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할만한 신작게임을 스팀에서 항상 찾다보니 이번에도 재밌어 보이는 게임 하나를 발견했다. 음식 컨셉의 푸드웨건은 전투 루프만 반복되는 전형적인 로그라이크에 피로감을 느끼던 유저들에게 새로운 선택지가 될 만한 작품이다. 스팀·스토브 동시 출시 이후 초기 평가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요리’라는 생활형 요소를 핵심 시스템으로 들고 나온 점이 여러 유저들에게 신선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단순히 몬스터를 처치하고 능력치를 올리는 방식에서 벗어나 맛·기억·금지된 요리라는 독특한 세계관을 기반으로 스토리를 진행하며, 반복 플레이 속에서도 변화 지점을 꾸준히 제공한다.

게임의 세계관은 요리가 금지된 포스트 아포칼립스 구조를 기반으로 한다. 주인공 라냐는 가족과 함께 운영하던 식당이 통째로 사라지고, 맛을 느끼는 행위 자체가 통제되는 이세계로 이동한다. 라냐는 잃어버린 맛의 기억을 되찾고, 왜 요리가 금지되었는지, 그 배후에 어떤 존재들이 움직이고 있는지를 추적하는 긴 여정을 시작한다. 단순한 생존이나 반복 전투가 아니라 ‘맛을 되찾는다’는 테마를 중심으로 감성적인 서사가 이어지는 점이 특징이다.

이 작품의 핵심은 제목 그대로의 웨건 시스템이다. 탐험 중 얻은 재료들을 웨건으로 가져와 요리를 만들면, 해당 요리는 즉시 플레이어의 전투 능력에 영향을 준다. 고단백·매운맛·달콤한 조합 등 요리 종류에 따라 공격, 방어, 크리티컬, 버프 지속 시간 등 다양한 수치가 달라지기 때문에 전투 빌드는 요리 구성과 결합해 매 판마다 완전히 다른 스타일을 만든다. 웨건은 요리 시설뿐 아니라 이동 수단이자 휴식 기능, 그리고 외형 업그레이드를 지원하는 작은 기지 역할까지 맡고 있어, 반복 루프 사이에 자연스러운 템포 변화를 제공한다. 이 덕분에 플레이어는 전투→재료 수집→요리→성장→탐험이라는 순환 구조를 지루함 없이 이어갈 수 있다.

전투 디자인은 로그라이크의 기본 규칙을 그대로 따른다. 매번 바뀌는 지형, 다양한 몬스터 패턴, 사망 시 초기화되는 구조는 기존 장르 공식과 동일하지만, 요리 시스템이 전투 중간중간 플레이 흐름을 바꿔주기 때문에 반복 스트레스가 크게 줄어든다. 얼리 액세스 단계임에도 무기 9종, 인챈트 100종 이상, 제작 무기 18종 등 조합 폭이 넓어 빌드 실험이 가능하고, 웨건 커스터마이징과 요리 레시피, 지역별 재료 차이까지 더해져 한 판 한 판의 플레이 편차가 크다.

그래픽은 따뜻한 색감을 채택하면서도 배경은 무너진 도시·금지 구역 등 잿빛 톤을 살려 독특한 대비를 만들어낸다. 캐릭터와 웨건은 아기자기한 디자인이고, 배경은 폐허 중심이어서 인디 특유의 감성에 세계관 밀도를 더한다. 음악은 어쿠스틱 기반 OST가 중심이 되어 전투·탐험·휴식의 리듬을 자연스럽게 구분하고 몰입도를 높인다.
현재는 얼리 액세스 단계로 제공되고 있으며, 개발팀은 약 6개월간 대규모 업데이트를 예고한 상태다. 새로운 지역과 요리, 스토리 챕터, 무기 확장, 성우 더빙, 보스 추가 등 콘텐츠 방향성이 명확하고, 초반 빌드에서도 이미 어느 정도 완성형을 갖추고 있어 초기 인상은 매우 긍정적이다. 출시 기념 할인과 초기 구매 보상(특별 요리 스킨·웨건 장식 아이템)까지 제공되며 접근성이 좋다.

종합적으로 푸드웨건은 반복 구조에 지친 로그라이크 유저들에게 ‘루틴의 변화’를 제공하는 작품이다. 전투 중심 루프에 제작·요리·휴식·서사를 자연스럽게 결합해 플레이 흐름을 확장한 점이 가장 큰 차별점이다. 단순한 조합 게임이 아니라, 요리가 금지된 세계에서 맛을 되찾고, 기억과 감정을 복구해 나가는 테마적 설계가 게임 전체의 톤을 이끌고 있다. 인디 작품임에도 높은 확장성을 예고하고 있어 향후 업데이트를 기대할 만한 수작으로 평가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