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품 스펙
Crucial Ballistix는 마이크론사에서 출시하는 튜닝메모리입니다. 튜닝메모리인만큼 방열판이 적용되어 있으며 방열판은 하얀색과 검은색으로 나뉘고 있습니다. (빨간색 모델도 있으나 현재 국내에는 정식으로 들어오지 않은 것 같습니다.)
Ballistix 3200 모델의 경우 1.35V, 3200MHz, 16-18-18-36의 램 타이밍을 가지고 있는데 XMP를 통해 손쉽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2. 언박싱
제품 패키지입니다. 플라스틱 틀 안에 포장되어 있으며 메모리를 제외한 별도의 구성품은 없습니다.
검은색 기판, 검은색 방열판을 지닌 심플한 외관을 하고 있습니다. 크게 튀지는 않지만 깔끔한 방열판 디자인을 하고 있으며 검은색 기판과 통일감이 괜찮습니다.
방열판 중앙 쪽에는 발리스틱스라는 문구가 적혀있으며 아래쪽에는 크루셜이 적혀있습니다. 크루셜의 경우 마이크론에서 출시하는 메모리와 SSD 모두에게 붙는 이름이며 발리스틱스는 마이크론의 튜닝램에 한해서 붙는 네이밍입니다.
방열판의 앞면과 뒷면의 디자인 자체는 사실상 동일하지만 한 쪽 면에 제품 넘버와 인증 마크 등이 붙어있는 것이 차이입니다.
일반적으로 램을 장착하고 보게 되는 윗면입니다. 발리스틱스 로고가 적혀있습니다.
방열판의 경우 메모리 모듈 쪽에 잘 밀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방열판의 두께 자체가 아주 두꺼운 편은 아니지만 알루미늄 방열판이 잘 적용되어 있어 일반적인 상황에서 문제없이 사용이 가능합니다.
또한, 방열판 자체의 크기 자체가 큰 편이 아니기에 CPU 쿨러 등과의 간섭 문제에서도 비교적 자유로운 것이 장점입니다.
4. 설치 및 세팅
메인보드마다 메모리 우선순위가 있는데 원활한 오버클럭이나 XMP 등을 위해서는 우선순위가 높은 슬롯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슬롯이 4개인 메인보드를 기준으로 CPU에서 조금 더 먼 2,4번 슬롯이 우선이며 메인보드 매뉴얼에 적혀있습니다.
제 보드의 경우 2,4번 슬롯이 메인이기 때문에 해당 슬롯에 장착하였습니다.
타이푼버너를 통해 본 메모리 스펙입니다. 마이크론 E 다이가 사용되었으며 기본 클럭은 2666MHz입니다.
메인보드의 메모리 관련 항목에서 손쉽게 오버클럭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인텔 시스템의 경우 XMP 라고 표현되어 있으며 AMD 시스템의 경우 XMP가 아닌 DOCP로 표기되어 있을 수 있으니 그 부분을 확인해서 메모리에 기본 저장된 프로파일을 넣어주면 됩니다.
왼쪽은 XMP 미적용 오른쪽은 XMP 적용 상태입니다. 적용 후 3200MHZ와 16-18-18-36의 타이밍이 정상적으로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테스트
*시스템
CPU : intel i5 9600KF
M/B : Asrock Z390 EX4
VGA : RTX2070 Super
SSD : SAMSUNG PM981a
메모리 레이턴시를 측정하는 벤치마크인 AIDA64입니다. XMP 적용 전에는 약 58ns 적용 후에는 48ns 상당한 레이턴시 차이를 보여줍니다.
그 외에도 메모리 관련 읽기 쓰기 항목 모드 상당히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가 기본 클럭 아래쪽이 XMP 적용 후입니다. 역시 모든 항목에서 XMP 적용 후가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상승폭도 제법 있는 편입니다.
CPU의 성능을 테스트하는 시네벤치입니다. 왼쪽이 XMP 미적용 오른쪽은 XMP 적용 상태인데 멀티 코어 성능 차이가 상당히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비교적 CPU의 영향을 많이 받는 FHD 환경에서 게임 프레임 비교를 해보았습니다. 위에서 테스트한 2종의 게임에서는 XMP 적용 후 프레임이 상승하였으며 어쎄신 크리드 오리진의 경우 상승폭도 상당한 편입니다.
게임에 따라 성능 향상 폭은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메모리 오버클럭을 진행하면 프레임이 향상되며 상당히 향상폭이 큰 게임도 있습니다. 특히 FHD 환경에서 게임을 하는 경우 QHD나 UHD에 비해 그 차이가 조금 더 있는 편입니다.
6. 추가 오버클럭
바이오스의 오버클럭 옵션에서 추가적인 오버클럭을 진행해 보았습니다.
랩 전압은 1.35V로 고정하고 3600MHz CL18를 시도하였으나 부팅이 되지 않았으며 tm5 5회차 기준으로 안정화가 가능한 수준은 3400MHz CL16이었습니다.
(CPU와 메인보드 그리고 추가 전압에 따라 최대로 넣을 수 있는 클럭은 달라집니다.)
3400MHZ CL16이 적용된 모습입니다. 3200MHz 상태보다 레이턴시가 조금 더 좋아졌습니다.
CPU나 보드에 따라 추가적인 오버클럭 마진은 조금씩 달라질 수 있지만, XMP 적용된 수치보다 약간 높은 정도는 쉽게 넣을 수 있어도 3600MHz 이상의 클럭을 1.35V에서 넣는 것은 아주 쉬워 보이진 않았습니다.
7. 마치며
마이크론 Crucial Ballistix 8GB DDR4-3200 CL16 모델의 경우 3200MHz의 램클럭과 16-18-18-36의 램 타이밍이 적용된 튜닝 메모리입니다. XMP 프로파일을 적용하여 손쉽게 오버클럭을 적용할 수 있으며 XMP 프로파일 적용 전과 후의 성능 차이는 어느 정도 있는 편입니다. 특히 FHD 환경에서 게이밍을 즐기는 경우에는 게임 타이틀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제품 디자인 역시 알루미늄 방열판으로 깔끔하게 되어 있으며 방열판도 메모리의 열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잘 되어 있습니다.
평소 깔끔한 디자인의 튜닝 램을 선호한다면 Crucial Ballistix 8GB DDR4-3200 CL16는 나쁘지 않은 선택이 될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