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는 안립입니다.
그동안 우리는 스마트폰을 새로 구매하거나 해외 여행을 갈 때 유심(USIM)칩을 사용해왔다.
유심칩은 사용자 인증, 글로벌 로밍, 전자상거래 등 스마트폰을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들을 1장의 카드에 구현한 것이다. 하지만 작년 9월부터 이심(eSIM)이 본격적으로 도입됐다. 플라스틱 형태인 유심과는 달리, 이심은 무형의 소프트웨어 방식이다. 유심과 이심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자.
3세대 휴대폰부터는 손톱만한 크기의 카드를 탑재한다. 이것이 바로 ‘유심’이라고 불리는 범용 가입자 인증 모듈이다. 이 메모리 카드에는 가입자의 고유번호인 ESN(Eletronic Serial Number)을 비롯한 사용자의 서비스 개통 정보가 들어있다.
이 메모리 카드만 있으면 어떤 휴대폰이든 내 것처럼 사용할 수 있다. 해외에서 휴대폰을 빌릴 경우에도 내 유심 카드만 끼우면 문제없다. 게다가 유심은 공인인증서를 저장해 온라인 뱅킹에 활용될 수 있으며, 교통카드 및 출입카드 기능도 지원한다. 그야말로 ‘만능 카드’인 셈이다.
유심 카드를 사용할 때 무엇보다도 분실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서비스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심 카드의 잠금 기능은 매우 중요하다. 잠금을 설정하면 암호를 입력하기 전까지 카드에 저장된 내용을 전혀 볼 수 없으며, 내용도 바꿀 수 없다. 만일 사용자가 일정 횟수 이상 틀린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유심 카드는 모든 입출력 기능을 스스로 파괴한다.
유심과 이심의 구조. 출처: ICTK
이에 반해 이심(eSIM, embedded SIM)은 물리적으로 장착해야 하는 유심과 달리 스마트폰에 내장돼 있는 것이 특징이다. QR 코드를 통해 통신사의 프로그램 파일을 받으면 된다. 이심은 물리적인 유심이 아니기 때문에 별도의 끼우고 빼는 작업이 필요 없고, 파손 등의 우려가 없다. 또한, 이심 서비스를 이용하면 대리점을 방문하지 않고도 온라인에서 통신사, 요금제 등을 선택해 개통할 수 있으며, 하나의 스마트폰에서 2개의 번호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심을 쓰다가 해외에서 스마트폰에 현지 유심을 넣으면 저렴한 현지 요금으로 통화할 수 있다. 이 외에, 업무용 휴대폰이 필요한 경우에도 굳이 휴대폰을 2대씩 장만하지 않아도 된다는 이점이 있다.
* 전체내용은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https://www.ahnlab.com/kr/site/securityinfo/secunews/secuNewsView.do?seq=33993&utm_source=CM&utm_medium=eDM&utm_campaign=SL%5FtypeC&utm_content=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