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로 오랜만에 들려온 국산차와 관련된 반가운 소식이다. 기아차가 북미 전략형으로 출시한 미드사이즈 SUV 텔루라이드가 꽃길을 걷고 있다. 외신의 긍정적인 반응들이 이어질 뿐만 아니라 올해의 차와 관련된 각종 상들까지 휩쓸고 있어 기아차가 미국 시장에서 사고를 쳤다는 이야기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텔루라이드가 북미에서 활약하고 있다는 소식에 많은 국내 소비자들은 “국내에도 이 차를 출시해 달라”며 아우성이다. 팰리세이드 수요를 분산시키기 위해서라도 이 차를 꼭 출시해 달라고 주장하고 있는데 아쉽게도 텔루라이드를 국내에선 만나보기 어려울 전망이다. 오늘 오토포스트 이슈플러스는 기아 텔루라이드 이야기에 한 걸음 더 들어가 본다.
미국엔 미국차
유럽엔 유럽차가 잘 팔린다
해외에서 잘 팔리는 해외차. 말이 조금 이상하게 들릴 수도 있다. 미국에선 미국차, 유럽에선 유럽차가 잘 팔린다고 풀어서 말하면 조금 이해하기가 쉬워진다. 모든 자동차 제조사들은 각 국가별 소비자들의 특징이나 기호를 철저하게 분석해서 그 시장에 가장 잘 어울리는 맞춤형 자동차를 출시하게 된다.
그렇게 각 국가별 소비자들의 니즈를 잘 분석한 차량들은 잘 팔리는 게 당연하다. 한국에선 그랜저가 1등, 미국에선 픽업트럭 포드 F 시리즈가 1등, 유럽에선 르노 클리오가 30만 대를 넘게 판매하며 1등을 차지하는 것이 이를 증명한다. 세 차량은 각 지역이 아니라면 전혀 인기를 끌지 못하는 차량들이다.
그런데 가끔씩 보면 일명 도장 깨기라고 이야기하기도 한다. 각 국가에 최적화된 국산차가 아닌 수입차들이 현지 시장을 철저하게 분석해서 베스트셀링카 자리를 탈환하는 그런 일들도 가끔씩 벌어질 때가 있다.
예를 들자면 미국 시장에선 미국차가 아닌 일본차, 토요타 캠리가 중형 세단 시장 1위를 기록하는 그런 사건이다.
한국차도 해외에서
선전한 이력이 존재한다
이는 일본차 뿐만 아니라 국산차에서도 예시를 찾을 수 있다. 2010년 초반 미국으로 건너가 대 히트를 기록했던 현대 YF 쏘나타와 아반떼 MD가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겠다. 당시 파격적인 스타일과 가성비로 북미 소비자들을 집중 공략해서 아주 좋은 성적을 거두는 쾌거를 이루어냈다.
“현대차가 해외 시장에서도 먹힐 수 있다”라는 자신감을 얻게 된 계기가 바로 이 YF 쏘나타와 아반떼였으며 이후엔 유럽시장에도 좀 더 적극적으로 진출해서 I30 나 I40 같은 실용적인 해치백과 왜건으로 좋은 평가를 받기도 했다.
이제는 한국엔 아예 팔지 않는 현지 전략형 모델들도 존재한다. 현대차는 유럽에만 판매하는 I10이나 I20 같은 차량들이 있고 기아차는 씨드나 프로씨드가 있다.
인도나 러시아에는 크레타 같은 현지 전략형 SUV들이 있으며 이들은 모두 국산차지만 해외에서 판매하는 해외차가 된 케이스다. 그런데 가끔씩 해외에서 워낙 잘 나간다는 소식이 들리다 보니깐 이걸 국내에도 출시해 달라고 아우성인 자동차들도 찾아볼 수 있다. 그중 대표적인 하나가 오늘 주인공인 기아 텔루라이드다.
정말 다양한 차량을 만드는 모습이네욤~
펠리세이드가 엄청 인기를 끌고 있는데 그와 비슷하게 텔루라이드는 외국에서 인기가 엄청나네욤
한국 모하비가 미국에서 텔루라이드라고 생각했는데 전혀 다른 모델인가보네욤~
드림카가 모하비인데~ 멋진 차량이 많네욤~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