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사용기

가성비 씹어먹는 프리즘 65인치 4K TV PT650UD

IP
2020.12.30. 15:56:55
조회 수
5622
4
댓글 수
5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대기업제품과 맞짱 뜰수 있는 프리즘 65인치 PT650UD 4K UHD TV.



external_image

movie sample 4k




1. LG IPS (RGB방식)패널 -> 빛샘없고 불량화소 무. 화질은 ㅆㅅㅌㅊ

2. 메인칩셋 MSTAR 3683칩 -> 부팅 3~5초끝. 채널딜레이 없음.

3. HDR10지원.

4. 크로마셈플링4:4:4지원 -> pc연결시 부드럽고 끊김없는 60hz사용가능.

5.CEC/ARC지원 -> 하나의 리모콘으로 컨트롤가능.

6. HDCP지원 - 게임기 및 주변기기 완벽호환.

7.에너지 효율등급 -> 1등급

8. 패널 2년/ 본체1년 무상as

중소기업TV지만 다른 중소제품에비해 AS좋다는 소문듣고 구입했지만 제품의 퀄리티에 반한 제품.


이런제품이 40만원대... 인치당 6900원.

프리즘 65인치 PT650UD 4K UHD TV의 모든것.

본 제품이나 65인치 4k UHD TV에 관심이 있으신분에게 도움이 될수 있는 사용기를 올려봅니다.

http://www.prism-korea.com/











좌측 프리즘 65인치 PT650UD 4K UHD TV, 우측 55인치 중소기업 4K UHD TV.

위쪽 모니터는 27인치 중소기업 모니터.

겨우 10인치 차이인데? 라고 생각했는데 실제 55인치와 65인치는...그 크기부터 압도적으로 차이가 납니다.

4년전까지만해도 기본이 55인치였는데 올해부터는 65인치가 기본인것 같습니다.

65인치는 너무 큰거 아니야?? 라고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TV는 무조건 큰게 좋다고들 하는데 정답입니다.






65인치 중소기업 제품을 선택한 이유.

1. 신혼살림으로 와이프느님이 가져온 LG 42인치 TV 2년만에 사망. TV가 퍽하고 터짐. (수리비 32만원.)

2. 삼성 50인치 TV 구입. 2년안되서 라인디펙트 생김.(수리비 43만원)

아... 대기업 tv 주옥같네를 외치면서 중소기업 tv 알아봄.

3. 중소기업 55인치 4K UHD TV 구입. 4년 사용중인데 현재까지 잘 사용중.

인터넷을 뒤적거리다 발견합니다. 65인치가.. 무려...

437,900원+배송비30,000원 토탈 467900원.

여기에 청구할인 5%하면 대략....40만원 초반대로 구입이 가능했습니다.

최근 65인치 4K UHD TV가 저렴해지기도했고 거거익선이라고 큰게 자꾸 눈에 밟혔습니다.

4년전 구입한 55인치 4K UHD TV도 멀쩡하게 잘나오고 있고... 남들은 아이가 tv를 잘도 망가뜨린다고 하더만 방법이 없을지 찾아봅니다.

와이프느님께 딜 시전.

잘보고있는 "55인치 tv는 당근마켓에 내다팔고 구입합시다."

그렇게 프리즘 65인치 PT650UD 4K UHD TV가 제품에 안겼습니다.






65인치 가격이 똥값이라고 함부로 질러댈수 없습니다.

지르기전에 몇일간 폭풍검색을 합니다. 아마 다른분들도 마찬가지겠지요.

그동안 중소기업 TV를 사용하면서 공통적으로 받은 질문, 혹은 구입하기전이라면 의문사항은 같습니다.

과연 중소기업 TV가 믿을만 한가?

화질은?

소리는?

품질은?

AS는?

4년간 사용했던 중소기업TV가 양품에 좋은 제품을 만나서 잘 사용하고 있었으므로...






가격이 모든걸 용서할것인가?

아니면 중소는 역시 중소일것인가?

중소기업TV를 살펴볼때 가장중요한것은 아래 다섯가지 사항입니다.

1. 중국패널인지 ? OR 국내LG/삼성패널인지?

2. RGB패널인지?

3. 사용된 칩셋은?

4. CEC/ARC기능은 있는지?

5. 크로마샘플링은 지원이되는지?

최소한의 기준이 될 다섯가지에 대해 이야기해봅시다.






자가 스탠드설치 추가비없음.

기사방문 스탠드설치 추가3만.

기상방문 벽걸이설치 추가8만.

제품을 분리하기에 앞서서 가성비를 최대한 끌어올리고자 스탠드 자가설치로 구입했습니다.

설치 난이도는 극하수준으로 TV하판에 스탠드설치는 드라이버만 있으면 가능합니다.

자가 스탠드 설치시 배송전담기사분이 현관앞까지 안전하게 가져다 줍니다.

주의할것은 자가 스탠드 설치시 제품초기불량에 대응하기 위해서 동영상 촬영하는게 좋습니다.

프리즘 65인치 PT650UD 4K UHD TV설치 방법은 상당히 쉽습니다.

세월이 좋아진건지 아니면 똑똑해진건지 큰힘들이지않고 박스제거가 가능한데 사진에 보이는 아래쪽 플라스틱을 살포시 눌러서 빼주면 쪽빠집니다.

두개를 빼면 되는데 저 플라스틱 지지대가 빠진다고 TV가 툭하고 떨어지거나 문제가 있지는 않습니다.

박스에서 제품을 꺼내는데에는 칼도 필요없을 정도로 간단하게 되어있습니다.

하지만 지인이나 부모님댁에 선물용은 기사방문 설치가 아무래도 맘편하겠지요.






정품인증 스티커는 버리지 말고 나중에 TV 뒤쪽에 붙여줘야합니다.

큰의미가 있을듯 싶지만 메뉴얼에도 나와있네요.

"파손주의 눕히지 마세요"를 위쪽으로두고 박스를 세운후 아랫쪽의 플라스틱 지지대2개를 빼줍니다.

그후 박스를 위쪽으로 잡아빼면 스티로폼과 함께 안전하게 포장된 제품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중소기업TV나 대기업 TV일지라도 가장 중요한것은 1. 패널및 2.RGB인지 RGBW인지 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착각하는게 LG,삼성 TV에는 LG,삼성패널이 들어간다고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LG,삼성 제품이라할지라도 중급이상 혹은 프리미엄급 이상에만 자사패널(즉 LG/삼성)을 사용하고 있지 엔트리급등에서는 중국 패널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100만원 미만급으로는 삼성,LG도 자사 패널을 거의 사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중국브랜드 패널이 주류죠.

중소기업은? 대부분 이런 문구를 씁니다. "국내,외 , 대기업, A급패널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중소기업tv나 대기업tv는 100만원이하의 엔트리급에서는 대부분 중국브랜드 패널을 사용하고 있다고 보셔도 좋을것 같습니다.

중국브랜드 패널이라고 다 나쁜것이냐?라는 의문이 들겠지만 중국대기업에 속하는 패널인경우 국내 LG나 삼성등의 대기업 프리미엄급 패널에 비할바는 아니지만 상당히 괜찮습니다.

제가 4년정도 만족스럽게 사용한 55인치 tv도 중국대기업브랜드에 속하는 BOE패널을 사용한 제품이었습니다.

PT650UD 4K UHD TV모델은?

LG IPS (RGB방식)패널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100만원 미만급의 대부분은 중국브랜드 패널이라고 말씀드렸듯이 TV를 구입할때에는 어디제조사 패널인지 먼저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마진및 가격을 위해서 하급(저급)의 듣보잡 중국브랜드 패널을 사용한 회사들도 많기 때문입니다.

가끔 중소기업 TV에서 중국패널이 아닌 대기업패널이라고 판매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수급율에 따라 어떨때에는 LG패널을, 어떨때에는 삼성패널을 사용하고 있는데 프리즘코리아 제품군중 65인치 PT650UD 4K UHD TV모델은 현재 LG IPS 패널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자사의 TV에도 사용하지 않는 A급 패널을 중소기업TV에 사용할정도라면 가격적으로 맞지 않을텐데 사용했을까?하는 의구심이 들지만 그래도 중국대기업브랜드패널보다야 좋지 않을까 생각 해봅니다.

더 중요한것은 프리즘 65인치 PT650UD 4K UHD TV 모델은 RGB방식입니다.

나중에 이야기하겠지만 RGBW방식의 TV는 구입가치가 없습니다.

꼭!!!!!!!! RGB방식의 TV를 구입해야합니다.

T650UD 4K UHD TV는 RGB방식입니다.










프리즘 65인치 PT650UD 4K UHD TV 제품의 구성품은 좌측으로부터 스탠드조임나사4개,정품스티커와 리모콘배터리,스탠드다리,HDMI케이블,리모트컨트롤러,메뉴얼이 들어있습니다.

입소문을탓는지 판매율이 어마어마해서 제가 구입했을때에는 재고부족으로 예약구매로 진행되었습니다. 예약구매시 HDMI2.0케이블이 동봉되어져 있었지만 제품에는 포함되어있지 않기때문에 HDMI2.0케이블을 준비하셔야합니다.

몇천원 하지 않는 케이블인데 이건좀 아쉽네요.

HDMI2.0케이블이 꼭 필요합니다. 1.0.1.4VER 이런거 다 필요없는습니다.

제품의 완벽한 성능을 위해서는 HDMI2.0버전이 필요합니다.






하단에 스탠드다리를 설치합니다.

스탠드 앞쪽이 어디지? 헷갈리시겠지만 긴쪽이 TV패널쪽이고 짧은쪽이 TV 뒤쪽입니다.

TV전원을 키면 PRISM이라는 메인로고가 나오고 TV하단 오른쪽에 Ultra HD 4k HDR에 나옵니다.

Ultra HD 4k HDR이 멋스럽지만 유치하신분은 tv설정에서 로고수정이나 변경이 가능합니다.

3. 사용된 칩셋을 파악하는건 아주 중요합니다.

tv의 핵심 기능을 좌지우지 하는것이 칩셋인데 업셈플링기능이나 화질개선기능및 각종 악세사리같은 기능이 추가가 됩니다.

일반인 기준으로 가장 중요한것은 tv가 켜지는 시간!!!!

중소기업tv 칩셋 확인하지 않고 구입하시면 tv켜지는데 10~20초 기다리셔야합니다.

프리즘 65인치 PT650UD 4K UHD TV에 사용된 칩셋은 Mstar 3683칩셋입니다.

3683칩셋을 사용한 프리즘 65인치 PT650UD는 tv는 3~5초만 있으면 된다는것.

즉, 국내 대기업제품과 차이가 없다는것.

MSTAR 3458칩 - UHD용 보급형 칩셋

MSTAR 3683칩 - 18년 10월 출시된 Non Smart HR 칩셋이지만 여기서부터 HDR10지원.

MSTAR 6586칩 - 4K 스마트 칩 (넷플릭스 5.1버전 지원)

기억하실건 3683이하 미만 잡이라는것.

3683미만은 tv켜고 10~20초 기다려야한다는것.

그러면 MSTAR 6586칩 - 4K 스마트 칩 (넷플릭스 5.1버전 지원)을 사용한 tv를 구입하시지 그래요?

아~~ 스마트기능이 들어간 tv는 10만원 더 비쌉니다.

최근 iptv셋탑에서도 스마트기능을 대부분 지원하고 있고 스마트이 들어간 tv를 10만원 더 주고 구입하느니 스마트기능이 들어간 악세사리 기기를 구입하는게 성능및 편의성이 더 좋기 때문에 저는 스마트기능이 내장되어있는 제품보다는 3683을 사용한 깡통 tv를 구입하는걸 추천하겠습니다.

물론 선택은 각자의 몫이겠지요.






초기화면으로 한국어설정->공중파/케이블설정(대부분 케이블)

iptv사용자분은 채널검색은 skip해도 됩니다.

공중파및 케이블 사용하시는분이나 셋탑이 없으신분은 채널검색기다리셔야합니다.

오래걸리므로 딴짓하셔도 됩니다.






드디어 tv를 볼수 있게되었습니다.

하지만 뭔가 좀 칙칙분위기가 납니다.

완벽하게 사용하기위해서 약간의 설정이 필요할때입니다.






자!!!!!!!

중요한것!!!!!!

설정화면에서 백라이트라는 항목이 보인다???? HDR설정 항목이 없다???

확인하셔야할 부분입니다. (함정조심. 글 끝까지 읽으셔야 피보지 않습니다.)

조~온~ㄴ 디테일한 설정이 가능해서 캘리브레이션한것처럼 설정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1차로 조~온~ㄴ 디테일하게 설정값을 잡았습니다.






대충 후려치기 잡았는데 화질 끝내주네요.

이때까지 정말 좋았습니다.

아~~~~ 내가 40만원으로 횡재를 했구나!!!!!

55인치 BOE패널을 사용하던 중소기업tv와는 차원이 다르게 인치수만 아니라 화질과 색감까지 차이가 많이 납니다.

이게 LG패널의 힘인가~~~






중소기업tv를 사용했던 분이나 혹은 관심있던 분은 다들 아시겠지만 리모콘의 메뉴 누르시고 1147 누르시면 공장설정값까지 만질수 있습니다.

주의해야할 것은 인터넷에 나와있는 정보가 예전제품을 기준으로 나와있고 인터넷에 나와있는 다양한 설정값을 대칭해보면 색감이나 화질이 이상해집니다. 즉 패널이 달라지고 칩셋이 달라져서 인터넷에 나와있는 설정값 그대로 넣어보면 상당히 주옥같은 화면을 느낄수 있습니다.

고로 새로운 기준값을 잡으셔야하는데 나중에 pc모드에서 설정할 값이지만

1. HDMI 4K 상승 모드로 바꾸시고

2. HDMI 모드 PC(Graphic)

3. 화면크기(point to point)

4. 노이즈제거 (최고)

그외에 GENERAL SETTING => Picture Mode에서 Sharpness만 0 여기서 contrast나 brightness나 color등은 건들지 않는게 좋습니다.

w/b인 rgb갑도 건들지 말고 pq advanced의 gamma만 만져보면서 명암부분 확인하시고 vip는 off.

그리고 hdmi rgb range는 최고로 올려주시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밝기와 백라이트만 살살 만지면서 조정하시면..

아래와 같은 완!벽!한! 화질의 TV를 볼수 있습니다.






전원 키고 5초이내 켜지고 채널딜레이도 없고 화질도 휴대폰 카메라가 구려서 그렇지 정말 좋습니다.

하지만 빡침 발생.

TV켜니 백라이트 설정값이 기본으로 돌아갑니다.

즉.... 제가 원하는 백라이트의 설정값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리모콘의 설정에 들어가서 백라티트 설정값을 1높여주거나 1줄여주면 제가 설정했던 백라이트 밝기가 나옵니다.

tv를 켤때마다 이짓거리를 해야하나?????

그래서 프리즘코리아에 sos를 칩니다.






프리즘코리아의 as상담은 편리하게 되어있습니다.

톡으로 불량및 궁금증및 기타 as관련 문의를 하면 최대한 빠른 시간내에 답변을 줍니다.

1. 프리즘코리아 카카오톡 채널.

https://pf.kakao.com/_xdQxcad


3. 고객센터 : 제품 / AS 문의 1522-2593 , 구매 및 배송문의 070-4421-4969

운영시간 AM 09:30 - PM 05:30 | 점심시간 PM 12:30 ~ PM 01:30 | 주말 및 공휴일은 휴무입니다.

그렇게 불량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메일로 받았습니다.

커뮤니티 돌아다니면 아시겠지만 중소기업tv의 가장큰 단점으로 거론되는것은 as입니다.

좋은 제품도 많고 조금더 저렴한 제품도 많지만 중요한것은 as입니다.

이름을 나열하기는 그렇습니다만 다나와 판매순위나 네이버 판매순위및 인기도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실사용자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중소기업tv중에 as관련된부분이나 품질부분의 프리즘코리아 평가는 상당히 높습니다.

그전까지는 더햄이나 고추냉이브랜드를 추천했는데 1~2년전부터는 프리즘코리아가 최고라는평이 압도적이었습니다. 저도 프리즘코리아의 as및 품질에 대한 실사용자의 평가때문에 구입하게된 경우이긴하지만...

어찌되었건 문제의 방법은 펌웨어 업그레이드!!!

위와같은 방법으로 설정값을 만졌을때 백라이트 설정값이 사용자가 원하는데로 설정값이 기억될 경우 굳이 펌웨어를 바꿀필요는 없습니다.

더 디테일하게 조질수 있기때문이죠.

하지만 저는 백라이트 설정값이 롤백되는 현상이 있어서 어쩔수 없이 업데이트를 실행하게됩니다.






1. 파일을 usb메모리에 넣습니다.

2. tv의 전원코드를 완전히 제거후 1분이 지난상태에서 usb를 tvusb단자에 넣습니다.

그렇게 되면 위 사진처럼 천천히 led가 깜빡입니다.-메모리를 읽고 있다는것이지요.







3. 빠르게 led가 깜빡이면 펌웨어 업데이트가 마무리되었다는 표시입니다.

그후 tv전원을 끈후 메모리를 제거합니다.


https://youtu.be/u4rlsP158hY




펌웨어 업그레이드후 백라이트 설정하는 항목부분이 없어졌습니다.

그리고 HDR 설정항목이 생겼네요.

HDR기능은 두가지. 자동인식이 되지 않으면 수동으로 잡아주면 됩니다.





펌웨어 업데이트를 진행하면 그전까지 개거품 물고 디테일하게 조졌던 설정값은 날아갑니다.

메뉴에 1147들어가서 기본설정값을 잡아주고 다시 tv의 설정값을 대충 만져줍니다.

정말 대충 만져주었습니다.

대충 만져주었는데 펌업의 설정값이 기본으로 잡혀있는게 훌륭한건지..

아니면 제가 대충 만져준게 딱 맞아 떨어진건지.

화질 열화없이 마음에 들정도로 색감과 화질이 잡히네요.






대충 잡은 값이 이정도 입니다.

4k전용 채널이긴하지만 일전에 있던 55인치 4k tv보다 훨씬 좋아졌습니다.

칩셋의 발전때문인지 아니면 LG IPS( RGB)패널의 힘인지는 모르겠습니다.






그전에 55인치tv사용할때에도 급할때 모니터로 사용할때도 있었고 취미가 영화보기인지라 컴퓨터나 usb로 영화를 정말 많이 보는지라 pc모드에서 설정할 값을 잡아줍니다.

PC와 연결해서 사용할때 가장 중요하게 살펴봐야할것은 tv가 크로마샘플링 4:4:4를 지원하는지 여부입니다.

요즘에는 기본지원이긴 하지만 크로마샘플링 지원되지 않으면 4:4:2나 4:4:0으로 설정되고 주파수를 30hz뿐이 사용하지 못해서 pc모드로 사용하기에는 마우스나 화면주사율이 30hz로 고정되기때문에 자연스럽지 못하고 무리가 따릅니다.

즉 4:4:4 크로마 샘플링이 지원되면 주파수도 60hz가지 올려서 사용하게되므로 모니터와 똑같은 주사율이므로 부드럽게 사용이 가능하기에 아주 중요하다 할수 있습니다.

1. HDMI 4K 상승 모드로 바꾸시고 -> HDMI 모드 PC(Graphic)->3. 화면크기(point to point)-> 노이즈제거 (최고)외에 GENERAL SETTING => Picture Mode에서 Sharpness만 0 여기서 contrast나 brightness나 color등은 건들지 않는게 좋습니다.

w/b인 rgb갑도 건들지 말고 pq advanced의 gamma만 만져보면서 명암부분 확인하시고 vip는 off

그리고 hdmi rgb range는 최고로 올려주시면 됩니다.

밝기만 살짝 조절하시면 같은 완!벽!한! 화질의 PC화면을 볼수 있습니다.







한가지 아쉬운점은 있습니다.

패널 점검과정에서 베젤의 접합부분이어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모서리 끝부근이 살짝 어둡습니다.

대기업제품에서도 비슷한 경우가 많지만 이정도는 실사용할때에는 크게 지장을 받는다거나 이질감을 찾아볼수 없을정도이긴 합니다.

다행인건 IPS종특이라고 할수 있는 빛번짐이나 빛샘은 거의 없고 색의 균일감도 상당히 우수합니다.

불량화소도 없었네요.

패널자체의 수준은 상당히 높은편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55인치tv를 급하게 모니터로 사용할때에는 가독성도 그렇고 색감도 이질감이 있어서 웹서핑을 하지 않았는데 프리즘 65인치 PT650UD 4K UHD TV tv채널 감상하는것보다 pc모드로 사용하는게 만족스러울 정도로 가독성도 좋고 색감도 괜찮았습니다.

글자가 너무 작게 느껴지신다면 도트만 키우면되는데 저는 120~150정도가 좋았습니다.

동영상은 pc로 연결해서 유튜브를 틀은화면인데 이정도면 정말 훌륭하다고 생각합니다.








비슷한 스펙과 비슷한 가격대의 제품은 여럿있습니다.

TV선택에 있어서 제일 중요한건 가격이나 스펙이 아니라 패널의 제조사와 패널의 종류가 상당히 중요합니다.

프리즘 65인치 PT650UD 4K UHD TV는 듣보잡의 중국브랜드 패널이 아닌 LG IPS에 RGB방식의 패널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색균일도및 색감도 상당히 우수한 편이고 빛샘이나 불량화소도 없는 양품이었습니다.

메인칩셋은 MSTAR 3683칩으로 부팅시간까지 3~5초면 됩니다.

HDR10을 지원하고 있고 모든 단자는 hdmi2.0을 지원하고 있으며 hdcp2.2가지 지원되므로 각종 주변기기 특히 게임기나 pc등을 이용하기에 완벽하다고 할수 있습니다.

hdmi1단자는 (CEC/ARC)지원함으로써 주변기기와 전원관리를 공유할수 있습니다.

주변기기필요없이 USB연결로 다양한 멀리티미어를 즐길수 있으며 최신포멧인 h264/265까지지원함으로써 usb연결해서 동영상 감상이나 멀티미디어 플레이는 전혀 무리가 없습니다.

거기에 에너지 효율등급이 1등급이라서 전기효율을 생각했을대 안심이 됩니다.

하지만 단점도 있습니다.

중소기업tv의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되는 스피커 부분인데 크게 좋다고 말할수는 없습니다. 일반적인 tv감상에서는 soso하지만 박진감있는 영화나 혹은 음악방송등을 위해서는 별도의 사운드바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또한가지는 완벽하게 마음에 쏙 들게 하기위해서는 별도의 설정을 만져야할 필요가 있습니다.

모든 중소기업tv의 공통적인 부분이지만 부모님이나 지인분에게 선물한후에는 딱한번 설정을 잡아줄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단점으로 지적된 두가지는 거의 대부분 중소기업tv에 해당되는 부분이고 이를 제외한다면 프리즘 65인치 PT650UD 4K UHD TV는 40만원 초반대에서는 엄청나게 잘나온 제품이라고 말할수 있습니다.

사용기를 올리기전 충분히 테스트하고 주말을 이용해서 대형마트등을 돌아다니면서 비교를 해봤지만 대기업엔트리급에 버금가는 화질을 보여주고 있고 중소기업제품에서는 top급에 속하는 그레이드를 확인할수 있었습니다.

4년전 구입했던 55인치 4K UHD TV가 있음에도 모험적으로 구입했는데 이정수준이면 공간만 된다면 한대더 구입하고 싶을 정도로 만족스럽습니다.

부모님집에는 예전에 선물해드린 LGTV를 사용하고 계시고 처가집은 삼성TV를 사용하고 계시는데 혹 망가진다면 프리즘 제품을 고려할만큼 만족스러운 경험이었습니다.

중소기업tv에는 뽑기라는게 존재하기에 다른분들은 어떻게 사용하시는지 모르겠습니다.

현명한 판단과 현명한 소비 하시길 바라겠습니다.

본제품은 제돈주고 구입해서 올리는 사용기입니다.

제품을 가장 저렴하게 구입하는 방법 4가지.

1. 네이버쇼핑

https://search.shopping.naver.com/catalog/14014686869?query=pt650ud&NaPm=ct%3Dkjasqoeo%7Cci%3Dccaf752f144ba82804b3cd90367e43344fb9d5af%7Ctr%3Dslsl%7Csn%3D95694%7Chk%3Dd127d70f77fa81e872787a3145161984d223ddd5


#프리즘TV #프리즘티비#프리즘코리아#가성비티비#스마트tv#안드로이드tv#pt650ud#650ud#65인치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관련 카테고리

1/1
소비자사용기 최신 글 전체 둘러보기
1/1
사용기 타무즈 T880-V4D-ARGB CPU 공랭 쿨러 화이트 셋업
간단 사용기 자취생 게이밍 노트북 추천 MSI 소드 17 HX B13VGKG-i9 QHD
사용기 기가바이트 GS27QA 모니터 사용후기 (4)
사용기 Gigabyte GS27QA 후기! (4)
간단 사용기 ASUS [RTX5070/라이젠9] G614PP-S5036 사용기 (4)
사용기 게임부터 영상편집까지, 얘는 진짜 다 합니다 몬스타 비비드 실사용기 (4)
사용기 제이씨현 유디아 ED2731HF VA 27인치 화이트 모니터 내돈내산 추천 (4)
사용기 대장급 듀얼타워형 CPU 공랭쿨러 타무즈 T880-V4D 블랙 (5) 다나와 리포터
사용기 삼성 오디세이 G5 S32DG500 리뷰 (4)
사용기 에이서 아스파이어 go 가성비 노트북 AG14-71M-54YH 사용기 (4)
사용기 조용한 괴물 등장! 몬스타 블루리치 실사용기 (4)
사용기 고급진 다기능 쓰레기 키보드라 생각했는데 단축키로 해결 (5)
사용기 진짜 ‘작업용 끝판왕’이 뭔지 보여드립니다. 몬스타 가츠 매스59 (5)
사용기 업무용 끝판왕 와이드모니터, 알파스캔 3824Q WQHD IPS 블랙 38인치 모니터 리뷰 (5)
사용기 수면 이어폰 추천, 디비비츠 포미버즈(For me buds)로 꿀잠 자본 후기 (8)
간단 사용기 이정도면 혜자 GIGABYTE 지포스 RTX 5070 GAMING OC D7 12GB 피씨디렉트 구매후기 (5)
사용기 한성 TFG27U1428P 사용기 리뷰 (6)
사용기 거대한 성능의 은하계, 몬스타 유니버스 58 사용기 (5)
사용기 제이씨현 유디아 ED2731HF IPS 27인치 화이트 모니터 내돈내산!!! (4)
사용기 라데온으로 만끽하는 새로운 게임세상!~ XFX 라데온 RX 9070 XT 퀵실버 화이트 D6 16GB와 함께!~ (4)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