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SHIBA RC500
NVMe M.2 SSD 500GB
보급형 SSD의 경우 디램이 없는 모델들이 많습니다. 일반적인 SSD보다 약 10% 이상 성능 향상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많은 소비자들이 가격과 함께 디램 탑재 여부를 확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는데요. 도시바(Toshiba)에서 가성비 좋은 보급형 모델에 디램을 탑재한 NVMe M.2 SSD를 출시하여 직접 사용해봤습니다.
작고 깔끔한 패키지로 도착한 도시바 RC500 SSD입니다. 250GB와 500GB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주영통신에서 유통하고 있는 도시바 RC500은 5년 A/S를 지원합니다. 3년으로 알고 있었는데 업그레이드가 된 것 같습니다.
패키지 뒷면에는 간단한 스펙과 주요 특징, 제품 정보들이 적혀있습니다. 도시바 RC500의 기록 수명(TBW)은 200TB이며 사용 보증 시간(MTBF)은 150만 시간입니다.
구성품은 Toshiba RC500과 퀵 사용자 가이드가 전부입니다. M.2 SSD는 메인보드에 직접 장착하는 방식이라서 별도의 악세사리가 필요하지 않는 것 또한 큰 장점이죠.
NVMe M.2 2280 규격의 SSD는 매우 컴팩트한 사이즈라서 양쪽 사이드를 강하게 누르면 기판이 손상될 가능성이 충분히 있습니다. 메뉴얼에서도 제품의 한쪽을 들어올리는 방식으로 사용하라고 권장하고 있습니다.
제품 뒷면에는 패키지 없이도 모델 식별과 시리얼 번호 확인이 가능한 정보들이 스티커로 부착되어 있습니다.
도시바 RC500은 최대 읽기 속도 1,700MB/s 최대 쓰기 속도 1,600MB/s로 비슷한 스펙을 갖고 있는 제품들이 정말 많습니다. 그러나 어떤 부품들로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해야만 가성비를 체크할 수 있습니다.
총 4개의 도시바 3D BiCS 낸드 플래시 (TH58LJT0T24BS8C) 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캐시메모리는 삼성 512MB DRAM (K4A4G165WF-BCTD) 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온라인에서 정확한 메모리 정보를 알 수 없어 많은 사람들의 DRAM 모델명을 문의하는 것 같은데 이 사진 한 장이 참고가 되었으면 좋겠네요.
컨트롤러는 도시바 TC58NC12002가 사용되었으며 전원 관리 칩으로는 PHISON 사의 PS6102-22 컨트롤러가 탑재되었습니다.
SSD는 크게 디스크의 타입과 인터페이스로 나눌 수 있습니다. RC500은 M.2 2280 규격의 디스크 타입으로 PCIe 3.0 x4 인터페이스로 작동하는 NVMe 1.3 프로토콜의 SSD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현재 M.2 SSD는 총 5가지의 폼펙터로 출시되고 있으면 대부분의 메인보드는 2280, 2260, 2242 총 3가지의 폼펙터를 지원합니다.
M.2 SSD는 단순하게 장착한 후 스탠드오프 나사로 고정해주면 설치는 끝입니다. 별로 어렵지 않습니다. 낯선 인터페이스에 망설여졌던 분들이라면 안심하고 도전하세요.
크리스탈 디스크 인포를 통해 확인한 제품 정보입니다. 사용 횟수는 물론 총 기록량을 확인할 수 있어서 제품의 수명을 체크하는데 유용한 도구죠. 공식 스펙에 기재된 정보와 동일한 것을 확인했습니다.
크리스탈 디스크 마크로 진행한 벤치마크 결과입니다. 기본값 및 피크 설정으로 각각 테스트한 결과 공식 스펙인 최대 읽기속도 1,700MB/s, 최대 쓰기속도 1,600MB/s 보다 더 빠른 속도로 측정되었습니다.
ATTO 디스크 밴치마크 결과입니다. 최대 읽기 속도가 무려 3,200MB/s로 측정되었습니다. 한마디로 공식적인 스펙을 앞서는 속도로 동작하고 있다는 것이겠죠.
실제 제가 사용하고 있는 시스템에서 체감되는 속도는 약 2GB/s 정도였습니다.
국내 시장에서 많이 알려진 NVMe M.2 SSD들이 있습니다. 그 중 많은 사용자들이 도시바 SSD를 뛰어난 가성비와 튼튼한 내구성으로 많이 추천하고 있죠. 저 또한 도시바 2TB HDD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한 번의 베드섹터 없이 잘 사용하고 있어서 RC500에 대한 기대감도 더 높았던 것 같습니다.
도시바 RC500 다나와 가격비교 URL : http://prod.danawa.com/info/?pcode=10235226
지금 사용하고 있는 시스템의 속도가 만족스럽지 못하거나 새로운 시스템을 구성할 때 SATA SSD보다 더 빠른 속도의 저장장치에 대한 니즈가 있는 분들이라면 한 번쯤 살펴보시길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