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텍코리아에서 운영하는 탁탁몰 (https://tagtag.co.kr/)에서 한달에 한번씩 래플구매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는데
어느날 조텍 코리아로부터 전화가 왔습니다.
조텍 : 이번 래플 당첨되셨는데 제세공과금이 발생된다 구매하시는 금액과 별개로 세금이 부과되는 것이다. 구매를 원하느냐.
라는 말에 래플인데 세금이 붙나? 싶긴했지만 뭐.. 그렇다고 하니 50만원짜리 그래픽카드를 제세공과금 때문에 포기할 순 없다.
하고는 약 18만원 정도의 금액을 지불하고 RTX 5060을 받아왔습니다.
짠!
조텍코리아의 RTX 5060 TWIN EDGE OC 8GB 모델입니다.
RTX 5060은 예전에 받았는데 개봉하지 않고 있었던걸 RTX 5050 개봉할때 같이 오픈해봤습니다!
RTX 5060 겉 박스를 개봉하면
조텍 코리아의 특유의 디자인 느낌?이 살아있는 내부박스가 들어나구요
까보면 본품과 사용설명서, 보증서 정도만 들어있었어요.
아래 뭔 공간이 있긴 한데..
아무것도 없더라구요? 아마 RTX 5060Ti와 완충재를 같은 걸 쓰는건가 봅니다.
조텍의 RTX 5060은 내부 박스 디자인과 조텍의 그래픽 외관 사진이랑 똑같은 패턴을 사용했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일단 크기가 엔트리? 메인스트림? 사이를 왔다갔다 할 정도로 작습니다.
조텍의 RTX 5050과 RTX 5060을 겹쳤을때의 길이 차이입니다.
약 5cm 정도 차이납니다.
옆면을 둘러봤는데 RTX 5060은 나사홀이 별도로 있었습니다.
이번에 엔비디아에서 그래픽처짐을 위해서 저 방식을 쓴다 어쩐다 하는 말이 있었는데 그게 적용된거 같습니다.
옆으로 눕혀봤을때 그래픽카드의 두께는 동일하지만, 히트파이프와 방열판이 조금 달랐습니다.
방열판이 좀더 깊게 파인 RTX 5060은 히트파이프의 갯수는 줄였지만 좀 더 크게 열을 해소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있었나 봅니다.
(그리고 실제로 벤치마크에서도 온도 문제는 없었어요.)
전면 디자인은 8핀을 그대로 사용하지만 RTX 5050은 약간 골드 색상이구요.
RTX 5060은 실버 색상이였습니다.
조텍의 탁탁몰 래플로 받은 제품을 이제서야 까봤다니 ..
사실 미개봉 새상품으로 그대로 두고 싶었지만
앞에 맛있는게 있는데 구경만 할 순 없잖아요?
그래서 모든 비닐을 제거하고
직접 컴퓨터에 장착해봤습니다.
크기가 딱 메인보드 사이즈랑 비슷합니다.
LED는 들어오지 않아서 특별하게 뭔가 적용해줘야 하거나 하지 않아서 LED를 안좋아하는 분들은 이 디자인을 좋아하실꺼 같아요.
벤치마크를 위해 사용된 PC의 세부적인 사양입니다.
CPU : Intel Ultra Core 9 285K
Cooler : DeepCooL Mysticque 360 블랙
M/B : MSI MEG Z890 UNIPY-X
RAM : G.Skil TRIDENT Z5 CK 48GB (24GB*2) 8800MHz CL42
SSD : SN850X 4TB
PSU : ASUS THOR 1600T
자, 그 다음은 3D Mark를 켜서 RTX 5060을 테스트 해봤습니다.
[ZOTAC RTX 5060 x 3D Mark Fire Strike]
그래픽 점수 35,474점
평균온도 63도
그래픽 테스트1 169.18 fps
그래픽 테스트2 141.72 fps
[ZOTAC RTX 5060 x 3D Mark Time Spy]
그래픽 점수 13,386점
평균온도 71도
그래픽 테스트1 87.4fps
그래픽 테스트2 76.63fps
[ZOTAC RTX 5060 x 3D Mark Steel Nomad]
그래픽 점수 3083점
평균온도 66도
평균 프레임 30.83fps
생각외로 준수한 성능을 보여줬습니다.
제 벤치마크 결과가 궁금하시다면
3D Mark 결과를 공유해드릴 테니 한번 확인해보세요!
참고. 스크린샷에서는 RTX 5060으로 인식이 되지만 result 페이지에서는 RTX 5060 Ti로 인식되는 아이러니한 버그가 있습니다.
RTX 5060이 맞으니 참고하여주세요 ㅎㅎ;
RTX 5060 - 파스 : https://www.3dmark.com/fs/33834135
RTX 5060 - 타임스파이 : https://www.3dmark.com/spy/58959305
RTX 5060 - 스틸노마드 : https://www.3dmark.com/sn/8882658
그 다음, 조텍의 RTX 5060을 가지고 2개의 대표적인 벤치마크가 가능한 게임을 돌려봤습니다.
사이버펑크2077
세팅 - 퀵 프리셋 낮음(해상도 스케일링이 AMD껄로 잡혀서 DLSS로 변경)
QHD환경에서 낮음 옵션으로 270프레임이면 생각보다 준수합니다.
물론 프레임 제네레이션 4배때문에 270프레임이 나오는 것이지만
QHD 환경에서 이정도의 프레임이 준수하게 나오는 것을 보면
생각보다 괜찮습니다.
RTX 5060으로도 사이버펑크 2077을 돌릴 수 있다는 것이죠.
물론 그 쨍한 느낌의 감성은 느낄 수 없겠지만요 ㅠㅠ
그 다음은 레데리2 입니다!
레데리는 처음 켰을때의 옵션을 그대로 사용하도록 아무런 세팅도 건들지 않고, 그저 DLSS만 적용시켰습니다.
그 결과
최소 45.5618
최대 146.424
평균 96.5169
조텍의 RTX 5060으로는 레데리까지는 QHD로는 살짝 어렵고.
FHD라면 원활하게 레데리2를 플레이 할 수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생각보다 RTX 5060의 성능이 좋은 편에 속해서 놀랐습니다.
조텍 탁탁몰의 래플 이벤트로 인해 이번에 RTX 5060 TWIN EDGE 모델을 경험해봤는데요.
새벽에 테스트 하다보니 제대로 찍힌게 맞나 싶기도 합니다 ㅎㅎ;;
여기까지 간단한 리뷰와 테스트를 진행해봤습니다.
다음 리뷰는 어떤걸 할지 고민되긴 하는데요. 언젠간 기회가 올 것이라 생각하고..
다음에 뵙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