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D가 출시된지 이제는 꽤나 시간이 흘러서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그래도 아직까지 HDD에 비하면 가격적으로 부담을 가질 수 밖에 없죠..
초창기 SSD에 비해 가격들이 많이 저렴해진것도 있고,
보급형 SSD들이 시장에 많이 풀려 있기도 하죠.
그래서인지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OS(운영체제)는 SSD를 이용하는 경우가 정말 많아졌습니다.
특히, 이제는 1TB SSD들의 가격들이 상당히 내려와서 가시권에 들어왔다는 생각도 듭니다.
어쩌면 2TB 제품들도 가지고 싶어지는 시점이 되었죠.
그래서 이번에 소개해드릴 SSD는
[ Sandisk Ultra M.2 NVME SSD 2TB ] 입니다.
요 제품은 WD SN550과도 형제 관계로 라벨과 명칭만 다를뿐 사실상 같은 제품이라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작년 말부터 특가로 20만원대 초반에 풀리기 시작하면서 많은 분들이 구매를 했죠.
기본적인 제품의 스펙입니다.
SSD는 용량이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성능도 좋아지고 내구성은 특히 더 좋아집니다.
기본적인 박스는 사실 뭐 별건 없습니다.
공식 유통사의 a/s 보증을 위한 스티커와 스펙 표시가 있을뿐이죠.
내부도 간단하게 패키징을 위한 플라스틱 박스와 설명서입니다.
종이에는 한글로 적혀있는 문구는 없었습니다. (다른 언어는 있으면서.. )
전체적인 모습은 정말 심플하기 그지 없습니다.
이게 정말 2TB의 용량을 가졌나 싶을정도로 말이죠..
기존에 있었던 SSD와 다르게 굉장히 휑한 기판들... 기술의 발전은 정말...
가까이서 찍으면 이렇게 정보를 보여주는군요.
2TB!! 저 작은 공간이.. 2TB.. 물론, 실 공간은 이보다 적겠지만요..
반대쪽 연결부분에도 찍었습니다. NVME 연결부와 소자들...
뒷판은 더욱더 심플합니다.
제가 사용하는 메인보드는 MSI B550 토마호크입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M.2 NVME SSD가 있기에 아래쪽에 설치해줍니다.
일단 방열판을 떼어내고 결착해줍니다.
그리고 방열판을 나사로 조여주면 끝나죠.
기본적인 성능을 알아보고자 크리스탈 디스크 마크를 돌려봅니다.
버전은 8.0.1이며,
디스크 내부 용량을 807GB(전체용량의 43%)정도 사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테스트하였습니다.
전체적으로 무난하게 제성능을 보여주고 있군요..
디램리스라고 하지만, 4K랜덤읽기 성능도 꽤나 준수합니다.
크리스탈 디스크 인포입니다.
기본적인 정보를 볼때 사용하고 있습니다.
혹은 WD에서 나온 Dashboard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샌디스크 제품이지만 WD 산하이기도 하니, 이걸로도 확인할수 있더군요..
마지막으로 실제 파일을 옮겨보았습니다.
약 40GB정도의 용량의 단일파일을 이용하여 복사를 해보았습니다.
대략적으로 30GB까지는 캐슁이 이루어지는 것을 볼수 있습니다.
이때 속도는 대충 1,500 ~ 1,600MB/s로 복사가 이루어지고,
그후 캐슁이 끝나는 순간부터는 750~800MB/s 속도를 유지합니다.
일반적인 SATA SSD에 비하면 더 빠른 속도로 복사를 해주기에,
이 정도만 해도 일반적인 사용자라면 뭐.. 불만없이 사용할수 있을거 같습니다.
더불어서 온도도 그렇게 높지 않기에 발열관리에도 굉장히 탁월합니다.
PCIe 4.0을 지원하는 M.2 NVME 제품들이 시장에 나와있지만,
아직은 가격대가 높습니다.
자신의 사용처가 어떤것인지 분명하게 인지하고 사용하는것이 중요할거 같습니다.
단순한 일반사용자라면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용량이 높은 이런 제품을 선택하는것도
현명한 소비가 될거 같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