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들어가며
최근 데스크탑 컴퓨터의 업그레이드 작업을 구상하면서 컴퓨터의 주요 주품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이것 저것 열심히 연구중에 좋은 기회로 파워 서플라이와 미들타워 케이스의 체험을 하였습니다.
공교롭게도 두번의 체험은 모두 잘만(ZALMAN)사의 가성비 제품이었고, 개인적으로 좋아하던 브랜드 중 하나이기 때문에 이번에는 작심하고 잘만사의 CPU쿨러의 체험을 신청하였습니다.
몇 차례의 도전끝에 체험단에 당첨되어 이렇게 리뷰를 할 수 있어 기쁜 마음입니다.
최근에 인기가 많은 AMD의 5600g, 5600x와 같은 고성능 CPU들은 성능과 비례하여 발열도 심하기 때문에 CPU의 쿨링 성능은 컴퓨터의 성능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저 역시 CPU와 메인보드의 교체를 계획중인데, 기본 제공되는 쿨러로는 발열은 물론 소음부분에서도 전문 CPU쿨러에 미치지 못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현재 사용중인 CPU는 오래된 모델이라 발열이 문제가 될만큼의 고성능 CPU는 아니지만 소음이 좀 많아 불만이었습니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오래된 구형 CPU에서
발열 제어 효과는 어느 정도인지?
특히 소음감소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두 가지 부분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2. 개봉 및 구성품
패키지를 살펴보겠습니다.
박스 전면은 블랙의 느낌을 잘 살려주는 멋진 디자인입니다.

측면에는 웹사이트 방문을 위한 QR코드와 특장점을 요약해 놓았습니다.
고급스러운 블랙 마감, 터빈블레이드 팬, 히트파이프의 직접접촉으로 방열효과 극대화 정도가 되겠네요.
반대편 측면에는 쿨러의 기본적인 스펙을 상세히 적어 놓았고, 모델 넘버와 호환 CPU정보가 있습니다.
뒷면에는 여러 언어로 특장점에 대해 잘 설명해 놓았습니다.
개봉실이 잘 붙어있는 것을 확인하고 개봉을 해 보겠습니다.
포장을 꺼내면서 느낀점은...와 쿨러가 큼직하고 방열판도 멋있다 였습니다.
이런 촘촘하고 커다란 방열판은 처음 사용해 보는 것이기도 하지만 135mm 크기의 팬도 참 듬직합니다.
팬의 크기도 크기이지만, 선풍기처럼 날개만 돌아가는 일반적인 팬이 아니라, 날개의 끝단을 감싸는 구조로 되어 있어 디자인도 멋있지만 쿨링 성능에서도 기대를 갖게 합니다.
날개에 링 형태의 가이드를 달고 있는 팬은 비행기에서 자주 보던 디자인인데, 이렇게 디자인 된 팬의 경우 날개끝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하고 흩어지는 공기의 흐름을 줄여 소음을 감소시키는데 큰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이러한 슈라우드 링은 기계공학에서 많이 쓰이는 기술로, 잘만에서는 터빈 블레이드라고 명명하고 있군요.
제품을 분해할 수 없기에 이해를 돕기 위해 홈페이지에서 참고 사진을 인용하였습니다.
출처 : 잘만홈페이지
구성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팬과 방열판 본체가 플라스틱 가이드속에 들어있고, 종이 박스에 부품이 들어있습니다. 그리고 매뉴얼이 있습니다.
컴포넌트 상자속에는 블랙색상으로 깔맞춤 된 백플레이트와 CPU와의 결합을 위한 로딩블록, 팬의 설치와 지지를 위한 가이드클립과 나사류가 들어있습니다.
센스있게 고급 써멀컴파운드(ZM-STC8)도 함께 동봉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로딩블록은 AMD와 인텔 두가지의 CPU와 호환될 수 있도록 2가지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팬 본체를 꺼내어 보았습니다.
플라스틱 상자에서 꺼내면 팬과 방열판이 연결된 상태로 있고, CPU접촉하여 열기를 받아낼 구리부분은 보호스티커가 붙어있습니다.
방열팬과 방열판은 2개의 팬클립을 통해 이런 형태로 결합되어 있습니다.
익숙하지 않으신 분은 추후 결합시 헷갈릴 수 있으므로 미리 팬클립의 결합 형태와 원리를 한번 봐 두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촘촘한 방열판은 참 아름답습니다.
열이 많이 발생하는 A class 오디오 앰프에도 자주 차용되는 형태의 방열판이지만, 컴퓨터 내부에서 메인보드위에 설치되는 것이다 보니 무게도 굉장히 가볍습니다.
대신 작은 힘에도 잘 휘어지니 다룰 때 조심히 다루는 것이 좋겠습니다.
터빈 블레이드의 실물도 한번 자세히 살펴 보았습니다.
팬 날개의 끝을 원형띠로 감아 놓은 형태이고, 이것이 빙글빙글 돌아가겠지요.
날개끝에서 나는 소음이 줄어들 것이라는 것은 형태에서 예상이 되는 부분입니다.
게다가 흩어져 사라지는 공기가 줄어들고 직진성이 증가되며 같은 속도에서도 더 많은 풍량이 나올 것 같은 디자인입니다.
3. CPU쿨링팬 설치
사용중이던 기본 쿨러입니다.
기본쿨러를 제거하였습니다.
함께 제공된 로딩블럭을 붙인 후에 메인보드의 뒷편에 백플레이트를 설치합니다.
백플레이트 설치시 호환되는 소켓을 잘 확인 후에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그다음 방열판을 제 위치에 설치하고 팬을 달아 줍니다.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부팅을 완료하고 테스트를 해봅니다.
4. 사용 및 소감
최초 부팅을 시작할때 윙하는 소음이 굉장히 큰 것이 불만이었습니다.
초기 부팅 소음은 별차이 없겠지 하고 혹시나 비교를 해 보았는데 매우큰 차이가 있었습니다.
부팅시 기본 쿨러의 경우 소음이 굉장히 크게 유지되다가 부팅 완료즈음 소음이 줄어드는데, CNPS10의 경우 초기부터 조용한 부팅을 실현시켜주어 매우 인상적이었습니다.
쿨러의 성능 확인을 하기 위한 좋은 방법은 벤치프로그램으로 CPU에 부하를 걸어서 온도가 제어되는 것을 지켜보는 것입니다.
시네벤치를 이용하여 부하를 걸어주고 CUPID HWMonitor를 이용하여 cpu온도를 측정하였습니다.
<기본쿨러 사용시>
간단한 테스트를 실시하였을 때 평균적으로 58~62도 정도를 유지하였고, 최대 66도까지 올라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잘만 CNPS10 Performa 설치시>
평균 40도 초반에 유지되었으며 최대 50도로 기본쿨러 사용시 보다 15도 가량 낮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심지어 이미지 로딩이 심하다가 살짝 스토틀링이 낮아지는 구간에서 온도가 떨어지는 속도가 확연히 빠른것을 체감하였네요.
무엇보다 동일한 작업 진행중에도 소음이 매우 적었으며, 높은 온도 구간에서도 부드러운 소리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1. 깔끔한 프리미엄 블랙 마감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은 외관입니다.
알록달록한 RGB를 선호하는 분들고 있지만 반대로 깔끔함을 추구하는 분들도 계시지요.
하지만 검정색의 일반 팬들은 디자인이 투박합니다.
잘만의 CNPS10 Performa 블랙은 이름처럼 블랙 색상의 마감이 깔끔하게 잘 되어 있습니다.
마감의 퀄리티가 수천만원짜리 스위스제 오디오의 외관처럼 퍼펙트한 것은 아닙니다만 4만원대의 컴퓨터 부품으로서 이정도의 마감과 질감이라면 충분히 높은 점수를 줄 수 있습니다.
2. 터빈블레이드의 시원한 풍량과 정숙함
케이스에 기본 장착된 팬과 CPU팬의 직접적인 비교는 무리가 있지만, 동사의 케이스에 장착된 팬과 비교시 터빈블레이드는 크고, 조용하며 바람이 쎕니다.
외관편에서도 계속 언급한 부분이지만 날개의 끝을 원형 판으로 이어주는 방식은 기계공학에서 오래전 부터 사용되고 검증되는 방식으로, 소음의 감소와 풍량의 효율증가에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이 컴퓨터의 부품에 어느정도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는지는 조사해 보지 않았지만, 굳이 타제품과 비교하지 않더라도 터빈블레이드 방식을 쿨러에 적용한 것은 그 자체로 성능의 향상이 예상되었던 부분입니다.
비교대상이 열악하긴 하였지만 기본쿨러와는 체감상 큰 차이를 보여주었습니다.
3. 비대칭 히트파이프 배치를 통한 방열면적 극대화
CNPS10 Performa 블랙은 히트파이프의 끝단이 CPU와 직접 접촉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CPU의 열을 직접 받아서 각각의 히트파이프로 전도하게되고 넓은 면적의 알루미늄 히트싱크를 통해 열을 발산하게됩니다.
알루미늄 방열판의 상단에 8개의 히트파이프 끝단을 볼 수 있는데요, 방열판을 통과하는 위치를 비대칭으로 설계하여 방열판의 곳곳에서 전도를 시작함으로써 열이 발산되는 효과를 극대화 하고 있는 구조 입니다.
기본 쿨러만 사용하다가 이번 기회에 좋은 CPU쿨러를 체험해 보았는데 그 차이가 현격히 커서 조금 놀랐습니다.
컴퓨터 조립을 즐겨하시는 분들은 쿨러를 따로 구입해서 사용하시는데 그렇게 까지...라고 생각했던 것이 후회가 될 정도 였습니다.
CPU쿨러는 컴퓨터에서 가장 중요한 CPU의 열을 식혀주어 성능향상과 내구성 향상을 꾀할 수 있는 중요한 부품이기 때문에 4만원대의 합리적인가격에서 가성비 좋은 쿨러 한번 써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이미 다나와 등에서도 가성비 CPU로 인정받아 높은 순위를 유지하고 있는 제품인 만큼 관심 있으신 분들은 아래 링크 방문해 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http://prod.danawa.com/info/?pcode=14076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