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에서 새롭게 출시한 NVMe SSD 신모델을 하나 출시했습니다.
바로 980 NVMe M.2 SSD 1TB라는 이름의 제품인데요.
기존에 출시한 980 PRO의 보급형 SSD라고 할 수 있는데요.
나름 삼성에서 출시한 SSD 중 가성비 제품의 역할을 하게 될 겁니다.
그래도 NVMe 인터페이스와 PCIe 3.0 기술을 지원하는 제품이다 보니 충분히 좋은 성능을 보여주지 않을까 생각이 드네요.
그럼 삼성 980 NVMe M.2 SSD를 살펴보겠습니다.
삼성 980 NVMe M.2 SSD의 패키지 모습입니다.
맨 위 전면 사진과 박스의 전체적인 디테일을 살펴보기 위해 첨부하였는데요.
제품 자체의 크기가 작은 만큼 박스의 크기도 작습니다.
전체적으로 블랙 컬러를 활용한 박스로 제품의 시리얼 넘버가 적혀있는 씰 스티커가 붙어 있습니다.
박스 내부에는 본품과 설명서가 들어 있는데요.
이동 중 제품이 흔들리거나 하지 않도록 가이드로 잘 고정시켜놨더라고요.
설명서도 블랙 색상으로 삼성 마크가 눈에 확 들어오네요.
삼성 980 NVMe M.2 SSD는 M.2 2280 규격의 제품으로 외관은 기존 제품들과 큰 차이가 없어 보이더라고요.
아무래도 규격화된 제품이다 보니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겉모습에는 크게 차이가 없을 거기도 하고요.
손으로 들고 보면 확실히 크기가 작다는 게 느껴지더라고요.
기존에 사용하던 직사각형 모양의 SATA 방식 SSD보다 확연하게 크기가 줄어들었으니까요.
이 제품의 사이즈는 80.15x22.15x2.38mm이며 무게는 8g 정도입니다.
영상으로도 삼성 980 NVMe M.2 SSD의 모습을 담아봤습니다.
인터페이스는 PCIe Gen 3.0x4이며 프로토콜은 NVMe 1.4, 그리고 1테라 바이트(TB)의 용량으로 되어 있습니다.
(1TB 외에도 250GB와 500GB 제품이 있습니다.)
스토리지 메모리의 경우 V-NAND 3-bit MLC이며 SSD 내부에 D 램이 없는 제품입니다.
그러다 보니 캐시메모리에는 HMB(Host Memory Buffer) 기술이 적용되어 있는데요.
HMB는 PC에 탑재된 D 램과 직접 연결하는 기술로 D 램이 있는 제품과 같은 성능을 유지할 수 있게 해줍니다.
D 램을 탑재하지 않은 만큼 원가를 절감하여 가성비 부분을 높인 제품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삼성 980 NVMe M.2 SSD는 DRAM-less 설계 기반으로 최대 3,500 MB/s의 연속 읽기와 3,000 MB/s 연속 쓰기 속도를 보이며 이는 기존 SATA SSD보다 6.2배 빠른 속도라고 합니다.
이 외에도 니켈 코팅 컨트롤러와 열 분산 필름으로 안정적인 발열 관리가 가능하다고 하는데요.
이제 메인보드에 장착하여 사용해보면서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삼성 980 NVMe M.2 SSD를 장착할 컴퓨터의 스펙은 아래와 같습니다.
CPU : i5-10400F
메인보드 : ASUS TUF Gaming B560M-PLUS
메모리 : 삼성 DDR4 PC4-25600 8GBx2
그래픽카드 : ASUS RTX 3060 TUF Gaming O12G Gaming OC D6 12GB
파워 : 쿨러마스터 ELITE V3 P700 85+ 600W
최근에 업무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구매한 컴퓨터인데요.
메인보드에는 WD Blue NVMe SSD SN550 M.2 2280 500GB 제품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기존에 장착하고 있던 제품은 분리하고 삼성 980 NVMe M.2 SSD를 설치해 줬습니다.
메인보드마다 설치 방식이 조금 다를 수 있으나 방열판 및 나사 여부에 따라 과정만 살짝 다를 뿐 비슷하게 장착됩니다.
장착이 끝나고 윈도우를 설치한 후 CrystlaDisk Info 프로그램을 이용해 정보를 확인해 봤습니다.
테스트 당시 상태도 좋고 온도도 30도 이하로 나오네요.
윈도우 설치하면서 재부팅을 몇 번 했더니 사용 횟수가 6회로 나오네요.
AS SSD Benchmark도 돌려봤는데요.
읽기 2396.68 MB/s와 쓰기 1622.91 MB/s의 속도로 나오네요.
4K 쪽은 읽기 46.16 MB/s와 쓰기 102.01 MB/s의 속도가 나타났는데요.
최종 스코어는 4904점이었습니다.
다음으로 CrystalDiskMark 테스트 결과인데요.
여기선 1mb 크기의 데이터 8개를 연속 묶음 측정 시 읽기 3415.53 MB/s와 쓰기 2827.25 MB/s의 결과가 나왔습니다.
1mb 크기의 데이터 1개 연속 묶음 측정 시에는 읽기 1826.06 MB/s와 쓰기 1835.64 MB/s의 결과가 나왔네요.
제가 기존에 사용하던 500gb 용량의 타자 제품 대비 빠른 결과가 나왔더라고요.
(기존 사용하던 타사 제품의 경우 Q8T1에서 읽기 2470.32 MB/s와 쓰기 1811.76 MB/s의 결과가 나왔습니다.)
그리고 연속 쓰기를 진행하면서 시간과 속도를 파악하는 나래온 더티 테스트도 진행해봤는데요.
최대 속도는 2681 MB/s였으며 최소 속도 31MB/s, 평균 속도 834 MB/s가 나왔습니다.
그리고 평균 속도 50% 미만 구간은 총 5.6%가 나왔는데 생각보다 많이 나오긴 했네요.
외부 프로그램을 통해 삼성 980 NVMe M.2 SSD를 테스트해봤는데요.
삼성의 경우 SSD를 관리하고 테스트할 수 있도록 Samsung Magician이라는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벤치마크를 알아보거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요.
삼성 매지션을 통해 알아본 결과는 읽기 3549 MB/s와 쓰기 2730 MB/s였습니다.
이렇게 삼성전자 980 NVMe M.2 SSD를 장착하고 테스트해봤는데요.
1TB의 용량으로 걱정 없이 파일을 저장할 수 있어 C 드라이브가 용량이 부족할 일이 없었습니다.
그리고 삼성 매지션을 통해 SSD를 관리하고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할 수 있어 편했고요.
HMB 기술과 NVMe의 효율성을 통해 PCIe 3.0에서 최고에 가까운 속도를 발휘합니다.
최대 600 TBW와 제한적이지만 5년의 보증을 제공하며 삼성의 자체 솔루션을 통해 검증된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그리고 컨트롤러 니켈 코팅을 사용해 열 관리를 도와주며 열 분산 필름을 장착해 NAND 칩의 발열을 효과적으로 관리해 주고요.
이 외에도 삼성의 최첨단 열제어 알고리즘이 적용되어 있어 스스로 열을 관리하여 오랫동안 안정적인 성능을 발휘하게도 해주고요.
2002년부터 플래시 메모리 부문 세계 1위인 삼성의 독보적인 성능과 안정성으로 디램리스 제품임에도 빠른 속도와 성능을 갖추었더라고요.
결과적으로 980 NVMe M.2 SSD는 삼성에서 출시한 가성비 SSD로 PC의 디램을 사용하는 HMB 기술을 통해 충분한 성능을 보여주는 가성비 제품이라고 생각이 되더라고요.
그래도 이 제품에 대한 아쉬운 점은 있었는데요.
방금 제가 말한 삼성의 가성비 SSD라고 하지만 디램리스임에도 타제품들에 비해 가격대가 저렴하지만은 않다는 점입니다.
디램(DRAM)이 장착된 SSD를 선호하는 분들이 많은 상황에서 타사 대비 가격대가 있다 보니 그만큼 경쟁 제품들이 많다는 점이 단점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지금은 출시 초기라 가격대가 20만 원에 근접하게 형성되어 있지만 어느 정도 가격대가 자리를 잡게 되면 최고의 가성비 SSD라는 수식어가 어울리는 제품이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