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광주·전남지역 수출 전선은 그야말로 '초비상'이다.
특히 미국과 유럽시장 등을 중심으로 수출 비중이 높은 지역 수출산업은 '코로나19' 여파로 세계경제가 급격히 얼어붙으면서 해외 판매가 이뤄지지 않아 공장가동이 멈춰서는 등 '올스톱'돼 지역경제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관련기사 13면
지역 대표 기업이자 제조업 근간인 기아자동차 광주공장의 경우 '스포티지'와 '쏘울' 등 지역에서 생산된 차량 70%가 미국과 유럽에 수출될 정도로 수출 비중이 상당히 높다.
하지만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북미와 유럽 등의 수출길이 막혀 최근까지 2공장을 중심으로 한 생산라인이 가다서다를 반복해 매출에 적지 않은 타격을 입었다. 지난 4월부터 본격화된 수출 부진으로 기아차 광주공장의 휴업에 따른 생산 피해는 총 2만여대에 달하고 있다.
아시아와 중동, 중남미 시장을 중심으로 수출되던 봉고트럭 역시 수출 물량이 대거 줄어들며 지난 6월과 7월 수차례 공장 가동이 중단돼 적지 않은 생산 피해를 입었다. 실제 '코로나' 장기화에 따른 매출 피해가 극대화된 기아차의 지난 2분기 실적은 매출 11조3천688억원, 영업이익 1천451억원으로, 전년 동기와 비교해 매출 21.6%, 영업이익 72.8% 각각 감소했다.
기아차 광주공장의 수출부진에 따른 잇단 휴업으로 1~3차 지역 협력업체들의 피해는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는 상태다. 특히 자본력이 열악한 영세 협력업체들의 피해는 더욱 확대되고 있다.
http://www.honam.co.kr/detail/Dcxdj8/610157
수출물량이 상대적으로 높아서 코로나 여파가 심각해 보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