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품은 (좌측상단부터 시계방향으로) 드라이버CD, 메인보드, M.2 SSD 고정용 나사 3개 / 지지대 1개, SATA 케이블 2개, 백패널, 다국어 매뉴얼로 구성되어 있다. 최근 CD롬 사용자들이 줄어들고 있어 대부분 제품에 CD롬이 포함되지 않고 원가절감을 위해 얇은 사용자 가이드로 대체되는 구성에 비하면 꽤나 고전적인 구성이라 하겠다.
사용자 설명서에는 당연하다는듯이 한국어가 포함되어 있다. 비교적 최근 PC를 접하기 시작한 사용자들에게는 사용자 설명서가 한글인 것이 당연할 수 있지만 예전 영어, 중국어, 일본어, 독일어 정도만 지원하던 시절에 비하면 엄청난 발전이다.
참고로 에즈락은 예전부터 한국어 지원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여주는 업체이기도 했다. 에즈락을 애용했던 탓에 필자의 블로그에도 여러 에즈락 메인보드 제품의 사용기가 남겨져 있는데 10년이 지난 2011년 제품에도 한국어 설명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어 타사보다 한국어 지원 시점이 상당히 빨랐음을 알 수 있다. 가성비 이외에 필자가 에즈락 메인보드를 주로 애용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제품의 전반적인 모습. 큼직한 방열판과 M-ATX지만 역시 가로 폭이 넓은 탓에 그렇게 아담해 보이지는 않는 이미지다. 4개의 램 소켓에 SSD를 위한 방열판, 전원부 방열판까지 기본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동급대 타사 제품에 비해 튼실해 보이는 이미지다.
좌측에 CPU쪽에 전원을 할당하는 전원부는 큼직한 방열판이 부착되어 있다. CPU 보조전원으로는 8핀 1개가 사용되며 인텔 메인보드에서 선명한 AMD로고가 낯선 이들이 있겠으나 병렬 그래픽카드 처리 기술인 AMD 크로스 파이어를 지원한다는 내용이니 이상하게 생각할 것은 없다.
이제 거의 기본 스펙이 되어버린 M.2 슬롯에는 역시 방열판이 부착되어 있다. (상단 사진) 참고로 이 제품은 총 3개의 M.2 슬롯을 지원하는데 SSD 설치가 가능한 1번째 슬롯과 그래픽카드 아래에 WiFi를 위한 전용 슬롯 그리고 우측 하단에 2280 전용 사이즈의 3번째 슬롯이 있어 각 슬롯마다 지원 가능한 장치에 차이가 있으니 관련 제품 구입 및 조립시 주의하도록 하자. 그래픽카드 설치를 위한 PCIe 4.0 X16 슬롯에는 그래픽카드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스틸 보강처리가 되어 있다.
전면부 USB C타입 전면 헤더를 1개 지원한다. 현재 시중에서 판매중인 B660 메이보드 중에서 USB C타입 전면 헤더를 지원하는 가장 저렴한 제품이 혹시 해당 포트를 사용하는 가성비 PC를 구성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이라면 참고하자.
총평
제품완성도 : 7점
고객지원 : 8점
가격대 성능비 : 7점
GOOD~!
-동가격대 제품대비 준수한 전원부 구성
-M-ATX 사이즈지만 양호한 확장성
-USB C타입 전면 헤더 지원하는 가장 저렴한 B660 보드
-준수한 국내 유통사 CS응대 수준
BAD~!
-가성비 애매한 가격포지션
제품은 전반적으로 준수한 완성도를 보여준다 하겠다. 게시물 작성시간 기준 다나와 최저가 약 15만원 안팎에 구매 가능한데 비슷한 경쟁 제품 포지션의 제품들을 살펴보면 크게 ASUS PRIME B660M-K D4, 기가바이트 B660M DS3H D4 등이 있다. ASUS 제품에 비해서는 확실히 동급 가격대비 제품의 확장성, 다양한 옵션 지원 등을 봤을 때 메리트가 있지만 기가바이트 제품과 비교했을 때는 DS3H D4에 비해 15,000원 정도 비싼 가격이라 좀 애매하다고 하겠다. 무엇보다 2만원만 더 투자하면 i7급까지 안정적으로 사용하는 B660M GAMING X가 있어서 더 애매하다. 틈새 시장을 공략하자면 나쁘지는 않지만 가성비가 매우 좋아 강추하기는 애매한 포지션.
그럼에도 이 제품이 의미있는 이유는 ASUS를 고르자니 없어 보이는 레이아웃과 부실한 확장성이 걸리고 기가바이트는 최근 문제가 되는 QC 이슈와 불만높은 고객응대의 중간에서 적절한 밸런스를 잘 잡고 있는 제품이라서가 아닐까 싶다. 비록 국내 시장에서 매번 가성비라는 평을 듣는 에즈락이지만 개인적으로 보급형 제품에서 오랜 기간동안 사용해왔던 경험과 ASUS, 기가바이트, MSI를 포함한 4개사의 제품 수준은 사실상 상향 평준화되었다고 생각되어 준수한 안정성과 가성비로 보급형 i5 견적에서 추천할만한 제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