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기업들이 전기차 확산 추세에 따라 배터리를 자체 생산하는 배터리 내재화를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이는 자칫 전기차로 전환될 경우 전기차의 핵심이랄 수 있는 배터리는 배터리 전문 기업으로부터 공급 받으며 배터리 기업들에 중심을 내주고 자칫 기존 완성차 업체들은 자신들이 전기차 껍데기만 생산하는 형태로 전락할 수 있다는 위기감 때문일 거 같습니다.
이런 배터리 내재화를 위해 직접 배터리 개발과 생산을 준비하는 것은 물론이고 배터리 전문 기업과 합작법인을 설립하거나 지분 투자를 하거나 하는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내재화에 나서고들 있습니다.
이런 차원에서 현대차도 얼마전 미국 리튬메탈 배터리 개발사인 솔리드에너지시스템에 1억 달러 투자 계약을 체결했고, 아시다시피 우리 배터리 전문 기업인 LG에너지솔루션은 미 GM과 합작 법인을 설립하고 미국에 공장으 짓고 있죠. SK이노베이션도 미 포드와 합작을 추진한다고 발표한바 있구요.
EU도 EU 차원에서 중국과 한국 중심으로 흘러가는 배터리 업계의 상황을 향후 전기차 중심으로 전환되는 자동차 시장의 경쟁력을 감안해 EU내에 배터리 경쟁력 내재화를 추진하고 있죠. 그런 차원에서 폭스바겐이 유럽에 6개의 배터리 공장을 짓겠다고 했습니다.
이런 흐름에 따라 우리 완성차 업계와 배터리 전문 기업의 입장은 서로 다르겠지만 변화하는 흐름을 잘 읽어서 미래에도 각자의 위치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전략을 잘 수립해 살아남고, 지속 가능한 성장 모델을 강구해 나갔으면 좋겠네요.
주요 배터리 기업들도 우리 기업이고, 현기차 같은 우리 완성차 기업들도 전기차 시대에서도 경쟁력을 갖고 성장해 우리 경제에 기여를 했으면 싶은데 이게 상황이 어느 한쪽만을 응원할 수도 없고 ... 각사가 현명하게 대응해 이런 변화에서도 우리 경제와 일자리에 많은 기여를 해주었으면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