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청전에서 심봉사가 화주승에게 눈을 뜨게 해 달라는 조건으로
공양미 삼백 석을 시주하겠노라고 약속하는 이야기가 있는데
여기서 공양미300석이 지금의 가치로 얼마일까
궁금해서 계산을 해보았습니다
300석에서 제일처음 양곡량을
재는 석(石)이란 단위를 알아야합니다
도량형 중에서 부피를 재는 단위로 '한 홉'은 양 손바닥으로
가득히 담을 수 있는 양으로서 약 0.18ℓ이고,
'한 되'는 한 홉의 10배로서 약 1.8ℓ,
'한 말'은 한 되의 10배로서 약 18ℓ입니다
섬은 석의 순수한 우리말로
'한 석'은 한 말의 10배로서 약 180ℓ이다.
따라서 '석'은 무게가 아닌
부피 단위로서 180ℓ 용기에 담긴
도정한 상태의 곡물을 '한 석'이라고 말합니다
곡물마다 비중이 다르므로
한 석의 무게도 차이가 있는데
쌀은 144kg, 보리는 138kg, 콩은 135kg이다
양으로는 쌀 1석이 144kg
300석=4만3200kg=540가마니(1가마니=80kg)
한가마니(80KG)에 22만원이니
계산하기쉽게 20만원으로
하겠습니다
540가마니X20만원 1억8백만원이 나온다
1억이라는 금액이 지금도 큰금액이다
여기에서 우리가 생각해야할것이 있다
심청전이 옛날이야기이기에
예전 쌀가격과 지금쌀가격의 차이를 생각해야한다
지금은 품종계량을하고
농경지를 정비하고 기계화로 쌀생산량이 예전보다는 많다
기록으로보니 조선시대보다는 같은면적에서
쌀수확량이10배가 차이가난다고한다
그리고 지금은 쌀말고 다른먹을거리가 많기에 쌀의가격이 낮은편이다
조선시대에서는 쌀은 현금이랑 같은존재로 가치가 높았다
옛날이랑 지금이랑 쌀수확량이랑 마찬가지로 10배의 가치차이가 있다
결론적으로 공양미300석은 10억정도의 가치가 있는 품목이였다
정확히 계산하기는 힘들지만
'공양미 300석'은 그때나 지금이나 물질적으로 가치가 높고
심청이네 가족으로는 감당하기 어려운 금액이였다는걸 알수가 있다
심청전 원작에대한 이야기 글보다가 갑자기 공양미300석 가치가
지금은 얼마정도일까 생각이들어서 대충 계산해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