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소개해드릴 제품은 3RSYS 에서 출시한 듀얼 히트파이프 설계의 NVME M.2 SSD 방열판 빙하9 입니다. 최근에는 SATA SSD 의 시대가 저물고 NVME M.2 타입의 SSD가 대세로 자리잡고 있는 분위기입니다. SATA SSD는 저장 용도로 많이 쓰이는 방향으로 바뀌어가고 그 자리를 NVME M.2 SSD가 대신하게 되는 흐름으로 읽혀집니다.
NVME M.2 제품들이 속도가 빠른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속도에 비례하여 발열 또한 큰 폭으로 늘고 있습니다. 이에 마더보드에서 기본 제공되는 방열판도 있고 여러 다양한 방열판 제품들이 시중에 출시되어 있습니다.
3RSYS에서 새롭게 출시한 빙하9는 빙하8과 함께 나란히 출시되어 이전 빙하 시리즈를 훌쩍 뛰어넘는 설계와 쿨링 성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빙하9 M.2 SSD 방열판은 듀얼 히트파이프가 내장된 알루미늄 히트싱크와 100% 구리 플레이트 설계가 적용된 상당히 우수한 방열판 제품입니다.
2280 규격의 M.2를 지원하는 제품으로 길이 75mm, 폭 25.7mm, 높이 36.1mm 사이즈로 cpu쿨러와의 간섭 문제에도 신경을 쓴 제품입니다.
지금부터 최신 출시 제품인 3RYS 빙하9 M.2 SSD 방열판 제품의 필드테스트 후기를 시작해보겠습니다.
1. 개봉기
먼저 빙하9 의 포장 패키지의 모습입니다. 깔끔한 디자인이 좋긴했지만 개인적으로는 색상 선택에서의 아쉬움이 있었습니다. 블랙이나 화이트 색상이었으면 보다 강력한 느낌을 주지않았을까 싶은 느낌이었습니다. 색상이 조금 아쉬웠지만 깔끔하고 튼튼한 패키지였습니다.
내부 완충재에 안전하게 포장된 빙하9의 모습입니다. 튼튼한 포장으로 제품이 손상될 위험도는 거의 없어 보이는 만족스러운 포장 스타일이었습니다. 그 옆으로 3RSYS 빙하9 의 구성품들을 나열해 보았습니다. 빙하9 본체와 조립 및 장착 용 나사 5개와 써멀패드 2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인 M.2 방열판의 구성품과 동일한 구성이었습니다.
빙하9 M.2 SSD 방열판 본체의 모습입니다. 상단 커버에는 보호 필름이 부착되어 있어 배송 중 흠집 등을 방지해줍니다. 측면에서 보면 100% 고밀도 알루미늄 히트싱크와 그 사이를 관통하도록 설계된 2개의 히트파이프가 보입니다. 빙하9의 듀얼 히트파이프는 U자형으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하단부는 100% 구리 플레이트가 적용되어 있어 쿨링 성능을 극대화했습니다. 그 아래로 홀더가 덮히는 스타일로 조립이 완성됩니다.
빙하9 M.2 SSD 방열판의 설계 포인트를 꼽자면 100% 고밀도 히트싱크와 U자형 듀얼 히트파이프 그리고 100% 구리 플레이트를 들 수 있겠습니다.
빙하9 M.2 SSD 방열판은 양면, 단면 M.2 제품 모두에 사용이 가능하고 써멀 패드도 위아래로 2장이 기본 제공됩니다. 써멀 패드에도 보호필름이 적용되어 있고 그 옆으로 조립, 장착 용 나사 5개의 모습입니다.
빙하9의 커버 보호필름을 제거한 모습입니다. 깔끔한 블랙에 3RSYS 로고가 각인되어 있습니다. 히트싱크와 홀더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조립이 이루어지고 양쪽 2개씩 나사로 고정하는 방식입니다. 조립 자체는 누구나 어렵지않게 할 수 있는 수준으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히트싱크 하단부와 홀더 부분에 장착 시에 편리하도록 홈이 파여있는 부분도 섬세함이 느껴져 만족스러웠습니다.
2. 사용기
현재 대세를 이루고 있는 PCIE 4.0 기반의 삼성 980 PRO NVME SSD 1TB 제품으로 조립해보았습니다. PCIE 4.0 기반 제품들이 속도가 매우 빠른 만큼 발열도 상당하기에 테스트하기에 좋을 것으로 생각되었습니다.
히트싱크 바닥면 구리 플레이트와 홀더 안쪽 면에 써멀패드를 부착하고 980 PRO SSD 를 사이에 넣고 결합하는 방식으로 조립하였습니다. 장착할 때의 실수를 줄이기 위해 장착 나사 홈 부분에 신경을 써서 조립하는 편이 좋다는 점 잊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빙하9 M.2 SSD 방열판에 M.2 SSD 를 조립하는 과정입니다. 사진에 보이듯이 히트싱크 바닥면 구리 플레이트면과 홀더 안쪽 면 사이에 SSD를 위치하게 하여 조립나사 4개로 결합하면 쉽게 완성됩니다. 위아래로 SSD를 쿨링해주는 매력적인 방식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3RSYS 빙하9 방열판 조립이 완성된 모습입니다. 장착 용 나사 1개만 남기고 구성품을 모두 사용한 결과물입니다. 높이가 제법 높아 보이지만 36.1mm 높이로 대부분의 CPU 쿨러와의 간섭으로부터 자유로운 사이즈입니다. 하지만 높이가 있는 만큼 사용 중인 쿨러와의 간섭 부분은 확실히 확인하는 편이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빙하9 M.2 SSD 방열판 조립 완성 후 마더보드에 장착하는 모습입니다. 저의 시스템은 수랭식 CPU쿨러라서 간섭에서는 매우 자유로웠습니다. 위 사진에서의 위치처럼 그래픽카드 슬롯 윗쪽 M.2 슬롯에는 장착이 자유로운 반면 그래픽카드 슬롯 바로 아래 위치한 M.2 슬롯과 마더보드 기본제공 방열판이 칩셋 방열판과 일체형인 경우에는 장착이 불가능하다는 점도 유의해야 하겠습니다.
M.2 SSD 의 장착이 간편하듯이 빙하9의 장착 역시 같은 방식으로 간단하게 마칠 수 있었습니다. 사이즈가 아담한 만큼 전체 사진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 점이 아쉬웠습니다. 블랙의 히트싱크 커버가 예쁜데 잘 드러나지는 않는 모습입니다.
PC 부팅 후의 모습에서는 조명들 사이로 빙하9의 커버가 보이는 모습입니다. 사진 상으로보다는 실제로 보았을 때 더 존재감 있는 예쁜 모습이었습니다.
부팅 후 아이들 상태에서의 기본 SSD 온도(촤측)와 빙하9 장착 후 SSD의 온도(우측)입니다.
아이들 상태이지만 빙하9 장착 시 온도가 조금 더 낮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크리스탈 마크로 발열을 끌어 올렸을때의 온도 차이입니다. 기본 SSD 의 부하 시 온도(좌측)와 빙하9 장착 후 부하 시의 온도(우측) 입니다.
최대 온도가 무려 20도 차이가 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간단하게 조립 장착이 가능한 빙하9 방열판 적용으로 무려 20도의 온도를 낯출 수 있다는 결과치가 놀라웠습니다. 듀얼 히트파이프와 100% 구리플레이트의 효과가 상상 이상으로 뛰어난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3. 총평
NVME M.2 SSD 가 대세로 자리 잡은 요즘 시기에 M,2 방열판은 이제 필수 아이템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특히 PCIE 3.0 을 지나 PCIE 4.0 더 나아가 앞으로는 PCIE 5.0 기반 제품들이 출시될 앞으로를 위해서라도 M.2 방열판은 꼭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3RSYS 빙하 시리즈의 최신 버젼인 빙하9, 빙하8 제품이 출시되었습니다. 제가 테스트해본 빙하9 M.2 SSD 방열판은 100% 고밀도 알루미늄 히트싱크와 U자형 듀얼 히트파이프 설계에 100% 구리 플레이트가 적용되어 상당히 뛰어난 쿨링성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히트싱크 커버돌 블랙 색상으로 고급스럽게 적용되어 미적인 부분에서도 신경을 쓴 예쁜 방열판입니다. 테스트 결과에서 확인했듯이 3RSYS M.2 SSD 방열판은 최대 속도로 부하를 주었을 때 기본 SSD 의 온도와 거의 20도의 차이를 보여줄 만큼 강력한 쿨링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혹시 모를 CPU 공랭 쿨러와의 간섭 부분도 상당 부분 해소되었고 미관적으로도 예쁜 강력하 쿨링 성능의 3RSYS 빙하9 M.2 SSD 방열판은 NVME M.2 사용자 분들께 적극 추천드리고 싶은 매력적인 제품이었습니다.
이상으로 3RSYS 빙하9 M.2 SSD 방열판의 필드테스트 후기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본 사용기는 (주)쓰리알시스로부터 제품을 제공받아 작성했습니다.
https://prod.danawa.com/info/?pcode=18732881&cate=11236855
#3RSYS #빙하9 #M.2방열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