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작하면서
이번에 사용해 본 제품은 쿨러로 유명한 DEEPCOOL(이하 딥쿨)사의 가장 보급형 모델인 AG400입니다. 보급형 모델이라고 말하는 이유는 가격이 무려 2만 원 초반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지요.
AG400의 특징입니다. 최대 TDP는 200W까지 지원하고 4개의 니켈 도금이 적용된 히트파이프로 구성되어 있으며 최신 LGA1700과 AM5 소켓까지 지원됩니다. 또한 높이가 150mm 정도로 상당히 낮아 케이스 호환성이 높습니다. 설치 시 쿨링팬을 따로 분리하지 않고 고정이 가능해서 설치가 매우 쉬운 편입니다. 판매사에서는 국민 쿨러의 대명사 AG400이라고 강조를 하더군요. 딥쿨사의 쿨러는 공랭부터 수랭까지, 보급형부터 고급형까지 라인업이 촘촘하게 되어 있으며 어떤 제품을 구매해도 기본 이상은 충분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 포장 및 구성품
박스 전면에는 제품명과 모습이 있고 후면에는 제품 특징이 적혀있습니다. 딥쿨 특유의 흰색 박스에 초록색 라인이 눈에 띄네요.
박스 안에는 쿨러, 설치 부품, 사용설명서가 들어있습니다. 쿨러의 경우는 제품마다 설치 방법이 다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설치 전 꼭 사용설명서를 참조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설치 부품들의 모습입니다. 인텔용 백플레이트가 2개 들어있으며 AMD의 경우 메인보드에 부착된 백플레이트를 이용하게 됩니다. 주황색 스탠드오프가 들어있는 봉지가 AMD 설치용이며 검은색 스탠드오프가 들어있는 봉지가 인텔 설치용입니다. 써멀구리스는 1회용으로 들어있네요.
인텔의 경우 12세대부터 LGA1700으로 소켓이 바뀌었기 때문에 기존의 115x과 새로운 1700을 구별하기 위해서 백플레이트와 스탠드오프에는 작은 글자로 각 규격에 대해서 적혀있습니다.
■ 외형
쿨러 전면의 모습입니다. 딥쿨 특유의 네모네모난 느낌이 가장 보급형인 AG400에서도 확인이 되는군요.
옆에서 바라본 모습입니다. 아무래도 보급형이기 때문에 두께가 얇은 느낌입니다. 다만 그러한 이유 때문에 팬을 장착한 상태로 메인보드에 고정할 수 있는 장점도 있습니다.
상단 커버가 없기 때문에 히트파이프가 그대로 보이지만 크롬 도금과 딥쿨 로고 때문에 투박하게 보이는 느낌은 들지 않네요.
고정하는 나사가 팬보다 밖으로 나와있어서 그대로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팬은 NON-LED이며 PWM을 지원하여 온도에 따라 팬의 RPM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 설치
인텔 I5-12600K와 MSI Z690-A의 조합에 쿨러를 설치하였습니다. 먼저 LGA1700용 백플레이트를 후면에 부착합니다.
LGA1700용 스탠드오프를 올리고 마운트 가이드를 나사로 고정해 줍니다.
써멀구리스를 바른 다음 쿨러를 올리고 양쪽의 나사를 조여서 고정해 줍니다.
마지막으로 팬의 PWM 커넥터를 메인보드에 연결하면 설치는 끝난 것입니다. 꽤나 조립이 간단하고 쉬워서 처음 쿨러를 설치하는 분들도 문제없이 설치가 가능할 것 같네요.
장착 후의 모습입니다. ATX 보드에 장착하니 쿨러가 꽤나 아담하게 느껴지는군요.
램과의 간섭은 전혀 염려할 필요가 없을 만큼 공간은 넉넉하게 있습니다.
케이스에 설치하면 이런 모습이 됩니다. 크기가 작기 때문에 호환성 부분은 문제가 될 부분이 없습니다. 정말 작은 케이스가 아니라면 대부분의 케이스에 장착이 가능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 테스트
AIDA64 시스템 안정성 검사를 이용하여 쿨러를 테스트해 보았습니다. 테스트 시 방 온도는 27.5도였습니다. CPU는 인텔 I5-12600K를 사용하였으며 메인보드는 MSI Z60-A입니다.
아이들 상태에서는 최저 30도가 확인되었고 이때의 RPM은 838으로 확인이 되네요. 시스템 안정성 검사를 하는 동안에 최대 83도까지 올라갔으며 기본적으로 81도 정도로 유지가 되었습니다. 이때 팬은 약 2100RPM으로 스펙상 최대치로 작동하더군요.
최고 RPM 일 때의 소음치는 52.4dB로 팬이 열심히 일을 하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는 수준의 소음치였습니다. 조용한 환경이라면 조금 시끄럽게도 느껴질 수 있겠네요.
■ 마무리
- 23년 8월 다나와 가격
다나와에서 확인되는 가격은 2만 원 초반대로 매우 훌륭한 가성비를 가지고 있습니다. 12+4스레드로 작동하는 12600K에서도 적당한 쿨링 성능이 보장되니 그 이하의 보급형 CPU에서는 문제없이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특히 보급형 CPU와 조합하면 매우 가성비 있는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