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품 스펙
순차 읽기 : 최대 2300MB/s
순차 쓰기 : 최대 940MB/s
TBW : 150TBW
MTTF : 150만시간
메모리 방식 : QLC
Micron Crucial P2의 상자입니다. 제품 상자 앞쪽에는 정품 스티커가 붙어있으며 모델명과 제품 용량 정도만 표기되어 있습니다.
반대면에는 제품의 정보, 설명들을 알 수 있는 홈페이지 주소가 소개되어 있습니다. 마이크론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SSD용 소프트웨어를 다운받을 수 있고 사용하는데 유용한 기능이 있기 때문에 공식 홈페이지에서 소프트웨어를 다운 받는 것이 좋습니다.
상자에는 봉인 테이프가 적용되어 있어 봉인테이프를 제거해야 개봉이 가능합니다. 상자를 개봉하면 SSD는 플라스틱 틀에 보관되어 있으며 매뉴얼이 함께 들어있습니다.
마이크론 크루셜 P2의 앞쪽 모습입니다. 스티커에 모델명, 시리얼 번호, 용량 등의 정보고 표기되어 있습니다.
기판의 경우 검정 기판이 사용되어 있으며 사이즈는 가장 대중적인 2280 사이즈입니다.
M.2 슬롯 부분입니다. NVMe SSD인 만큼 M키 부분만 뚫려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SATA 방식의 경우 반대쪽도 뚫려있어 3다리 모양의 단자를 가지게 됩니다.
500G 제품인 만큼 반대쪽에는 특별한 메모리나 소자 등이 적용되지 않았습니다.
NVMe 방식의 SSD를 지원하는 M.2 슬롯에 장착하면 바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메인보드에 해당 슬롯이 없는 경우에는 PCIe 슬롯을 M.2로 변경해주는 별도의 커넥터가 필요합니다.
설치 후 크리스탈 인포 정보를 확인한 모습입니다. PCIe 3.0*4 를 사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저장장치 벤치 프로그램인 CrystalDiskMark와 AS SSD입니다.
크리스탈 디스크 마크의 경우 스펙상의 속도와 거의 유사한 정도의 속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AS SSD와 흡사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성능상 체감이 큰 4K 속도 역시 두 프로그램에서 나쁘지 않은 수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ATTO 테스트 프로그램입니다. 크리스탈 디스크 마크와 AS SSD보다 최대 읽기, 쓰기 속도가 보다 빠른 결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드라이브 내에서 약 36기가의 파일을 복사하는 모습입니다. 마이크론 P2의 경우 디램리스, QLC 제품이기 때문에 지속 쓰기에 있어서 약점이 있지만 36GB 정도의 파일 사이즈는 큰 속도하락 없이 읽기와 쓰기 작업이 동시에 진행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테스트 중 온도입니다. Asrock Z390 EX4의 기본 방열판이 장착된 상태이며 일반적인 환경보다 훨씬 가혹한 지속적인 쓰기 작업 상태에서 측정하였습니다.
최고 온도는 60도 정도로 상당히 준수한 편이었는데 일반적인 유저 환경에라면 방열판이 없더라도 발열 문제를 크게 신경쓸 필요가 없는 수준입니다.
마이크론 공식 홈페이지에서 Storage Executive 소프트웨어를 다운받아 SSD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제품 상태, 펌웨어 업데이트, 포맷, 오버 프로비저닝 등의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관리를 위해서는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모멘텀 캐쉬라고 불리는 기능을 활성화 할 수 있는데 해당 기능을 사용하면 시스템의 메모리를 이용하여 제품 속도를 보다 빠르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디램리스 제품에 더욱 유용하기 때문에 시스템 메모리에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옵션을 켜주면 보다 쾌적한 사용이 가능합니다.
단점의 경우 정전시 데이터가 손실될 수 있다는 점인데 정전이 자주 발생하는 경우 등에서는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모멘텀 캐쉬를 활성화 한 후의 벤치 결과입니다. 시스템 메모리를 캐싱에 사용하여 훨씬 빠른 속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물론 체감 속도가 수치만큼 극단적으로 향상되지는 않지만 분명한 효과는 있기 때문에 메모리 공간이 넉넉한 경우 사용하면 효과를 느낄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M.2 NVMe SSD 마이크론 P2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제품 성능의 경우 최근 출시하는 타 제품들에 비해 크게 뛰어난 편이 아니며 하드웨어 구성 역시 QLC에 Dramless이기 때문에 뛰어난 성능을 요구하는 유저들의 조건에는 부합하지 못합니다.
하지만 NVMe SSD 중 가장 저렴한 수준의 가격을 형성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더 많이 사용하는 읽기 속도 역시 준수한 편이기 때문에 가격적인 부분에서 메리트가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마이크론의 모멘텀 캐쉬 등의 기능을 활용하면 제품의 단점을 어느 정도 보완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준수한 읽기 성능을 통해 게임 설치용 등으로 사용하기엔 충분한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작업용이나 메인 저장장치로 추천하기는 힘들지만, 읽기 작업이 주를 이루는 게임 등으로 사용한다면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시스템을 구성하는데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