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미국 AI 액션 플랜 발표, 정책 대전환
미 백악관은 ‘미국의 AI 액션 플랜’을 공개했습니다. 이번 플랜은 AI 산업의 혁신 가속화와 데이터센터 인프라 확대, 그리고 미국 중심의 글로벌 AI 수출 확대라는 굵직한 정책 전환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불필요한 규제를 완화하고, 정부 조달 시에는 대형 언어모델이 ‘이념적 편향이 없는지’를 기준으로 삼겠다고 밝혔는데요. AI 기술에서 중국을 포함한 경쟁국에 우위를 점하겠다는 의지가 느껴집니다. 여러 기술 대기업도 해당 플랜을 지지하며, 미국 내 AI 경쟁력에 대한 기대를 내비쳤습니다.
2. OpenAI, ‘GPT-5’ 공개 임박… AI 수학 도전 성공
OpenAI가 최근 그룹 내 실험용 모델이 2025 국제수학올림피아드에서 금메달 수준의 점수를 기록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AI가 고난도의 창의적 수리 추론까지 가능하다는 획기적인 신호인데요. 이 여파로 곧 출시될 GPT-5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습니다. GPT-5는 다양한 특화 모델들이 하나로 묶인 ‘모듈형 시스템’이 될 예정이며, 사용자 입력에 맞춰 가장 적합한 하위 모델로 라우팅되는 구조로 혁신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3. 엔비디아, ‘블랙웰 울트라’로 AI 인프라 재정의
엔비디아가 최근 선보인 ‘블랙웰 울트라’ 칩은 이전 칩 대비 100배의 연산 성능을 자랑하며, 차세대 에이전트형 AI 모델을 가속화합니다. 이 칩 덕분에 자율 에이전트, 생성 AI 등 새로운 AI 응용분야에서의 진입 장벽이 급격히 낮아지고 있다는 평가입니다. 업계 관계자들은 이번 칩이 AI 인프라의 판도를 바꿀 것이라며, 다양한 분야에서의 적용 확산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4. 애플, 자체 ‘파운데이션 모델’ 기술 리포트 공개
애플의 머신러닝 연구팀이 올해 ‘파운데이션 모델’ 기술 보고서를 공식 발표했습니다. 주요 특징은 에너지 효율을 20% 높였다는 점과, 텍스트·이미지·음성 등 멀티모달 처리가 한층 자연스럽게 융합된다는 점입니다. 또한 ‘연합형 미세조정’ 방식으로 사용자 프라이버시까지 강화해, 앞으로 온디바이스 AI와 맞춤형 사용자 경험 경쟁에서 애플만의 강점을 보여줄 것으로 보입니다.
5. 야후 재팬, 전임직원 생성형 AI 업무 활용 의무화
야후 재팬이 2030년까지 생산성을 두 배로 높이기 위해, 모든 직원이 생성형 AI를 업무에 필수적으로 활용하도록 정책을 도입했습니다. AI 활용 실적을 모니터링하고 사내 교육도 의무화해, 기업 차원의 AI 도입이 이제는 선택이 아닌 ‘필수’임을 명확히 했습니다. 이는 일본뿐만 아니라 글로벌 기업들의 AI 내재화 움직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