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그대로 입니다. 넷플릭스로 컨텐츠를 많이 감상하다보니 저렴한 HDR 지원 모니터가 필요로 했었고, 이왕이면 좀 더 나은 제품을 고르던 것이 바로 이 제품 입니다 벤큐에서 출시한 EW2480 모니터를 소개 합니다.
24인치 제품과 27인치 제품도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GW 시리즈에서 좀더 나은 기능을 원하는 유저들이 EW 시리즈를 구입하는 것을 추천하는데요 근본적으로 컨텐츠를 소비하는데 초점을 맞춘 모니터 입니다. sRGB 색상프로파일 값이 100%을 지원하는 만큼 기본적인 모니터로서의 기능도 좋은만큼 한번 확인해 보았습니다.
HDR10 지원과 BI+ 지원 그리고 5W 내장 스피커까지 보급형 24인치 기준으로 본다면 과한 스펙 이기는 합니다. 벤큐의 GW 시리즈가 가지지 못한 점이 HDR지원한다는 점과 BI+기능의 업그레이드 더 다양한 화면 모드 등에서 차이점을 보입니다. 가격차이는 25000원 가량 차이가 납니다.
그렇기에 고민할만 하겠죠
스탠드는 피벗은 지원하지는 않습니다. 일반적인 스탠드인데 중간에 스마트폰 놔두면 되겠네요
대부분의 인터페이스는 모니터 하단에 배치되어 있습니다. 자주 사용하는 HDRi 기능 버튼과 제품 전면에 위치 합니다.
하단 부분에만 베젤이 튀어나온 형태 입니다.
튀어나오지 않는 제로 베젤 입니다. 듀얼 모니터 구성시 베젤간 간섭이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같은 브랜드이지만 BL 시리즈와 EW 시리즈간의 베젤 차이는 극과 극 입니다. ^^ 베젤이 있어서 좋은 내구성과 빛 간섭이 조금 더 적다는 점 입니다
페이크베젤이 일부 있는 제로베젤 스타일 입니다.
후면 5W의 내부 스피커와 HDMI 포트 3개를 지원 합니다. VESA 규격으로 모니터 암 설치도 가능 합니다. 저는 어차피 모니터암 설치할 예정이기에 스탠드는 큰 의미가 없기는 합니다.
만약 단독 사용시 스탠드의 각도는 이 정도 입니다.
HDMI2.0 포트 3개 지원으로 콘솔 기기를 포함해서 노트북 PC이렇게 연결해도 됩니다. 넉넉한 포트 구성이 장점 입니다. 참고로 전원 자체는 외부 어댑터를 이용해서 지원 합니다.
가장 큰 특징은 HDR을 하드웨어적으로 지원한다는 점과 이를 시뮬레이터를 통해서도 지원을 합니다.
벤큐의 아이케어 기술중에 하나인 BI기능을 하단계 더 업그레이드 해서 BI+ 기능을 지원 합니다.
패널 성능 부터 확인해 보겠습니다. 사용된 캘리브레이터는 스파이더5 프로 입니다
스펙에 거의 준하는 99%의 sRGB색상 범위와 감마값 2.2와 1.8모두 매끄럽게 떨어지면서 색 정확도 또한 우수 합니다. 노트북 패널에서 색상 표현범위가 낮고 감마값이 부족한 점이 데스크탑 모니터에서는 용납이 없네요^^
60헤르츠는 넘어서서 75hz 까지 지원 합니다. 괜찮네요
메뉴 구성은 일반적인 벤큐 모니터랑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특징중에 하나라면 슈퍼레졸루션이라든지 스마트 포커스 기능이라는 것이 있지만, 작은 모니터에서는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가 벤큐 모니터를 몇번 소개하면서 관련 기능도 사용해보았지만, 필요성은 크게 모르겠어요
BI기능에서 BI+는 색감까지도 조정을 하게 됩니다.
당장 눈에 띄는 것은 전면 센서를 통해서 밝기를 조정하게 됩니다.
블루라이트 모드 중에서 전자책 모드가 저에게는 가장 눈에 띄기는 했습니다. 모니터를 세로로 사용해서 문서 볼때는 눈에 부담이 적기는 했습니다. PDF같은 논문 볼때도 장시간 사용시에는 일반모드와 큰 차이점이 있습니다.
벤큐에서는 HDR 기능을 하드웨어적으로 활성화하지 않더라도 자체적으로 에뮬레이팅을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2개의 HDR모드를 제공을 합니다.
HDR기능 활성화하는것도 확인이 가능 합니다. 항상 HDR모드를 EW2480에 활성화 해두고 HDR컨텐츠를 재생할려고 하는 것이 주 목적이기도 합니다.
HDR에뮬레이팅시 2가지 모드의 차이점은 색상 컨트라스트비에서 조금 차이가 있습니다.
HDR 적용된 화면과 적용되지 않는 화면에서 암부 표현력과 디테일에서 차이점이 색상 자체에서도 보입니다.
HDR 미적용에 따른 색상 날림 현상을 EW2480에서는 확인이 되지 않게 됩니다 유투브에서 HDR컨텐츠 재생시에 활성화 여부가 하드웨어 지원이 우선 입니다
HDR이 활성화하게 되면은 HDR 미지원하는 컨텐츠의 색상은 마치 불빠진듯한 느낌 입니다. 그래서 필요로 할때마다 HDR 에뮬레이팅을 하든가 아니면 저 처럼 모니터 2개 이상을 사용하면서 항시 켜두는것도 방법 중에 하나 입니다.
넷플릭스 HDR컨텐츠 감상시에는 윈도우 기준으로 넷플릭스 앱을 다운받으면 활성화가 됩니다. 크롬브라우저에서는 활성화가 안되는군요
애플 제품을 위한 M-book 모드라든지 rec.709모드 같은 픽쳐모드가 다른점이기는 합니다. 애플 맥북 사용자라면은 가장 근접한 색감을 원한다면 EW2480이 좋을듯 합니다. 참고로 요즘 출시되는 맥북이라든지 아이맥은 P3 색상 프로파일 값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확한 매칭은 되지 않습니다. 어디까지나 가장 근접한 색상 모드를 EW2480이 재현한다는 의미 입니다.
3개의 벤큐 모니터 모두다 스피커를 가지고 있습니다. 스피커의 차이점이 있을까요
소리 괜찮네요 특별히 외부 스피커 사용하지 않더라도 음장 변화도 훌륭하고 괜찮네요 스피커 사용이 요즘은 내장 스피커로도 많이 사용하는 추세이기는 하지만 정격 출력이 아쉬운 제품들이 많았습니다. GW 시리즈도 마찬가지지만, 출력 자체를 5W로 늘리면서 이 문제를 상당부분 개선한듯 합니다.
노트북 사용하게 되면은 이런 모양새가 되겠지요
24인치 IPS패널 기준으로 보았을시에 타사 제품 대비<대기업기준> 2-3정도의 가격차이를 보입니다만, HDR지원여부라든지 기능적인 차이점에서는 더 나은점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HDR 규격에서 높은 등급은 아니지만 콘솔 게임에 있어서나 영상 감상시에는 차이점을 원하는 유저
- 다수의 HDMI포트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
- 오랜시간 모니터 사용시 눈의 피로가 높은 사용자
- sRGB 100%에 준하는 정확한 색감과 컨텐츠 소비형 모니터를 원한다면
- 넷플릭스 HDR컨텐츠 감상할려는 유저
현재 다나와 오픈마켓 기준으로 16만원 후반대 입니다. 쿠폰에 후기 행사 까지 한다면 14만원 이하로도 구입이 가능한 효과 입니다. 여튼 그래요 잘 산것 같아요 제가 게임을 주로 하는 사용자가 아니라서 120hz 이상의 고 주사율 모니터의 필요성까지는 없어서 선택한 모니터 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