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팅에 사용된 모든 기기 및 Tip 등은 직접 사용하고 느낀 점을 기록한 내용입니다.
40대 후반 / 기계공학 전공 엔지니어 / L모 기업 십수년차 / 3명의 여인네들과 동거 중
※ 직접 활용해 본 후기
구매 동기
오버워치 2, Apex 등 FPS 게임의 집중도를 높이고 싶었습니다.
"1000R 곡률은 게임 몰입감이 매우 우수합니다."
21:9 1800R 모니터를 사용 중이었습니다.
1800R 곡률이라 몰입감이 많이 떨어지고 특히 21:9인지라 오버워치의 경우는 좌우 검정 영역이 많이 보여 아쉬운 점이 많았습니다. 이번에 좋은 기회가 되어서 1000R 모니터를 드디어 체험해 보게 되었네요.원래 게임용으로는 24인치 평면 모니터가 지배적이었지만 1000R 의 삼성 모니터가 나오면서 27인치 사이즈가 가장 선호가 많이 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저는 이제까지 사용한 제품이 ips 제품만 사용하였습니다. 사진 찍는 취미가 있어서 물 빠진 VA 패널이라는 선입견이 많은 편이었습니다. 요즘 VA 패널은 많이 좋아졌다고 하니 한번 경험해 보고 싶었고, 마지막으로 혹시 모를 AS를 대비하여 믿음의 삼성 AS 서비스를 받을수 있는 점도 크게 작용하였습니다.
제품 외관 및 실사용 후기
삼성전자 오디세이 G5 C27G54T 68.4cm(27) 커브드 게이밍 모니터
QHD/144Hz/16:9/1000R/VA/2560x1440(QHD)/1ms
1000R 곡률 적용으로 전방 시야에 꽉 찬 화면 가능
최고의 게이밍을 위한 최적의 주사율
게임에 최적화된 1ms의 응답속도
계단 현상, 끊김을 줄여주는 AMD FreeSync Priemum 적용
HDR10 적용으로 실제 화면을 보는 듯한 놀라운 디테일
일반적인 모니터 제품 포장입니다.
박스를 오픈하니 HDMI, Display 포트 케이블과 전원 어댑터 및 받침대가 보입니다. 전원 아탑터는 외장 타입으로 모니터의 발열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한 구조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외장 타입을 선호합니다. 조립은 베이스 받침과 기둥의 연결 볼트를 조립하고 본체와 연결하면 끝나는 간단한 구조입니다.
1000R 곡률과 심플한 외관 구성의 모니터
조립 완료 후 사진입니다. 저는 모니터 암을 사용하기 때문에 한번 조립해 보고 다시 분리하여 고이 보관하였습니다. 일반적인 모니터 디자인으로 군더더기 없는 깔끔한 모습입니다. 조금 아쉬운 점은 모니터 화면 아랫부분에 디자인 요소가 있는데 저는 이 부분은 별로 맘에 들지 않네요. 그냥 직사각형 형태를 유지했으면 더 좋았을 것 같습니다.
1000R 곡률은 게이밍을 위한 최고의 비율
기존 모니터를 제거하기 전 1000R과 1800R을 비교하기 위해 상단에서 사진을 찍어봤습니다. 확실히 굴곡이 느껴집니다. 개인적으로 27인치 1800R 모니터는 거의 굴곡이 느껴지지 않는데 1000R은 확실히 휘어져 있고 몰입감 향상에 많은 도움을 주는 것 같습니다. 오랜만에 엘든링을 실행시켜 몹을 좀 잡아 봤는데 몰입감이 상당하네요
생각보다 모니터 배젤은 좀 있음
가장 아쉬웠던 점이 아닐까 싶습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제품보다 모니터배젤은 다소 두꺼운 편입니다. 특히 하단 부분은 상단과 측면 부분의 2배 정도 되는 것 같습니다. 27인치 가성비 게이밍 제품이라고 생각을 하면 용납 가능한 수준이긴 합니다.
문서 작업에는 다소 이질감
나름 블로거인지라 게임과 블로깅 작성 시간이 약 6:4 정도 됩니다. 그러다 보니 게이밍 성능에만 집중할 수는 없네요. 1800R의 곡률은 문서 작업에는 다소 이질감이 느껴지기도 합니다. 다만 적응기를 거친다면 충분히 좋아질 여지가 있을 것 같기도 합니다.
생각보다 괜찮은 VA 패널
이건 제가 이제까지 잘못 알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요즘 VA 패널은 상당히 좋아진 것 같습니다. 물 빠진 느낌도 많이 줄어들어 IPS 패널 모터와 비교를 해봐도 큰 차이를 못 느끼겠네요. 특히 시야각 측면에서도 놀라울 정도네요 측면이나 하단에서 올려다봐도 용납이 되는 수준의 시야각을 보여 줍니다. 일반적인 수준의 문서 작업등에서는 ips 패널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습니다. 다만, 고퀄리티 사진 작업에는 확실히 부족함은 조금 있는 것 같습니다.
Free sync 및 144Hz 가 초기 설정이 아님
이 부분은 조금 아쉬웠습니다. 한참 게임을 하다 보니 먼가 이상해서 확인을 해보니 freesync 와 144Hz가 기본 설정이 아닙니다. 나중에 설정을 바꾸긴 했지만 초기 설정에 반영이 되어 있었다면 하는 아쉬움이 있네요.
개인적으로 RPG 모드가 가장 만족스러운 색감
이 부분은 개인차가 심하니 그냥 참고만 부탁드립니다. 적당히 화사하니 저는 FPS보다 RPG 색감이 맘에 들었습니다. 단 입력지연 감소 및 응답시간은 최소로 설정을 하였습니다.
전체적인 외관은 아래 동영상을 참고해 주세요
※ 직접 활용해 본 후기
이제 게이밍 성능을 확인해 볼 시간입니다.
테스트 사양 :
AMD Ryzen 7 3700X 8-Core Processor
MSI B550M Pro-VDH Wifi M-ATX
samsumg DDR4 2666(16GB, 국민오버:3200)
samsung 970 M.2 NVMe(250GB)
Fractal Design define 7 mini
1000R 곡률은 FPS 게임에 최고의 사양
게임하는 내내 매우 높은 몰입감을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주변 시야를 인지하는데 휘어진 화면이 정말 많은 도움을 줬습니다. 다만 급한 이동이라든지 화면 전환이 생길 때 VA 패널 자체의 GTG(응답지연) 한계 때문에 약간의 잔상이 느껴지는 부분은 아쉬웠습니다.
핵앤슬레시 게임엔 이보다 좋을 수 없음
상대적으로 FPS 게임 대비 움직임이 적기 때문에 잔상도 훨씬 덜 느껴지고 게임의 몰입감은 매우 높았습니다. 게임의 특성상 중앙부에 집중하는 성향이 강하긴 하지만 한눈에 모든 배경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게임 전경이 눈앞에 펼쳐지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LOL의 경우도 매우 만족스러움
롤의 경우 빠른 반응속도나 급격한 화면 이동이 적은 편이기 때문에 매우 쾌적한 조건에서 플레이할 수 있었습니다. 모니터 구석에 있는 미니맵을 더욱 가까운 느낌으로 확인 가능하기 때문에 시선을 이동하지 않아도 되는 점이 매우 맘에 들었습니다.
총평 및 결론
30만 원 안되는 가격에 1000R 곡률 1ms 응답속도 144HZ 지원, HDR10 적용되어 있는 모니터 중에서는 가성비가 매우 높은 모델이 아닐까 합니다. 다만 GTG 성능은 고급형 VA 제품이 아닌 이상 다소 아쉬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격이라는 측면에서 봤을 때는 매우 매력적인 제품입니다.
제가 생각하는 장점은
1000R 곡률 적용
생각보다 괜찮은 VA 패널의 시야각, 색감
제가 생각하는 단점은
상대적으로 두꺼운 배젤
배젤 하단부 디자인
플라스틱 재질의 받침대
저는 단점을 포함하고도 매력적인 성능 때문에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일정 이상의 성능을 지원하는 모니터 중에서는 최고의 가성비를 제공하는 것 같습니다.
쪽지로 문의하시는 분들을 위해 링크만 남겨 놓습니다.
※ 직접 활용해 본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