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장장치의 대세 이제는 SSD라고 말해도 부족하지 않습니다!
HDD 대비 월등히 빠른 속도와 가격까지 착해졌으니 이제 개인용 PC는 대부분 SSD를 사용하게 되었지요!
SSD는 2.5" 디스크 크기의 SATA 방식과 메인보드에 직결 되는 M.2 NVMe 방식이 있는데요, 최근에는 속도가 빠른 M.2 방식을 많이 선호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신 메인보드 및 노트북에는 2~4개의 M.2 슬롯을 제공하니 설치도 깔끔하고, 배선 정리도 필요 없는 M.2를 대부분 선호하지요!
M.2 NVMe 규격의 저장장치도 다양한 스펙이 있습니다! 성능이 높을수록 가격이 높아지며, 반대로 착한 가격 제품들은 성능은 다소 아쉽죠! 그래도 기존 HDD 및 2.5" 제품 대비 월등한 제품들이 많이 있으니 개인적으론 M.2를 선호합니다!
오늘은 M.2 NVMe 제품을 만나볼텐데요, 가성비가 매력적인 제품입니다.
바로 솔리다임 P41 PLUS M.2 NVMe 인데요, 지금부터 자세히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오늘 만나볼 솔리다임 P41 PLUS M.2 NVMe 모델은 512GB, 1TB, 2TB 등 다양한 용량으로 출시되고 있으며, 오늘 만나볼 제품은 512GB입니다!
현재 다나와 최저가 49,900원으로 부담 없이 만날 수 있는 가격이죠.
SSD 저장장치의 경우 용량에 따라 속도 및 내구성 차이가 있습니다!
용량이 높을 수록 속도가 빠르며, 내구성 역시 높습니다!!
오늘 소개해드린 Solidigm SSD P41PLUS 모델 역시 용량에 따라 속도 차이 및 수명 차이가 있는데요, 자세한 사항은 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오늘의 주인공 512GB 모델이 순차 읽기 3500MB/s 순차 쓰기 1625MB/s 내구성 200TBW로 고용량 제품과 단순 비교 시 속도가 느려 보일 수 있으나, 이 속도 역시 빠른 속도임을 기억해주세요!
PCIe 4.0 지원하며, QLC, 3D 낸드, SLC 캐싱 등을 지원합니다!
다만 가성비를 중시하는 모델인 만큼 고성능 PC 보다는 부모님 컴퓨터, 인강용, 저장용으로 활용하면 좋을 것 같네요!
테스트는 데스크탑 메인 저장장치와 노트북 서브 저장장치로 나눠서 테스트를 진행했는데요, 우선 데스크탑 테스트부터 만나보도록 하겠습니다!
테스트 사양
CPU : AMD RYZEN 7600
메인보드 : GIGABYTE B650 AORUS ELITE
RAM : 32GB
설치 방법은 간단합니다!
M.2 슬롯에 끼워주고, 끝 부분을 고정해주면 됩니다!
최근 출시되는 대부분의 메인보드는 방열판을 제공하니 때문에 발열 걱정도 크지 않아요.
윈도우 설치도 빠르게 진행 되었습니다.
윈도우 설치 후 부팅 시 CMOS 제외 윈도우11 순수 로딩부터 바탕화면이 나올 때까지 약 10초 정도 걸렸던 것 같아요! 역시 SSD 속도는 최고입니다!
설치 후 속도 테스트부터 진행했습니다!
읽기 속도 : 3481.76MB/s
쓰기 속도 : 1643.01MB/s
제품 스펙에 있는 속도와 큰 차이가 없네요!
SSD 온도 테스트도 진행해보았습니다!
현재 시스템은 메인보드에 방열판이 제공되는 모델인데요, 디스크에 과부하를 주는 크리스탈 디스크 벤치 작동 중 SSD 온도는 최소 37도, 최대 43도로 측정이 되었네요!
방열판 덕분인지 온도 관리는 매우 잘 되고 있는데요, 아래 노트북 테스트는 방열판 없이 진행 하니 참고해주세요!
이어서 노트북 테스트를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LG 그램
CPU : 인텔 11세대 i5
GPU : 인텔 Iris Xe
RAM : 8GB
테스트 노트북의 경우 PCIe 3.0x4 지원 제품이니 참고해서 봐주시기 바랍니다!
노트북 M.2 설치를 위해 분해를 해주어야 합니다!
나사들을 왜 이리 숨겨 놓는건지! 노트북 RAM, 저장장치 등 셀프 업그레이드 하는 분들 많은데, 분해도 쉽게 해줬으면 좋겠네요!
제가 사용중인 LG 그램은 M.2 슬롯이 2개 준비되어 있습니다.
솔리다임 P41 PLUS 512GB 제품을 서브로 설치해보았습니다.
디스크에 과부하를 주어 온도 테스트를 해보았습니다!
풀로드 상황인데요, 최대 46도로 발열은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되겠네요!
M.2 저장장치의 특성이자 단점이라면 디스크 용량을 많이 사용할수록 속도가 느려진다는 점입니다! 특히 QLC 방식과 DRAM이 탑재되지 않는 모델들은 이러한 속도저하가 더 심하게 나타나거든요! 직접 테스트를 통해 속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만나보겠습니다.
디스크 설치 후 포맷 상태!
4GB 파일 2개 전송 시 약 9초, 8GB 파일 2개 전송 시 약 12초
1MB 파일 4000개 전송!
약 18초
1MB 파일 8000개 전송!
약 36초
정말 빠르네요!
디스크 용량을 약 50% 채운 상태로 같은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디스크 용량 50%
4GB 파일 2개 전송 약 1분 17초
8GB 파일 2개 전송 약 2분 55초
디스크 용량 50%
1MB 파일 4000개 전송!
약 47초
1MB 파일 8000개 전송!
약 1분 4초
저장공간 약 90% 채우고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디스크 용량 90%
4GB 파일 2개 전송 약 1분 19초
8GB 파일 2개 전송 약 2분 48초
디스크 용량 90%
1MB 파일 4000개 전송!
약 41초
1MB 파일 8000개 전송!
약 1분 16초
테스트 결과를 표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결과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50% 용량과 90%용량 별 속도 차이는 크지 않았습니다.
재미있는 부분은 0%, 50% 속도 차이죠! 차이가 정말 크죠?
용량의 약 20% 이상 사용하면 SSD 속도가 안정적이지 않고 들숙날쑥 하더라고요!
그래도 기존 HDD 대비 빠른 속도를 보여주었습니다.
오늘은 솔리다임 P41 PLUS 512GB 제품을 만나 보았습니다!
빠른 속도로 프로그램, 게임 구동을 보다 빠르게 이용할 수 있었습니다.
다만 어느정도 용량이 채워지면 속도가 안정적이지 않다는 게 조금 아쉬운 부분이었지만, 실사용엔 큰 불편함은 없었어요! 고성능 PC가 아닌 사무용, 인강용 PC라면 메인 저장장치 활용도 좋을 것 같고요, 서브 저장장치 활용하기에도 좋아 보이네요!
코잇 솔리다임 SSD는 5년 무상 A/S 까지 제공되니 고정 걱정 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점도 좋았고요!
5년 무상 A/S를 위해서는 코잇 정품 스티커가 꼭 필요하니 잊지 마시고, 제품에 부착하시기 바랍니다!
개인적으로 512GB 용량도 좋지만, 여유가 되신 다면 속도가 더욱 빠르고, 수명도 긴 1GB 이상 제품을 추천드리고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