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KT, LG유플러스가 12월 1일 세계 최초로 5세대(5G) 이동통신을 상용화한다네요.
이통사 고위 관계자는 “이통 3사가 5G 상용화 목표 시점을 12월 1일로 확정했다”면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세부 일정 및 준비 절차를 협의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일반인이 이용 가능한 5G 상용화 일정이 확인된 건 처음입니다.
12월 1일은 전파법에 근거, 5G 주파수 송출이 가능한 첫날입니다.
이통 3사는 12월 1일 0시를 기해 서울·수도권 지역에서 3.5㎓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모바일 라우터'를 출시, 세계 최초 5G 상용화를 공동 선포할 예정입니다.
모바일 라우터는 5G 신호를 와이파이로 변환, 이용자에게 1Gbps급 속도를 제공한다고 합니다. 5G 망이 구축돼 있지 않은 지역에서는 롱텀에벌루션(LTE) 망과 연동하는 '논스탠드얼론(NSA)' 방식으로 서비스한다네요.
모바일 라우터 출시는 글로벌 시장에서 '상용화' 기준이 되는 △단말기 △통신망 △요금제 3요소를 기본 수준에서 충족시켰다는 의미라네요.
이통사가 5G 상용화 시점을 확정한 건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 5G 타이틀을 빼앗길 수 있다는 위기감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고 하네요.
우리나라가 모바일 라우터로 5G 상용화에 성공할 경우 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GSMA) 등은 우리나라를 세계 최초로 인정할 가능성이 짙고, 5G 상용화와 관련한 불확실성도 상당 부분 해소될 것으로 전망된답니다.
이통 3사는 12월 1일 모바일 라우터 상용화 이후 진정한 5G 대중화를 실현시키겠다는 방침이라네요.
이통사 임원은 “진정한 의미의 5G 대중화는 스마트폰 출시라는데 이견이 없을 것”이라면서 “모바일 라우터 출시는 첫 단계로 의미가 있다”고 의의를 뒀다고 합니다.
과기정통부 고위 관계자는 “정부는 5G 상용화 기준을 '이동통신'으로 결정했고, 모바일 라우터도 세계 최초 상용화에 포함될 수 있다는 입장”이라면서 “실제 상용화를 위해서는 이통사의 5G 기술 준비 상황과 요금제 준비 상황 등이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네요.
과기정통부가 준비하고 있는 5G 상용화 기념행사 '코리아5G데이'는 12월 1일이 될 공산이 크다고 합니다.
자세한 원문 기사 내역은 아래의 링크를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