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찬
안녕하세요?
오늘은 요즘 AFMF로 떡상한 그래픽카드를 리뷰하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제품은 [ASUS DUAL 라데온 RX 7600 O8G V2 OC D6 8GB]입니다. 플래그쉽이나 하이엔드 그래픽카드는 경쟁사의 제품이 인기가 있지만...엔트리급 그래픽카드는 아직까지 라데온의 경쟁력은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경쟁사 4060와 깡성능은 비슷한데 가격은 10만원 가까이 저렴하기 때문입니다. 그에 따라 RNDA3 칩셋을 가진 RX7600의 ASUS제품인 DUAL RX7600 8GB 제품을 리뷰하도록 하겠습니다.
제품 개봉기
먼저 제품 박스입니다.
제품은 깔끔한 검은색과 붉은색의 조화로 이뤄져 있습니다.
제품 박스내용입니다.
본제품과 제품 설명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본체의 외형입니다.
새것이라서 본체에 비닐로 싸여져 있습니다. 설치전엔 비닐필름을 제거하라고 적혀 있네요.
제품은 2팬의 컴팩트한 형태입니다. 팬이 Axial-tech 팬디자인이라서 풍량이 퍼지지 않고 직진하는 성격을 가지고 있다보니 [강력한 쿨링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ASUS 제품답게...백플레이트는 메탈로 되어 있고 깔끔하고 이쁘네요. 히트파이프는 2개로 보입니다.
디스플레이 포트 구성입니다.
전형적인 DP 3개와 HDMI1개로 되어 있습니다. 총 4개의 모니터를 연결할수 있습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사파이어 RX6600XT]와의 외형 비교 입니다.
좀더 뚱뚱해보이지만 팬크기도 살짝크고 케이스에 영향을 덜 받아서 좋은것 같습니다.
사파이어 RX6600XT를 제거하고 [ASUS DUAL 라데온 RX 7600 O8G V2 OC D6 8GB]를 장착했습니다.
그래픽 지지대를 하긴 했지만 그래픽카드가 짧아서 지지대 따위는 솔찍히 필요 없는 제품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제품 스펙
제품 스펙은 이렇습니다.
최신 RNDA3 Navi 33칩셋을 탑재하고 있으며 8GB의 충분한 메모리를 탑재하고 있습니다.
레퍼런스 제품보다 OC모드로 좀더 높은 클럭을 제공하고 있고...PSU를 보면 550W정도로 엄청난 전력 효율성을 가지고 있어서 굳이 700~800W이상의 고용량 파워가 필요한게 아니라 기존에 500~600W의 시스템을 사용하시는 분들이 간단히 [라데온 RX7600]만 업그레이드 해도 충분히 왠만한 게임을 FHD급에서 사용할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3D 마크 벤치마크
먼저 3D마크의 타임 스파이 벤치마크 입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RX6600XT가 9468 점이 나왔는데, 그것보다 대략 1473점이 더 높습니다.
파이어 스트라이크 점수입니다.
기존의 RX6600XT가 26200점정도 나왔는데 그것보다 2600점 더 높습니다.
이정도로 깡성능을 대충 확인 해보았습니다.
제 시스템에서 벤치마크한 점수를 정리하면 이와 같습니다.
AMD HYPR-RX 프로파일
이번에 라데온 RX7000 시리즈에서는 [AMD HYPR-RX 프로파일]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각종 게임들에 최적화된 설정을 원 버튼으로 설정가능한 기능입니다.
-
AMD Fluid Motion Frames : AFMF
-
AMD Radeon Anti-Lag
-
AMD Radeon Super Resolution
-
AMD Radeon Boost
-
AMD FidelityFX Super Resolution
이렇게 여러가지 AMD 라데온의 기능들을 게임에 맞게 최적화로 설정해준다는 것입니다.
지원안되는 게임도 개별 설정으로 원하는 기능을 켜고 끄고 할수 있습니다.
HYPR-RX의 요구사항은 RDNA3로 명시되어 있지만 비슷한 설정은 RDNA2의 RX6000시리즈도 설정이 가능합니다. 그중에 HYPR-RX Eco의 경우 RX6000시리즈에 이미 반영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라데온 프로그램에서 버튼 하나로 HYPR-RX를 설정할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프레임 가속을 위한 핵심기술인 [FSR3와 AFMF]의 내용은 다음 내용에서 확인 해보시기 바랍니다.
FSR3 : FidelityFX Super Resolution
먼저 프레임 가속기술중에 업스케일링 기술인 FSR3 입니다.
이 기능은 경쟁사의 DLSS나 XeSS 기술과 비슷한 기술로 해당도를 낮게 랜더링 한다음 그걸 AI를 통해서 업스케일링해서 표현하는 기능입니다. 단순히 저해상도 렌더링만 한다면 눈에 보이는 깍두기픽셀로 인해서 금방 이질감을 확인할수 있지만... FSR 기술을 이용하면 프로파일에 따라 조금 다르지만 거의 1.5배이상의 프레임이 증가되지만 해상도 이질감을 거의 느끼기 힘들정도로 괜찮은 기술입니다.
아쉬운것은 이 기능은 모든 게임에서 제공을 하는것은 아니고 특정 게임에서만 지원한다는 아쉬움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도 최신의 AAA급 게임들은 점점 지원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간단 벤치마크로 결과값을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사이버펑크 2077 게임의 높음 품질의 벤치마크를 돌려봤습니다.
일반모드일 경우 59.56fps이 나오지만 FSR2.1 적용하면 93.55fps가 나옵니다. 대략 [1.6배정도 프레임이 높게] 나옵니다. 59프레임이면 조금 애메한 프레임이지만... 93프레임이면 게임을 플레이 하는지 전혀 문제 없는 수준으로 올라오는 것입니다.
이번에는 특정 게임만 지원하는 기술이 아닌 DX11, DX12를 지원하는 거의 모든 게임에 적용가능한 AFMF를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AFMF : AMD Fluid Motion Frames
작년말부터 AMD는 획기적인 기술 1개를 공개했습니다.
그것이 바로 AFMF라는 프레임을 추가적으로 생성하는 기술입니다. 이건 과거 AMD의 최대의 장점이었던 [동영상 Fluid Motion] 기술의 응용되는 기술로 요즘같이 AI가 발전된 시대에서 확실히 경쟁력을 높혀주는 기술입니다. 초반에는 베타드라이버 버젼으로 공개를 했지만 현재는 거의 안정화 되어서 정식 드라이버에서 지원하는 기술로 조건은 [라데온 RX6600 이상]에서 지원합니다.
이 기술은 보이는 내부적으로 프래임을 늘어나는 기술이다보니 게임 내부 프레임 모니터링이나 외부 프레임 모니터링 프로그램에서는 검측이 힘들고 라데온 자체 모니터링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AFMF를 적용하고 적용안하고 해서 총 3개의 게임을 벤치마크 해봤습니다.
테스트한 해상도는 WFHD(2560 x 1080P)입니다.
라데온 프로그램에서 평균프레임을 확인이 어려워서 중간 같은 구간의 프레임을 사진으로 찍어서 확인했는데..
보시다 싶이 대략 1.8배의 상승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엄청난 상승이 아닐수 없습니다. 평소때 레데온의 경쟁사보다의 약점인 [레이트레이싱] 적용한 게임에서는 깡성능으로도 딸리고 FSR를 적용한다고 해도 경쟁사가 DLSS를 적용해버리면 당연히 딸리는 프레임으로 아무래도 라데온의 경쟁력이 오직 가격적 승부 밖에 볼수 없는 경우가 일반적인데 반해서 AFMF를 이용한다면 충분히 경쟁사보다 더 높은 프레임을 제공할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물론 AFMF의 약점이 몇가지 있습니다. 프레임 보간된 프레임을 순간적으로 볼때 약간 이상한점과 화면을 좌우로 마구 흔들어서 프레임이 들죽날죽한 경우엔 상승율이 원하는 만큼 되지 않는 부분인데...이부분을 제외한 모든 부분에서는 무조건 이점이 되는 부분이라서 안쓰면 바보가 되어 버릴수 있는 기능이 아닐수 없습니다.
추가적으로 보셔아할것은 [AMD Anti-Lag]으로 인해서 프레임시간이 거의 1/2로 줄어 있는 모습도 확인 하실수 있습니다.
더욱이 이 이점은 기존의 해상도 업스케일링 기술인 FSR을 적용한다음에도 추가적으로 적용할수 있어서 엄청난 시너지 효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앞서 FSR3를 비교했던 벤치마크에서 AFMF를 추가적으로 사용하면 95FPS정도 나왔던 프레임이 거의 150FPS이상으로 올라갑니다. 원래 [59FPS 나오던 게임이 150FPS]으로 나온다는건 굳이 해상도를 레티나로 볼수 있는 눈을 지닌 사람이 아닌 이상 굳이 전력낭비와 비용을 소비 해가면서 고성능의 그래픽카드를 구매할 필요 없이 이런 [라데온 RX7600]같은 저렴한 그래픽 카드로 충분히 게임을 즐길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결론
이번 제품인 [ASUS DUAL 라데온 RX 7600 O8G V2 OC D6 8GB]은 ASUS에서 출시한 RX7600 제품중에 기본기에 충실하고 단단함을 느끼게 해주는 제품입니다. 과거 RX6000 시리즈의 타 브랜드 제품은 빽플레이트를 플라스틱으로 제공하는 경우도 있지만 ASUS는 기본에 출실하게 DUAL팬 구성에 컴팩트한 구성이지만 Axial-tech 팬디자인이라서 타 브랜드 제품에 절대 뒤지지 않는 제품으로 FHD환경의 게이밍에서는 이 만한 제품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AMD만의 HYPR-RX와 FSR3그리고 AFMF까지 굳이 비싼 그래픽카드가 필요 없이 이 제품으로 충분히 커버가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새롭게 PC를 맞추는 분만 아니라 기존에서 몇년된 제품을 사용하는 유저분들도 이 그래픽카드만 교체를 해도 AMD의 신기술을 이용해서 충분히 게이밍을 즐길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만 리뷰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s://prod.danawa.com/info/?pcode=358149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