는 삼성전자 PC, 삼성전자 갤럭시 스마트폰, 삼성전자 갤럭시 태블릿에 한해서 같은 공유기의 WiFi 혹은 WiFi 다이렉트로 연결되어 있을 경우 PC를 이용해서 다른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이다. 역시 WiFi 차단 문제도 있고, 모든 기기가 공.식.적.으로는 삼성 기기여야 지원하고, 파일공유가 되는 보안상 문제도 당연히 있기 때문에 탐색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3) 멀티 페어링 블루투스 키보드 마우스

퀘이사존
그림 8. 한성컴퓨터 BKM500 듀얼 무선 키보드 마우스 세트
키보드와 마우스 세트로 블루투스 페어링 해서 사용하는 제품이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멀티 페어링 기능이 있기 때문에 페어링 대상 기기를 전환할 수 있다. 그러나 전환 시 블루투스 연결을 재수립 하는 시간이 걸리며 키보드와 마우스의 페어링을 한 번에 전환할 수 없다.

(4) 이지블루
퀘이사존
그림 9. 이지블루와 쿠위의 연결방식 도해
KUWEE 블루투스 KM 컨버터와 유사하지만, PC에 연결된 KM의 신호를 다른 기기로 블루투스를 통하여 중계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PC에 KM 입력을 인식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되어야만 하며, KM 입력을 후킹(OS 레벨에서 입력 이벤트를 가로채는 행위)하여 중계하는 작동 원리상 근본적인 보안 위험이 있다.
퀘이사존
그림 10. 이지블루 Q&A에서 명시적으로 후킹한다고 언급하고 있다

(5) 로지텍 플로우
퀘이사존
그림 11. 로지텍 홈페이지의 로지텍 플로우 설명
로지텍 플로우는 LAN을 이용하여 같은 네트워크 안의 2개의 PC 간 로지텍 KM을 공유하는 기능으로, 갤럭시 스마트폰이 네트워크가 PC와 다르기 때문에 본 사용기의 탐구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다.

(6) 케이블 방식 KM 스위치
퀘이사존
그림 12. 넷메이트 USB3.0 KM 데이터 통신 컨버터 NM-UKM33

퀘이사존
그림 13. 강원전자 넷메이트 USB3.0 KM 데이터 통신 컨버터(키보드/마우스 공유)(Windows, Mac) KM-021N
이 방식은 클립보드 공유의 보안상 이슈가 있기 때문에 회사에서 사용할 수 없어서 탐색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전환 기기 파트

(1) 미라캐스트를 이용한 DeX 화면 공유
퀘이사존
그림 14. 삼성 DeX 공식 홈페이지의 미라캐스트 무선 연결 안내
미라캐스트(Miracast)란 WiFi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화면을 전송할 수 있게 해 주는 기능으로, 대부분의 안드로이드 중상급 기기에 탑재되어 있는 기능이다.
삼성 갤럭시 스마트폰, 태블릿의 경우 단순한 화면 전송이 아닌 삼성 DeX의 화면을 띄우는 기능을 지원하고 있으며, 간단한 동글을 디스플레이에 설치해 주는 것으로 충분하다.

퀘이사존
그림 15.대표적인 미라캐스트 동글이였지만 지금은 단종된 구글의 크롬캐스트

퀘이사존
그림 16. 비허용 WiFi 를 차단하는 WIPS
그러나 정보보안에 신경 쓰는 대부분의 회사에서 비인가 WiFi 시그널을 WIPS(Wireless Intrusion Prevention System) 장비를 이용하여 차단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미라캐스트 역시 사용하지 못하게 되므로, 사실상 이 선택지를 고를 수 있는 직장인은 없다고 봐야 할 것이다.

(2) HDMI 수동 선택 스위치

퀘이사존
그림 17. HDMI 수동 선택 스위치
필자가 Kuwee 와 같이 쓰던 조합으로, 가운데 버튼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HDMI 신호의 소스를 전환할 수 있는 간단한 스위치이다.

비교 결과


전환 솔루션

보안

WIPS 허용 여부

보안

정보유출 위험성

(파일 전송,

클립보드 공유

비인가 프로그램 설치)

스마트폰

지원

전환시간

소요

KM
전환 가능 여부
디스플레이 
전환 가능 여부
전환에 필요한 기기 조작 횟수
블루투스 KM 전환기(Kuwee) O O O 없음*1 O X 1
마우스 위드아웃 보더스 O X X 없음 O X 1
삼성 멀티 컨트롤 X X O 2초 O X 1
멀티 페어링 블루투스 KM O O O 6초*2 O X 2
로지텍 플로우 O X X 없음 O X 1
이지블루 O X O 작음 O X 1
케이블 방식 KM 스위치 O X O 작음 O X 1
미라캐스트 X O O 7~10초 X O 2
HDMI 수동 스위치 O O O 3초 X O 1
강원전자
KVM 스위치
O O O 2초*3 O O 1

표 1. 인터페이스 전환 방식 별 비교 표

*1 : 유선과 마지막으로 연결하여 프로파일을 저장한 블루투스 기기간의 전환은 사실상 시간 소요가 없으나, 블루투스 기기가 2대가 될 경우, 매 전환 시 페어링이 다시 일어나기 때문에 3초의 시간이 소요된다. 본 비교에서는 스마트폰 1대 만을 전환 대상 기기로 선정하였기 때문에 페어링이 다시 일어나는 환경은 고려하지 않는다.
*2 : 키보드와 마우스의 페어링 전환이 동시에 일어나는 솔루션은 찾지 못하였으며 본인이 찾은 솔루션은 키보드와 마우스 각각 페어링 전환이 필요하였기 때문에 일반적인 페어링 전환 시간 3초의 2회, 6초로 설정하였다.
*3 : 키보드 마우스의 전환은 사실상 시간 소요가 없으나, 디스플레이 전환에 시간이 소요된다.

본 제안 구성의 차별점

강원전자 KVM 은 키보드, 마우스의 전환과 디스플레이 전환이 한 번에 전환되는 유일한 솔루션이며, 다른 솔루션들은 사내에서 사용할 수 없거나, 삼성 DeX와 조합되지 않거나, 단독으로는 삼성 DeX 사용을 위한 K,V,M 모두의 완벽한 전환을 할 수 없으며 KM 솔루션과 V 전환 솔루션을 결합해야 하기 때문에 최소 2회의 조작을 필요로 한다.
비교 기준에 포함하지는 않았으나, 전환을 위한 조작도 강원전자 KVM은 1회 로 적기도 하거니와 그 조작의 수준 역시 간단한 키보드 단축키로 전환하기에 필요한 주의 수준이 지극히 낮다. 그러나 다른 전환 방식들에게서는 키보드에서 손을 떼고 따로 기기의 스위치를 토글해 주거나 연결을 새로 정의하는 등의 불편한 조작 방식을 요구한다.
전환의 소요 시간 역시 강원전자 KVM은 KM에서는 즉시 전환되며 디스플레이의 전환이 EDID 기능을사용하기 때문에 화면전환 솔루션 중에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여준다.

사용후기

필자는 이제 강원전자 KVM NM-HK4602 이 없었던 시절로 못 돌아간다.
사무실에서도 지급된 직무 단말과 개인 DeX 데스크톱 사이 전환이 단일 키 입력으로 끝나 “보이는 조작”을 최소화하며, 주변 시야에서 위화감 없이 기기 연결 전환이 가능했다(옆 자리 동료도 본인이 딴짓 하는 줄 모르게 전환이 가능했다는 이야기임.)
단축키로 편하게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다 연결된 환경에서 집의 컴퓨터에 원격 접속해서 은행 및 국세청 개인 업무를 보고, 각종 LLM 생성형 서비스들 역시 작은 스마트폰이나 따로 장만한 태블릿이 아니라 사무용 키보드 마우스로 쉽게 입력하고 모니터의 큰 화면으로 보면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카카오톡 응답 등이 쉬웠으나, 회사의 모니터에 카카오톡 메신저가 떠 있는 것을 의아하게 생각하는 사람을 조심해야 했다.
이 모든 과정 중, 오해는 있었어도 회사의 보안 규정 위반은 없었으며, 스마트폰은 언제나 항상 초고속 충전 연결 상태를 유지하였다.
많은 직장인들이 꿈꿔 오던 것이 이런 환경이였을 것이라 생각한다.

본 구성으로 제안하는 사용 패턴

LLM 서비스

퀘이사존
그림 18. NVIDIA의 젠슨황이 매일 사용한다고 해서 유명한 LLM 검색 서비스, 퍼플렉시티
본인은 당연히 회사 자료를 외부 생성형 서비스에 전송하는 것은 시도조차 하지 않았으며, 이는 논의 대상이 아니다. 오직 본인의 입력과 외부에 본인이 생산한 법적으로 문제없는 자료들만 생성형 AI에 주입하였다.
본인이 주로 사용하는 퍼플렉시티 앱은 DeX 환경에서 폰트가 과도하게 크게 나오는 문제가 있어서 사용하는데 불편하였으나, 크롬 브라우저로 사용하면 크게 문제가 없었다.
기타 거의 대부분의 외부 생성형 서비스들이 사용하는데 문제가 없었으며, 결과를 회사 안으로 가져오는 이메일로 회사 내부로 전송하였다.

퀘이사존
그림 19. Gemini CLI는 터미널에서 Google Gemini 모델을 호출해 텍스트·이미지·코드 생성, 임베딩, 토큰 계산, 스트리밍 응답 등을 수행할 수 있게 해주는 명령줄 도구로서, 본인의 주력 프로그래밍 어시스턴트 도구이다.
 또한 본인 업무상 개발하는 프로젝트는 본인의 집의 컴퓨터에 Docker 로 Gemini-CLI를 설치하여 Gemini-CLI 에게 개발을 시킨 뒤, 결과물만 회사로 전송하였다.

Windows 원격접속

본인의 컴퓨터에 원격접속하여 각종 작업을 처리하는 것이 굉장히 편리하다. 하다못해 장차 외부에서 사용할 예정인 ppt를 만들더라도 기능제한이 제법 있는 안드로이드 ppt 앱 보다는 본인의 컴퓨터에 원격접속으로 접속하여 윈도우 파워포인트를 띄워 작성하는 것이 더 편리하였다.
이런 원격 접속 방법은 본인은 윈도우 내장 원격 접속인 RDP를 이용하는 방법과 크롬 원격 접속, 2가지를 제안하며 이 2가지 방법 중 하나를 택하는 것이 아닌 둘 모두 사용할 것을 권한다. 이는 성능과 접속 안정성 모두를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Windows App
퀘이사존
그림 20. Microsoft의 RDP 원격 접속 앱인 Windows App
일반적인 윈도우에서의 원격 접속, MSTSC에 해당하는 RDP(Remote Desktop Protocol) 앱으로,
1. 사용자의 자택 컴퓨터에서 원격 접속 허용 세팅,
2. 사용자 자택의 공유기에서 포트포워딩 세팅,
3. WOL 세팅
이 완료되어야 현실적으로 쓸 수 있어서 다소 진입장벽이 있으나, 다른 원격접속 프로그램과 격을 달리하는 가장 좋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본인의 주력 원격접속 앱으로서 사실상 거의 대부분 이 앱을 사용하지만, 원격 시스템 불안정성에 약간 취약한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에 이의 보완재로서 크롬 원격 데스크톱을 제안한다.

크롬 원격 데스크탑
퀘이사존
그림 21. 구글의 원격 접속 앱인 Chrome 원격 데스크톱
구글에서 제공하는 원격 데스크탑 프로그램으로, 전통적인 RDP(Remote Desktop Protocol) 이 아닌 독자 개발한 프로토콜을 사용하기에 사용자 경험 측면에서 Windows App 보다 다소 떨어지지만, 공유기 포트포워딩 등의 어려운 세팅이 필요 없고, 시스템의 상태에 다소 둔감하여 Windows App 이 연결에 문제가 있을 경우, 그 문제를 해결하는 접속 도구로서 충분한 가치를 지닌다. Windows App과 병행하여 사용할 것을 강력히 권한다.

Termius

퀘이사존
그림 22. 안드로이드 1등 SSH 클라이언트 앱, Terminus
홈 리눅스 서버 혹은 gemini cli를 띄운 윈도우 서버 등에 접속할 때, 통신 비용이 많이 들고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RDP 프로토콜 대신, 가장 간단한 SSH로 접속하여 작업할 때 유용하다. 다른 SSH 클라이언트 앱이 많이 있으나, 그 많은 앱들을 제치고 안드로이드 1등을 이 앱이 하는 이유는 써보면 안다.

WOL 세팅

원격 접속 세팅을 철저히 해 놓았더라도, 자택의 컴퓨터가 꺼져 있다면 소용이 없다. 그렇다고 항상 컴퓨터를 켜 놓고 다니는 것은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이므로 메인보드의 WOL세팅과 해당 MAC에 WOL Magic Packet을 날려주는 기능이 있는 공유기와의 조합이 필수적이다.
퀘이사존
그림 23. iptime에서 제공하는 ipTIME 공유기 전용 WOL 앱
ipTIME 공유기는 저렴한 가격에 각종 편의기능에 충실하여 가장 권장할만한 공유기이며,
자체 DDNS 주소를 제공하여 쉽게 공유기 접속을 할 수 있으며, WOL을 위한 전용 앱까지 제공하여 가장 편리하게 원격 부팅 및 접속 세팅을 할 수 있다.
퀘이사존
그림 24. ipTIME 공유기의 WOL 세팅 화면
퀘이사존
그림 25. ASUS 메인보드 바이오스의 WOL 세팅 화면. 메인보드 제조사마다 미묘하게 다르다.

구인구직 서비스

본 항목에 대해서는 서술하지 않겠다.

아쉬운 점 및 설계 제안


퀘이사존
그림 26. 강원전자 NM-HK4602의 다양한 전환 방식과 핫키 설정. 핫키를 다른 키로 바꿀 수 있는 점이 하이엔드 KVM답다.

퀘이사존
그림 27. Lenovo TrackPoint Keyboard II. 본인이 사용하는 키보드로 오른쪽 Ctrl 키가 없다.
본 사용기의 주인공 KVM 스위치인 강원전자 NM-HK4602는 가장 편리한 전환 방식인 키보드 핫키를 지원하며 그 핫키 세팅까지 바꿀 수 있는 하이엔드 KVM이지만, 초기 기본 세팅은 오른쪽 Ctrl 키를 사용하여 전환하고, 역시 오른쪽 Ctrl 키를 사용하여 핫키를 바꾸도록 되어 있었다.
본인이 사용하는 주력 키보드, 레노버 트랙포인트 2는 오른쪽 컨트롤 키가 한자 키로 치환되어 있어서 오른쪽 Ctrl을 핫키로 사용하는 초기 세팅에서 왼쪽 Ctrl을 핫키로 사용하도록 전환하는 세팅을 하기 위해서 다른 키보드가 필요하였다. 다행히 핫키를 왼쪽 Ctrl 로 바꿔서 사용하는데 아무 문제가 없었다.
또한 대단히 시끄러운 서버실에서의 사용을 상정한 것인지, 전환시 큰 비프음이 발생하도록 기본 세팅이 되어 있는데, 이 비프음을 끄는 것 또한 핫키로 수행해야 했다.
요즘 정상적인 풀배열 109~104 키보드를 쓰는 사람 자체가 적기 때문에, 이런 특수 키보드라서 발생하는 약간의 불편함을 단순히 그 사용자 하나하나가 특이한 키보드를 쓰는 탓으로 취급하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 또한 핫키를 이용한 세팅 변경 자체에 진입장벽을 느끼는 사람들이 있기도 하기 때문에, 초기 세팅을 최소한 비프음 없음으로 세팅하여 출고하는 것을 강원전자 측에 강력히 권하며, KVM 세팅을 DIP 스위치로 할 수 있다면 조금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퀘이사존
그림 28. 강원전자 NM-HK4602의 핫키 설명 중 전환 핫키 부분.
또한 본 KVM 스위치는 어차피 이지선다의 2:1 스위치인데, 매 전환마다 1번 기기인지 2번 기기인지 선택하여 입력해야 한다는 점이 아쉬웠다. 지금 포커스를 잡고 있는 기기에서 번호 없는 전환 핫키가 입력되면 다른 기기로 바로 전환하도록 설계했으면 더 좋았을 것이다.

마치며


퀘이사존
그림 29. “강원전자 넷메이트 4K 60Hz HDMI KVM 2:1 스위치(USB) NM-HK4602” 로 족쇄에서 자유로워지는 천사를 이미지 생성 서비스로 그렸다.

에어갭 또는 준 에어갭 환경에서 스마트폰 기반 DeX를 책상 위 데스크톱 경험으로 끌어올리려면, 단일 모니터·키보드·마우스를 다중 단말과 매끄럽게 공유하고 전환 마찰을 최소화하는 인프라가 핵심이며 본 사용기가 제안한 “강원전자 넷메이트 4K 60Hz HDMI KVM 2:1 스위치(USB) NM-HK4602” 과 조합된 액세서리 기기들과의 연계 방식은 보안 준수와 생산성 향상을 동시에 달성하는 실용적 대안임을 확인했다. 전환 시 손을 키보드에서 떼어 별도 스위치를 조작하거나 두세 번의 절차를 거쳐야 하는 대안 대비 주의·시간·동작 비용이 동시에 감소하여, 일과 개인 작업 간 전환이 “보이는 조작”을 최소화한 상태로 신속·은밀하게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비교군 관점에서도 KM 블루투스 컨버터, 멀티 페어링 KM, 소프트웨어 공유(마우스 위드아웃 보더스, 삼성 멀티 컨트롤, 로지텍 플로우)·미라캐스트·HDMI 수동 스위치 등은 네트워크 차단·WIPS 환경의 제약, 클립보드/파일 공유에 따른 보안 위험, 스마트폰/DeX 비호환, 다단 조작과 재페어링 지연 등 결정적 한계를 노출했다.
이에 비해 “강원전자 넷메이트 4K 60Hz HDMI KVM 2:1 스위치(USB) NM-HK4602” 은 유선 기반으로 보안 정책을 침해하지 않으면서 DeX와의 직접 결합만으로 K·V·M 전환을 단일 조작으로 끝내는 사실상 유일한 선택지로, 실사용에서 가장 짧은 전환 시간과 가장 낮은 인지적 부담을 동시에 달성했다.
다만 초기 우측 Ctrl 중심 핫키 설계, 전환 비프음 기본값, 매 전환 시 번호 선택을 요구하는 핫키 설정 등은 사용 다양성과 조작성 향상을 위해 기본 무음 출고, DIP 스위치/직관 메뉴 제공, “현재 포커스 반대편으로 즉시 전환” 등의 개선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단점은 사소하며 본 구성은 외부 생성형 서비스, 원격 데스크톱(RDP·크롬 원격), SSH(Termius), WOL 등 실전 워크플로에서 높은 안정성과 일관된 입력/표시 경험을 제공하며, 조직 보안 경계 내에서 “개인 스마트폰의 데스크톱화”를 통해 생산적 전환과 비업무 전환 모두의 경험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최적의 실용 해법임을 입증했다
여러분들도 “강원전자 넷메이트 4K 60Hz HDMI KVM 2:1 스위치(USB) NM-HK4602” 를 이용하여 보안위반 없는 안전하고 자유로운 환경을 구축하여 업무 생산성과 딴짓 효율성을 동시에 끌어올리는 것을 권한다.

참고자료 출처

 


내용 출처
삼성 DeX www.samsung.com/sec/apps/samsung-dex
강원전자 KVM 스위치 NM-HK4602 kwshop.co.kr/goods/view?no=40913
갤럭시 S25 www.samsung.com/sec/smartphones/galaxy-s25
프로링크 USB3.0 Type C 5 in 1 kwshop.co.kr/goods/view?no=38938
강원전자 넷메이트 USB PD 25W GaN 초고속 멀티 충전기 NM-GN025W kwshop.co.kr/goods/view?no=42254
강원전자 넷메이트 USB3.1 Gen2 연장 CM-CF 케이블 1m NM-UNC301F kwshop.co.kr/goods/view?no=36933
Kuwee Bluetooth USB KM Converter Aliexpress 외의 공식 홈페이지 못 찾음
Microsoft Garage Mouse without Borders www.microsoft.com/en-us/download/details.aspx?id=35460
삼성 멀티 컨트롤  www.samsungsvc.co.kr/solution/1328644
한성컴퓨터 BKM500 듀얼 무선 키보드 마우스 www.superstore.co.kr/item/item.html?pn=75879
이지블루  www.easyblue.co.kr
이지블루 후킹 easyblue.co.kr/xe/index.php?mid=qna&page=57&comment_srl=5592&document_srl=376249
로지텍 플로우 www.logitech.com/ko-kr/software/features/flow.html
강원전자 넷메이트 USB3.0 KM 데이터 통신 컨버터 NM-UKM33  kwshop.co.kr/goods/view?no=45095
강원전자 넷메이트 USB3.0 KM 데이터 통신 컨버터(키보드/마우스 공유)(Windows, Mac) KM-021N  kwshop.co.kr/goods/view?no=26900
삼성 DeX 공식 홈페이지의 미라캐스트 무선 연결 안내 www.samsung.com/sec/apps/samsung-dex/
크롬 캐스트 단종으로 공식 홈페이지 사라짐.
BLUEMAX WIPS  www.secui.com/en/network/bluemaxwips
HDMI 수동 선택 스위치 Aliexpress 외의 공식 홈페이지 못 찾음
퍼플렉시티 앱 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ai.perplexity.app.android
Gemini CLI github.com/google-gemini/gemini-cli
Windows App  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microsoft.rdc.androidx
Chrome 원격 데스크톱 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google.chromeremotedesktop
Termius  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server.auditor.ssh.client
ipTIME WOL 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kr.co.iptime.wol
ipTIME WOL 세팅 화면  ipTIME 공유기 내 접속 화면
ASUS 메인보드 WOL 세팅 가이드 www.asus.com/kr/support/faq/1045950/
Lenovo TrackPoint Keyboard II  한국 레노버에는 공식 홈페이지가 없다.
Nano Banana  aistudio.google.com/models/gemini-2-5-flash-image


이 비상식적으로 길고 해괴한 양식으로 작성된 본 사용기를 끝까지 다 읽어 주신 여러분들께도 감사드립니다.


메인 가자 도움말 보기
이 글을 메인으로!

내가 작성한 글을 더 많은 이와 공유하는 방법. 메인 가자!

작성자가 보유한 포인트와 다른 회원의 공감이 만났을 때 글을 메인으로
보낼 수 있습니다.
글 작성 중이나 작성 완료 후 '메인 가자' 영역에서 포인트를 등록해주세요.
그리고 그 글을 보신 다른 회원 분들은 공감을 꾹~ 클릭해주세요.


작성 후 120시간 내, 정해진 공감수가 충족된다면 메인에 노출!

도전! 이 글은 메인가자 도전 글입니다.
등록 포인트 별 공감 조건 수 (2018.10.04. 기준)
포인트 별 조건 표
등록 포인트 800P 400P 200P
필요 공감 수 2회 4회 6회
  • * 메인 가자로 등록된 글이 작성 후 120시간 내 공감 조건 수가 부합하면 DPG에 노출됩니다.
  • * 공감 조건 수에 부합되지 않더라도, 포인트를 등록하시면 약 1분 내외로 메인 가자 게시판에 노출됩니다.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소비자사용기 최신 글 전체 둘러보기
1/1
간단 사용기 GAINWARD 지포스 RTX 5070 Ti 피닉스-S D7 16GB 디앤디컴 사용기
간단 사용기 삼성 스마트모니터 LS43FM701 사용기
사용기 망분리 된 직장에서도 편리하게 컴퓨터 쓰는 법, 강원전자 KVM
간단 사용기 한성컴퓨터 TFG27Q24PL OLED 모니터 후기 #한성모니터 (1)
사용기 팔방미인 메인보드 MSI B850M 박격포 WIFI (1)
사용기 AOC U32V11N 사용기 (1)
간단 사용기 게인워드 지포스 RTX 5070 Ti 피닉스-S 구매후기 (2)
사용기 9070xt hellhound 사용기 (2)
사용기 PowerColor 라데온 RX 9070 XT Hellhound D6 16GB 구매후 (2)
간단 사용기 GAINWARD 지포스 RTX 5070 Ti 피닉스-S D7 16GB 사용기 (2)
간단 사용기 PowerColor 라데온 RX 9070 XT Hellhound D6 16GB 사용기 (3)
사용기 ACER PREDATOR 라데온 RX 9070 XT BiFrost OC White 사용기 (3)
간단 사용기 기가바이트 X870e 어로스 프로 화이트 사용후기 (3)
사용기 라데온 9070xt 헬하운드 사용기 (3)
사용기 2025 인텔 & 다나와 아카데미 페스티벌 in 숭실대학교 (3)
사용기 지클리커 사무용 키보드 (1)
사용기 필립스 32E1N3500 QHD 32인치 모니터 후기 (3)
간단 사용기 래안텍 QA2760K 간단사용후기 (4)
사용기 2025년 하반기 인텔 & 다나와 아카데미 페스티벌 참관기(in 숭실대학교) (4)
공간/설치기 그래픽카드부터 AI 노트북까지, 인텔&다나와 아카데미 페스티벌 총정리 (4)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