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사용기

측면에 140mm Fan 3개 장착 가능한 어항 케이스 - 앱코 SUITMASTER U3000 갤러리 다나와 리포터

IP
2023.09.25. 23:40:57
조회 수
7914
5
댓글 수
8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전면과 측면의 강화유리를 통해 개방감을 주며 인테리어 효과를 충족할 수 있는 어항 케이스에 관심이 가는 분들이 많을 겁니다. 하지만, 기존의 듀얼 챔버 스타일의 경우 일정 이상의 공간을 차지하여 사용 환경상 케이스 구입이 애매했던 분들도 있으셨을 겁니다. 그런 분들을 위해서, 최근에는 미들타워 형태의 어항 케이스들이 조금씩 출시되고 있습니다.


여기 소개드릴 앱코 SUITMASTER U3000 갤러리(현재 최저가  108,600) 제품도 미들타워 형태의 어항 케이스로 좌측과 전면의 전체 강화 유리 패널을 통해 개방감을 확보하면서도 듀얼챔버 대비 차지하는 공간(폭)이 상대적으로 여유로운 어항 케이스입니다. 여기에, 다른 어항 케이스들과 차별화된 측면 140mm Fan 3개 장착을 지원하는 매력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 (물론, 후면과 상단도 140mm Fan을 지원합니다.)


그럼, 측면에 140mm Fan을 3개 장착할 수 있는 미들타워 형태의 어항 케이스, 앱코 SUITMASTER U3000 갤러리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SPECIFICATION

- 케이스 규격 : 미들 타워 케이스

- 제품 크기 (새시) : 440(W) x 235(D) x 492(H) mm

- 제품 크기 (전체) : 440(W) x 235(D) x 517(H) mm

- 제품 무게 : 8.85 kg

- 메인보드 규격 : Mini-ITX, M-ATX, ATX 지원

- CPU 쿨러 최대 높이 : 185mm

- VGA 최대 길이 : 410mm

- HDD 2개 / SSD 4개

- 표준 ATX PSU 호환

- PCI 슬롯 8개

- 개폐방식 : 볼캐치 고정방식 적용

- 어항 케이스 디자인 (전면+좌측 강화유리 패널)

- 상단 패널 탈부착 지원

- 측면 140mm Fan 3개 장착 가능

- VGA 지지대 제공

- 우측 타공 철판 패널

- 먼지 필터 : 상단(마그네틱 방식), 우측(마그네틱 방식 2장), 하단(슬라이딩 방식)






앱코 SUITMASTER U3000 갤러리는 화이트와 블랙 2종류가 판매되고 있고, 저는 화이트 제품을 수령했습니다. 제품 박스 측면에는 손잡이를 위한 홀이 있습니다. 제품 박스 상단을 개봉하다 보면 안전하게 제품을 개봉하는 방법에 대해 그림 이미지가 첨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그림처럼 제품 박스만 탈거하면 스티로폼이 아닌 두툼한 내부 충전재가 케이스를 보호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품 구성

[ 케이스 본체, 퀵 유저 가이드, 부품 상자 ]가 기본 구성으로 제공되며, 부품 상자는 전면 하단의 멀티 베이 내부에 보관되어 있습니다. 부품 상자를 개봉하면 케이스 [ 조립에 필요한 나사 및 부품류, 그래픽 카드 지지대 부품, 케이블 타이 2개 ]로 구성이 됩니다.



조립에 필요한 나사 및 부품류에는 IO 포트 먼지 보호 캡, 비프 스피커가 눈에 띄며, 그래픽 카드 지지대 부품에는 메인보드의 스탠드오프와 연결하는 높이 조절 스탠드오프 2개와 스탠드오프를 체결할 때 사용하는 스탠드오프 체결 도구 등이 눈에 띕니다.






제품 크기

철제 프레임 : 440(W) x 235(D) x 492(H) mm

전체 크기 : 440(W) x 235(D) x 517(H) mm


어항 케이스 디자인 (전면/우측 강화유리 패널)

좌측과 전면의 풀 강화유리 패널이 개방감을 선사하며, 인테리어적인 요소로 활용할 수 있는 어항케이스 디자인입니다. 좌측에 적용된 강화유리 패널에는 외부와 내부에 스크래치 방지를 위한 보호 필름이 부착되어 있습니다. 좌측 강화 유리 패널은 볼캐치 고정 방식으로 쉽게 개폐가 가능합니다.




정면에서 클리어 타입의 강화유리를 통해 내부를 관찰한 모습입니다. 전면에 적용된 강화유리 패널에는 외부에 스크래치 방지를 위한 보호 필름이 부착되어 있습니다. 전면 강화유리 패널은 나사로 고정되어 있습니다.




앱코 SUITMASTER U3000 갤러리의 후면 모습입니다. 후면에는 140mm Fan (앱코 엣지 듀얼 140 ARGB 스마트쿨링 (WHITE))이 기본 탑재되었습니다. 원활한 내부 공기 흐름을 위해서 후면 팬 공간의 위아래에 타공망이 많이 적용된 모습입니다. 해당 타공망은 외부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는 통로가 됩니다.




우측 타공 패널

우측 패널에도 원활한 공기 흐름을 위해 패널의 상당 부분이 타공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내부에는 타공망으로 유입되는 먼지를 막기 위해서 마그네틱 방식의 먼지 필터가 적용되어 있습니다.




상단 디자인

앱코 SUITMASTER U3000 갤러리의 상단은 2개 공간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먼저 철제 프레임 쪽에 배치된 IO 포트 부분, 그리고 마그네틱 먼지 필터가 부착된 분리가 가능한 상단 패널 공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IO 포트

전원 버튼, LED 버튼(리셋 버튼), HDD 표시등, 전원 표시등, USB 3.0 포트 x 2ea, 헤드셋 포트, USB Type C 포트로 구성되었습니다.




하단 디자인

케이스 하부에는 미끄럼 방지 패드가 부착된 4개의 다리와 슬라이딩 방식의 먼지 필터가 장착된 공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볼캐치 고정방식

좌측 강화유리 패널과 우측 타공망 패널 부분에는 볼캐치 고정 방식이 적용되어 손쉬운 개폐 과정을 제공합니다.




볼캐치 방식의 패널을 쉽게 오픈할 수 있도록 패널과 맞닿는 후면부 상단에 홈이 파여 있습니다.






볼캐치 고정방식 : 좌측 강화유리 패널

좌측 강화유리 패널과 우측 패널에 적용된 볼캐치 개폐 방식은 정말 편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패널 분리 과정에서 패널에 별도의 안전장치가 없기 때문에 항상 패널 하부를 한 손으로 받쳐줘야 합니다.




볼캐치 고정방식 : 우측 타공망 패널

우측 패널의 경우, 내부에 연장 케이블이나 두께가 있는 추가 팬 허브 등을 사용해서 케이스를 조립할 때, 패널의 내부 공간보다 내용물이 오버되지 않도록 하는 것지 좋습니다. 그 이유는 볼캐치의 고정력보다 내부의 내용물이 더 큰 장력을 꾸준하게 유지한다면 고정력을 버티지 못하고 패널이 오픈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서 조립 과정에서 내부 공간을 적당히 정리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우측 타공망 패널을 닫으면 남는 공간 없이 철제 프레임과 밀착됩니다. 반면에, 강화유리 패널을 닫았을 때는 강화유리가 프레임으로부터 살짝 떨어져 일정한 두께의 틈이 있습니다.






상단 먼지 필터 (마그네틱 방식)

케이스 내부 상단에는 먼지 유입을 막기 위한 먼지 필터가 마그네틱 방식으로 적용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아무것도 없는 필터 부분과는 달리 SUITMASTER 로고가 새겨진 먼지 필터 손잡이가 적용된 부분에는 살짝 공간이 뜨는 것이 확인됩니다.




우측 먼지 필터 (마그네틱 방식)

원활한 공기 흐름을 위해서 우측 철제 패널에 2개의 큰 타공망 공간이 있습니다. 그리고, 우측 패널의 내부에는 해당 타공망의 공간만큼을 커버할 수 있는 마그네틱 방식의 먼지 필터 2개가 적용되어 있습니다.




하단 먼지 필터 (슬라이딩 방식)

PSU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하부에는 슬라이딩 방식의 먼지 필터가 적용되어 먼지 필터 관리가 수월하도록 배려했습니다. 먼지 필터 손잡이 부분이 약간 돌출되어 있으며, 실사용에서 크게 힘들이지 않아도 먼지 필터의 탈부착이 쉽도록 설계된 점에 좋은 점수를 줄 만합니다.






내부 Fan 구성

내부 상단 : 140mm Fan 3개 or 120mm Fan 3개

측면 : 140mm Fan 3개 or 120mm Fan 3개

후면 : 140mm Fan 1개 or 120mm Fan 1개

파워 챔버 상단 : 120mm Fan 2개


라디에이터 규격

내부 상단 : 120, 140, 240, 280, 360mm

측면 : 120, 140, 240, 280, 360mm

후면 : 120, 140mm




앱코 엣지 듀얼 140 ARGB 스마트쿨링 (WHITE)

후면 Fan은 140mm 크기의 앱코 엣지 듀얼 140 ARGB 스마트쿨링 (WHITE) 제품이 탑재되었습니다. 해당 팬의 두께는 25T, 베어링은 Hydraulic 방식이 적용되었고, 최대 RPM은 1100RPM, 최대 풍량은 63.46CFM, 풍압(정압)은 0.89mmH₂O, 최대 팬소음은 23.4dBA, 작동전압은 팬 5V, LED 12V입니다. PWM 방식과 데이지체인 방식을 지원합니다.




PCI 슬롯은 8개가 적용되었고, 모두 재활용 가능합니다. 그리고, PCI 슬롯도 타공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PCI 슬롯에 나사를 탈거 및 체결할 때, 사용자가 쉽게 이용하도록 케이스가 타공 되어 있어 PCI 슬롯의 탈거와 체결이 무척 쉬워졌다는 점에 좋은 점수를 주고 싶습니다.




파워 챔버의 3면도 거의 대부분의 면적이 타공 되었습니다. 상단에는 120mm Fan 2개를 장착할 수 있는 공간도 있습니다.




메인보드에 연결되는 케이블과 GPU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관리할 수 있는 케이블 홀. 




파워 챔버 우측 공간의 멀티 베이는 하단에 체결된 나사 4개를 제거하면 탈거가 가능합니다.




멀티 베이에는 2개의 SSD or 2개의 HDD or 1개의 SSD와 1개의 HDD를 장착할 수 있습니다.




전면 강화유리 패널은 볼캐치 방식이 아닌 나사로 고정되어 있습니다.






앱코 SUITMASTER U3000 갤러리의 우측 타공망 패널을 탈거한 상태에서 본 내부 모습입니다.




6개의 벨크로 타이가 배치되어 있어 선 정리에 보다 효과적입니다.




기본 구성 케이블을 살펴보면...

USB Type-C 케이블, USB 3.0 케이블, HD AUDIO 케이블, HDD LED 케이블, 전원 케이블, 전원 LED 케이블, 리셋 스위치 케이블, 리셋 스위치 연결 단자( RGB Fan LED 컨트롤 버튼으로 연결됨), 후면 Fan PWM 케이블, 후면 Fan 데이지 체인 방식 연결단자, 후면 Fan aRGB 케이블, 후면 Fan SATA 케이블로 구성됩니다.




SSD 전용 브라켓

2개의 SSD 전용 브라켓이 배치되어 있습니다. 해당 브라켓은 단단한 스틸 재질입니다. 만약에, 부족한 공간에 Fan 허브 등을 장착하고자 한다면 Fan 허브의 크기와 두께를 앱코 SUITMASTER U3000 갤러리의 우측 패널 내부 공간과 비교 체크한 다음에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SSD 전용 브라켓을 하나 탈거하고 그 자리에 Fan 허브를 추가하는 것도 고려해 볼 만합니다.




상품 판매 페이지에 소개된 내용으로는 PSU 장착 공간에 최대 220 - 250mm의 PSU를 장착할 수 있다고 합니다.




미들타워 규격에 어항 케이스 디자인으로 만든 제품이기에 측면에 140mm Fan 3개를 체결하는 공간에는 우측 타공망 패널을 장착할 수 있는 공간 외에 별도의 여유 공간은 없습니다.




우측 패널의 선 정리 여유공간의 높이는 약 20mm입니다.






상단 패널 탈부착

앱코 SUITMASTER U3000 갤러리의 상단 패널 일부는 분리가 가능합니다.




위의 사진에 보이는 3군데에 체결된 나사를 제거하면 조립 시 오픈된 케이스의 여유 공간으로 인해 편하게 조립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정면 유리 패널 내부 상단을 보면, 걸쇠 2개가 보입니다. 상단 패널을 탈거할 때는 걸쇠의 고정과 움직임을 고려해서 탈거 or 체결하세요.






패널 두께 측정

상단 패널 : 약 0.87T / 메인보드 쪽 내부 : 약 0.89T / 후면 PSU 주변 : 0.94T

후면 팬 주변 : 약 0.86T / 내부 측면 Fan 장착 주변 : 약 0.84T / PSU 챔버 상단 : 0.85T

전면 강화유리 : 약 3.90T / 하부 두께 : 약 0.83T / 측면 강화유리 : 3.94T / 우측 패널 : 0.83T






M-ATX 메인보드 장착 시

앱코 SUITMASTER U3000 갤러리 내부에 M-ATX 메인보드를 체결하면 하단에 공간이 많이 여유롭습니다.




ATX 메인보드 장착 시

ATX 메인보드를 내부에 장착해도 하단에 여유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단에 여유 공간이 있으면 그만큼 조립 과정에서 케이블 체결이나 정리가 수월해집니다. 그런데, 사실 하단에 여유 공간이 있는 이유는 PSU 챔버 상단에 120mm Fan 2개를 체결할 여유 공간을 확보해 둔 것입니다. 만약에 해당 공간에 120mm Fan 2개를 추가하실 계획이라면 먼저 메인보드 하단 부분에 연결해야 하는 케이블 작업을 먼저 완료한 다음에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픽카드 지지대 설치

메인보드에 높이 조절 스탠드오프를 활용해서 전용 브라켓을 체결합니다. 사용자의 그래픽카드 높이에 맞춰 고정 손나사를 결착해서 그래픽카드를 지지하게 되는 구조입니다. 그래픽카드와 맞닿는 부분에는 3M 스펀지 스티커를 부착해서 활용합니다. 그래픽 카드 상단에도 동일하게 고정 손나사로 결착해 두었지만, 사실 하부만 받쳐도 괜찮습니다. 




해당 그래픽카드 지지대는 SSD 방열판 사용자와 메인보드에 아머가 장착된 사용자에게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아머가 장착된 메인보드 위에 그래픽카드 지지대의 브라켓은 정상적으로 체결되지만, 고정 손나사를 결착하는 방식이 단순히 십자 나사를 조아서 잠그기 때문에 십자 나사의 길이가 메인보드의 아머나 방열판이 찍혀 들어갈 수도 있습니다. 그러니, SSD 방열판 사용자나 메인보드에 아머가 장착된 사용자를 제외한 일반 메인보드 유저들에게 해당 그래픽카드 지지대는 적합합니다.






조립과정에 사용된 시스템 제원은 다음과 같습니다.

CPU : Intel® i7-10700K

MB : GIGABYTE Z490 AORUS PRO AX

Graphic : 이엠텍 HV 지포스 RTX 2070 BLACK MONSTER OC D6 8GB

RAM : 써멀테이크 DDR4-3600 CL18 TOUGHRAM RGB 블랙 패키지 (8Gx2)

CPU Cooler : JONSBO SHADOW 360 ARGB WHITE

SYSTEM Fan : NZXT F140 RGB Matte White

Fan Hub : NZXT RGB & Fan Controller V2

PSU : 시소닉 CORE GOLD GX-650 Full Modular

SSD : Intel® SSD 670p Series (1TB) / MX300 M.2 (275GB) / MX500 (250GB)

HDD : WD 1TB BLUE WD10EZEX

CASE : 앱코 SUITMASTER U3000 갤러리 ARGB 강화유리 (화이트)






조립 시작 전에 상단 패널을 탈거한 상태로 조립을 진행하면 훨씬 더 수월하게 조립이 가능합니다. 케이스의 무게도 가볍고 상단이 오픈되어 있어 케이블 수정과 정리도 조금 더 편하게 진행됩니다.




멀티 베이에 SSD나 HDD를 연결해서 사용하고자 한다면... 측면에 SYSTEM Fan을 장착하기 전에 먼저 SATA 케이블과 전원을 연결해둬야 합니다.




메인보드의 전원 케이블도 측면에 SYSTEM Fan을 장착하기 전에 먼저 연결해야 합니다. 메인보드의 24핀 단자가 크기가 있기 때문에 측면의 좁은 케이블 홀을 통과하려면 SYSTEM Fan이 없는 상태에서 진행해야 합니다.




메인보드의 전원 케이블과 측면에 140mm SYSTEM Fan이 장착되어 정상 작동하는 과정에서의 모습입니다. 측면에 SYSTEM Fan이 장착되면 메인보드와 시스템 팬이 간격이 좁기 때문에 PSU의 전원 케이블은 유연할수록 좋습니다.




측면에 140mm SYSTEM Fan이 장착된 상태에서도 메인보드에 SATA 케이블을 체결할 수는 있습니다. 단지, 화면에서 보이는 것처럼 메인보드와 측면의 140mm SYSTEM Fan 사이에 공간이 무척 협소하기 때문에, 측면에 Fan을 장착하기 전에 미리 SATA 케이블을 연결해 두는 것이 편합니다.




ATX 메인보드를 사용해서 전체 조립이 끝난 상황의 내부 모습입니다. 메인보드와 측면의 140mm SYSTEM Fan 사이의 간격이 협소하긴 하지만, 전체적으로 공간 활용이 효과적이고, 조립 순서만 미리 생각해 둔다면 케이블 연결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보여주기 위한 배치가 아니라, 앞서 조립 시작 전에 언급한 시스템 구성을 모두 활용하기 위해서 모든 장치의 케이블이 다 연결된 상태의 모습입니다. 좌측에 140mm SYSTEM 팬을 장착하는 공간과 내부 전면에 멀티 베이 구성 때문에 케이블을 정리할 수 있는 공간이 한정적이지만, 양쪽에 배치된 벨크로 타이의 분산 활용과 생각보다 여유로운 PSU 내부 공간을 이용하면 AIO 올인원 수랭 쿨러의 Fan 케이블과 ARGB 케이블 + SYSTEM Fan 케이블과 ARGB 케이블 + Fan Controller 조합까지 모두 다 한 번에 담아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조립이 끝나고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시스템. 전체 RGB LED 색상을 화이트로 세팅.






앱코 SUITMASTER U3000 갤러리에 장착 가능한 그래픽 카드의 최대 길이는 410mm며, 탑재 가능한 CPU 쿨러의 최대 높이는 185mm입니다.






스마트 쿨링 3.0 & 데이지 체인 방식

후면 메인 팬의 PWM과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연결된 Fan 들이 바이오스나 유틸리티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에 따른 RPM으로 컨트롤되는 스마트 쿨링 3.0을 지원합니다.





LED 컨트롤 버튼 (Reset 버튼)

앱코 SUITMASTER U3000 갤러리의 후면에 장착된 앱코 엣지 듀얼 140 ARGB 스마트쿨링 (WHITE)는 데이지 체인 방식이 적용된 SYSTEM Fan입니다. 그리고, 케이스의 Reset 버튼은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연결된 앱코 엣지 듀얼 140 ARGB 스마트쿨링 (WHITE) SYSTEM Fan의 LED 효과를 간편하게 컨트롤할 수 있습니다. LED 컨트롤 버튼 (Reset 버튼)으로 선택할 수 있는 LED 효과는 LED off를 포함해서 총 15개의 LED 효과 및 Color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온도 측정 1차 

측면 장착 140mm SYSTEM Fan 3개 < 배기 상태일때 >



1-0. 온도 측정 환경 (균형&저소음)

어항 케이스인 앱코 SUITMASTER U3000 갤러리에 조립한 시스템의 온도를 측정해봤습니다. 이때, 측면에 장착된 140mm SYSTEM Fan 3개가 흡기가 아닌 배기 형태일 때, 시스템의 온도 변화가 궁금해서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측정 당시 실내 온도는 25.4℃였습니다. Intel i7-10700K에 별도의 오버클럭과 전력 제한 해제 없이 그대로 사용했습니다. 




1-1. 메인보드 자체 Manual (균형&저소음) 설정 활용

균형과 저소음 쪽으로 세팅한 Manual 팬 속도를 CPU와 후면 Fan에 세팅했습니다.




1-2. NZXT CAM 설정

측면에 장착한 140mm NZXT F140 RGB Matte White 시스템 Fan 3개는 CAM에서 저소음 세팅으로 진행했습니다. 




1-3. idle 온도

CPU 코어 온도 (Max) : 31 ~ 48℃ 

CPU 코어 온도 (Min) : 29 ~ 32℃ 

CPU 코어 온도 (Avg) : 30 ~ 33℃  

GPU 온도 (Max) : 36.6℃

GPU 온도 (Min) : 35.4℃





1-4. FullLoad 온도

AIDA64 시스템 안정성 TEST를 로컬 디스크와 그래픽 카드까지 모두 포함한 상태에서 10분간 진행 후, 측정값 초기화 후 추가로 3분 경과 후의 시스템 온도를 측정한 결과입니다.


CPU 코어 온도 (Max) : 72 ~ 80℃ 

CPU 코어 온도 (Min) : 54 ~ 60℃ 

CPU 코어 온도 (Avg) : 63 ~ 70℃  

GPU 온도 (Max) : 63.2℃

GPU 온도 (Min) : 62.5℃






2-0. 온도 측정 환경 (퍼포먼스)

측면에 장착된 140mm SYSTEM Fan 3개가 흡기가 아닌 배기 형태일 때, 시스템의 팬 속도 설정을 퍼포먼스로 세팅했을 때 시스템의 온도 변화가 궁금해서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측정 당시 실내 온도는 26.4℃였습니다. Intel i7-10700K에 별도의 오버클럭과 전력 제한 해제 없이 그대로 사용했습니다. 



2-1. 메인보드 자체 Manual (퍼포먼스) 설정 활용

CPU와 후면 Fan 속도를 Full Speed로 세팅했습니다.




2-2. NZXT CAM 설정

측면에 장착한 140mm NZXT F140 RGB Matte White 시스템 Fan 3개는 CAM에서 퍼포먼스 세팅으로 진행했습니다. 




2-3. idle 온도

CPU 코어 온도 (Max) : 31 ~ 47℃ 

CPU 코어 온도 (Min) : 29 ~ 32℃ 

CPU 코어 온도 (Avg) : 30 ~ 32℃  

GPU 온도 (Max) : 32.9℃

GPU 온도 (Min) : 32.3℃




2-4. FullLoad 온도

AIDA64 시스템 안정성 TEST를 로컬 디스크와 그래픽 카드까지 모두 포함한 상태에서 10분간 진행 후, 측정값 초기화 후 추가로 3분 경과 후의 시스템 온도를 측정한 결과입니다.


CPU 코어 온도 (Max) : 74 ~ 79℃ 

CPU 코어 온도 (Min) : 54 ~ 60℃ 

CPU 코어 온도 (Avg) : 63 ~ 68℃  

GPU 온도 (Max) : 62.5℃

GPU 온도 (Min) : 62.0℃


측면에 장착된 140mm SYSTEM Fan 3개가 흡기가 아닌 배기 형태일 때, 시스템의 온도 변화는 팬 속도가 [균형&저소음]에서 [퍼포먼스]로 변경해도 드라마틱한 변화를 경험하지는 못했습니다. 시스템의 로드율이 낮은 idle 타임에서 GPU의 최대 온도가 3.7℃ 낮아졌고, AIO 수랭 쿨러의 온도는 CPU 코어의 평균 온도 최대치가 2℃ 정도 낮아진 것에 그쳤습니다.




온도 측정 2차 

측면 장착 140mm SYSTEM Fan 3개 < 흡기 상태일때 >



3-0. 온도 측정 환경 (균형&저소음)

어항 케이스인 앱코 SUITMASTER U3000 갤러리에 조립한 시스템의 온도를 측정 2차 내용입니다. 앞서는 측면에 장착된 140mm SYSTEM Fan 3개가 배기 상태일 때의 내용을 다뤘고, 이번에는 흡기 상태일 때의  시스템 온도 변화가 궁금해서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측정 당시 실내 온도는 25.8℃였습니다. 나머지 테스트 과정과 조건은 앞서와 동일하게 세팅했습니다.


3-1. 메인보드 자체 Manual (균형&저소음) 설정 활용

1차 과정과 마찬가지로 균형과 저소음 쪽으로 세팅한 Manual 팬 속도를 CPU와 후면 Fan에 세팅했습니다.


3-2. NZXT CAM 설정

역시, 1차 과정과 동일하게 저소음 세팅으로 진행했습니다. 




3-3. idle 온도

CPU 코어 온도 (Max) : 33 ~ 45℃ 

CPU 코어 온도 (Min) : 29 ~ 32℃ 

CPU 코어 온도 (Avg) : 30 ~ 32℃  

GPU 온도 (Max) : 34.4℃

GPU 온도 (Min) : 34.0℃


측면 배기보다 측면 흡기일때 :  CPU 코어 온도 (Max) 3℃ 하락, (Avg) 1℃ 하락.

측면 배기보다 측면 흡기일때 :  GPU 온도 (Max) 2.2℃ 하락, (Min) 1.4℃ 하락




3-4. FullLoad 온도

AIDA64 시스템 안정성 TEST를 로컬 디스크와 그래픽 카드까지 모두 포함한 상태에서 10분간 진행 후, 측정값 초기화 후 추가로 3분 경과 후의 시스템 온도를 측정한 결과입니다.


CPU 코어 온도 (Max) : 69 ~ 79℃ 

CPU 코어 온도 (Min) : 53 ~ 57℃ 

CPU 코어 온도 (Avg) : 60 ~ 66℃  

GPU 온도 (Max) : 63.6℃

GPU 온도 (Min) : 63.2℃


측면 배기 상태일때보다 CPU 코어 온도 (Max) 3~1℃ 하락, (Avg) 3~4℃ 하락.

측면 배기 상태일때보다 GPU 온도 (Max) 0.4℃ 증가, (Min) 0.7℃ 증가.






4-0. 온도 측정 환경 (퍼포먼스)

측면에 장착된 140mm SYSTEM Fan 3개가 흡기 상태일 때, 시스템의 팬 속도 설정을 퍼포먼스로 세팅한 시스템의 온도 변화를 테스트했습니다. 측정 당시 실내 온도는 25.9℃였습니다. Intel i7-10700K에 별도의 오버클럭과 전력 제한 해제 없이 그대로 사용했습니다. 


4-1. 메인보드 자체 Manual (퍼포먼스) 설정 활용

1차와 동일하게 CPU와 후면 Fan 속도를 Full Speed로 세팅했습니다.


4-2. NZXT CAM 설정

CAM에서 퍼포먼스 세팅으로 진행했습니다. 




4-3. idle 온도

CPU 코어 온도 (Max) : 43 ~ 53℃ 

CPU 코어 온도 (Min) : 29 ~ 31℃ 

CPU 코어 온도 (Avg) : 30 ~ 32℃  

GPU 온도 (Max) : 33.8℃

GPU 온도 (Min) : 33.1℃


측면 흡기일때 :  CPU 코어 온도 (Max) 12~6℃ 상승, (Min) 0~1℃ 하락, (Avg) 동결. 

측면 흡기일때 :  GPU 온도 (Max) 0.9℃ 상승, (Min) 0.8℃ 상승.

균형 & 저소음 세팅일 때는 온도가 조금이나마 하라을 했는데...

퍼포먼스 세팅에서는 오히려 온도가 더 상승을 해버린 기이한 상황입니다.




4-4. FullLoad 온도

AIDA64 시스템 안정성 TEST를 로컬 디스크와 그래픽 카드까지 모두 포함한 상태에서 10분간 진행 후, 측정값 초기화 후 추가로 3분 경과 후의 시스템 온도를 측정한 결과입니다.


CPU 코어 온도 (Max) : 70 ~ 78℃ 

CPU 코어 온도 (Avg) : 58 ~ 64℃  

GPU 온도 (Max) : 63.0℃


측면 배기보다 흡기 상태일때 : CPU 코어 온도 (Max) 4~1℃ 하락, (Avg) 5~4℃ 하락.

측면 배기보다 흡기 상태일때 : GPU 온도 (Max) 0.5℃ 증가, (Min) 0.7℃ 증가.


모든 항목의 스트레스를 체크하고 이전과 동일하게 테스트를 진행했는데, 어째서인지 (Min) 항목에 대한 값이 앞전 데이터와의 갭이 너무 크게 나서 해당 데이터는 오류라  보고 활용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퍼포먼스의 FullLoad 상황에서 CPU 코어 온도의 (Max) 온도와 (Avg) 온도의 하락 폭이 최대 4~5℃ 정도 낮아진다는 점은 정상적인 경우라고 평가할 수 있을 것 같은데, GPU 온도는 (Max), (Min) 모두 소폭 온도가 증가했습니다.


테스트의 결과론적으로만 보자면... 측면 흡기는 CPU 코어 온도의 하락에 4~5℃ 정도 영향이 생기지만, GPU 온도는 오히려 미세하더라도 증가해서 애매한 상황입니다. 작업 환경이 지속적으로 시스템을 FullLoad 상황에서 사용하는 경우라면 측면은 배기보다 흡기가 CPU 코어 온도 하락에 약간의 영향력을 주지만, GPU를 활용하는 작업이라면 흡기나 배기나 크게 신경 쓸 부분이 없어 보입니다. 

결과가 조금 의외인 것은 측면은 배기보다 흡기가 좋다고 생각했었지만, 그 차이가 크지 않고, FullLoad 상황에서의 소음을 고려하게 된다면 적당히 균형 잡힌 성능에 FullLoad 상황 대비 저소음 환경을 유지하는 것도 취향에 맞는 환경 조성이 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디자인에 대한 이야기...

전면과 좌측에 통짜 강화유리 패널을 적용하고, PSU 챔버와 멀티 베이를 전면 하부에 노출시킨 앱코 SUITMASTER U3000 갤러리. 듀얼 챔버 스타일이 아닌 미들 타워 규격의 어항 케이스 디자인을 채택했습니다. 어항 케이스는 정렬된 배치에 따른 호불호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파워 챔버와 멀티 베이의 상단 높이에 단차가 있고, 멀티 베이 상단에는 별도의 Fan 장착이 안 되는 점 때문인데요. 대신에, 미들 타워 형태의 어항 케이스 측면에 140mm Fan을 3개 장착 가능하다는 점은 분명한 메리트입니다. 그리고, 좌/우 패널에 적용된 볼캐치 고정 방식으로 개폐하는 방법을 선택한 것도 사용자 입장에서는 귀차니즘과 수고를 덜어주는 장점을 가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가격에 대한 이야기...

파워 챔버가 전면 하부에 노출된 어항 케이스들이 타사에서도 조금 출시되었지요. 그런데, 가격적인 면에서는 앱코 SUITMASTER U3000 갤러리가 조금 밀리는 편입니다. 하지만, 이 부분에 대해서 체크해 볼 만한 내용이 있습니다. 해당 제품과 비슷한 형태의 어항 케이스는 측면에 장착 가능한 팬 규격이 120mm로 한정됩니다. 후면과 상단에는 140mm Fan을 장착 가능한 케이스들이 일부 포진되어 있지만, 현시점에서 측면에 140mm 팬이 3개 장착되는 케이스는 앱코 SUITMASTER U3000 갤러리 이외에는 찾아보기 힘듭니다. 그리고,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볼캐치 개폐 방식의 적용까지도 함께 고려한다면 가격적인 부분도 어느 정도 커버가 될 수 있을 겁니다.






조립에 대한 이야기...

좌측 강화유리 패널과 우측 타공망 패널에 적용된 볼캐치 개폐 방식은 분명 정말 편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패널 분리 과정에서 별도의 안전 장치는 없기 때문에 항상 패널 하부를 한 손으로 받쳐줘야 합니다. 이미 다른 제조사의 볼캐치 고정방식 케이스를 1년간 사용해 본 경험을 가진 입장에서 볼캐치 고정방식에도 단점이 존재하는데... 잦은 개폐는 고정력이 약해질 수 있고, 볼캐치의 고정력보다 더 큰 장력이 있으면 패널이 오픈될 수 있습니다. 물론, 좌측 강화유리 패널의 경우에는 별도로 내부에서 장력이 발생할 일이 없지만, 우측 타공망 패널의 경우, 내부에 연장 케이블이나 두께가 있는 추가 팬 허브 등을 사용해서 우측 패널의 내부 공간보다 더 오버된다면 단순히 패널을 닫고 잠그는 형태로는 고정력이 버티지 못하고 패널이 오픈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조립 과정에서 케이블 정리를 신경 쓰는 것도 좋을 겁니다.


내부를 이쁘게 구성한 어항 케이스를 꾸미기 위해서, 화려한 연장 케이블을 커스텀 하고 싶어도... 우측의 조립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제약이 따를 수 있습니다. 상단 패널은 나사로 체결되어 있어 나사를 탈거하면 분리할 수도 있습니다. 상단 패널을 분리하면 개방감이 있어서 메인보드와 케이블들의 조립 및 연결 과정에서 수월한 면이 있습니다. 메인보드에 높이 조절 스탠드오프를 활용해서 장착하는 그래픽카드 지지대의 경우에도 SSD 브라켓 사용자나 메인보드에 아머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래픽카드 지지대의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측면에 SYSTEM Fan을 장착하기 전에 PSU 전원 케이블과 저장 장치의 SATA 케이블들은 미리 연결해두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이 글을 마치며...

전면과 좌측에 통짜 강화유리 패널을 적용한 미들타워 형태의 어항 케이스, 앱코 SUITMASTER U3000 갤러리. 듀얼 챔버 스타일의 어항 케이스를 장만하기에는 가격이나 배치 공간이 부담스러웠던 분들께서 살펴볼 만한 제품입니다. 특히, 측면에 140mm Fan을 3개 장착할 수 있다는 점이 이 제품의 키포인트 중의 하나이기도 합니다. 140mm Fan 3개를 측면에 체결할 수 있는 미들 타워 형태의 어항 케이스를 찾으시는 분들이라면 앱코 SUITMASTER U3000 갤러리를 체크해 보시기 바랍니다.




다나와리포터 안내 페이지 바로가기


다나와 리포터
본 글은 다나와 리포터 인증 게시물입니다.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월광가면 님의 다른 글 보기

1/5
소비자사용기 최신 글 전체 둘러보기
1/1
간단 사용기 2025 다나와 프렌즈 굿즈 텀블러(UP Cycling) 구매 후기입니다.
사용기 S32DG700 구매 및 사용 후기 (2)
사용기 스마트모니터 M7 S32DM701 (2)
사용기 스마트모니터 M7 S32DM701 화이트 사용기 (2)
사용기 삼성 오디세이 G5 S27DG500 후기 (2)
사용기 스마트 모니터 M7 S32DM701 사용기 (2)
사용기 터프그립 핸드폰 맥세이프 그립 스마트톡 (2)
사용기 삼성전자 오디세이 G5 S27DG500 후기 (3)
사용기 삼성 오디세이 G7 S32DG700 IPS 4K UHD 144Hz 게이밍 모니터 사용기 (3)
사용기 6년? 7년?만의 업글입니다 (6)
사용기 S27DG500 사용기 (6)
사용기 인생모니터 CU34G2XP 를 만나다 (6)
사용기 아트뮤 MH410 10in1 USB-C 멀티 허브 (10)
사용기 네스카페 돌체구스토 커피머신 호환 스타벅스 하우스 블렌드 아메리카노 캡슐 (10)
사용기 알파스캔 AOC 27G4XE 게이밍 IPS 180 프리싱크 HDR 무결점 (구매후기) (8)
사용기 AMD 7600 > 9600X 및 ADATA EXPO DDR5 업글기 (7)
사용기 삼성 오디세이 G5 S27DG500 사용 후기 (5)
간단 사용기 가성비 최고!! 크로스오버 27GSA9 모니터 (9)
간단 사용기 S32DG700 4k 모니터 사용후기 (7)
사용기 삼성전자 오디세이 G7 S32DG700 구매 후기 (7)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