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안 정체되어 있던 무선랜의 속도는 최근에는 기가 비트를 지원하던 유선랜의 속도를 넘어서는 무선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기존 무선랜을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인 2.4Ghz와 5Ghz는 우리나라와 같이 아파트가 많은 같은 환경에서는 위/아래/좌/우에 위치한 집들의 무선랜 기기들까지 모두 잡히기 때문에 이미 매우 혼잡한 상황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주파수 대역의 혼선을 방지하고자 기존에 사용하지 않던 6Ghz를 새롭게 사용하는 Wi-Fi 6E가 스마트폰과 최신 노트북에 적용되기 시작했으며, 최근에는 기존의 데스크톱이나 노트북에 손쉽게 WI-FI 6E를 사용할 수 있는 USB 동글 형태의 제품들도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Wi-Fi 6E USB동 글 중에서 가장 먼저 시장에 선보였던 미국의 네트워크 기기 선도업체인 「넷기어 (NETGEAR)」의 WI-FI 6E 동글인 'A8000'을 리뷰한 내용을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Wi-Fi 4, 5, 6, 6E, 7의 차이점
와이파이 규격을 표시하는 802.11X는 IEEE의 표준명이고, Wi-Fi Alliance에서는 802.11ax부터 Wi-Fi X라는 번호명을 부여하고 있습니다. 일반 사람들에게 어려운 기술용어보다는 쉬운 명칭으로 새로운 기술을 널리 알리기 위한 방법이었습니다.
-
Wi-Fi 4 (802.11n) : 최대 전송 속도 1.2Gbps , 2.4Ghz / 5Ghz
-
Wi-FI 5 (802.11ac) : 최대 전송 속도 3.5Gbps, 5Ghz
-
Wi-Fi 6 / 6E (802.11ax) : 최대 전송 속도 9.6bps , Wi-FI 6는 2.4 / 5 Ghz, 6E는 2.4 / 5 Ghz에 6Ghz를 추가
-
Wi-Fi 7 (802.11be) : 최대 전송 속도 46bps , 2.4 / 5 / 6 Ghz
하지만, 이론적인 최대 전송속도는 실제 이론적인 속도이고, 실제 제품에는 송신과 수신되는 안테나의 숫자, Wi-Fi 칩의 종류에 따라 기기별로 지원되는 속도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Wi-Fi 6E 적용 기기
2020년 1월에 Wi-Fi 얼라이언스가 발표한 Wi-Fi 6E는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중에서는 '갤럭시 S21 Ultra'가 최초로 지원하였으며 이후 출시된 폴드와 플립, 그리고 S22+ 이후의 S 시리즈에서 지원하고 있습니다. 갤럭시 탭에서는 S8 이후의 시리즈가 지원하고 있습니다.
「애플」의 경우에는 '아이폰 15프로'부터 지원되기 시작하였으며, 아이패드 프로 11/ 13 (M4), 아이패드 프로 12.9 (6세대), 아이패드 프로 11(4세대), 아이패드 에어 11/13(M2)에서 최대 채널 대역폭 160 Mhz, 최대 2,400Mbps 속도의 WIFI-6E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넷기어A8000의 주요 특징
Wi-Fi 6E를 세계 최초로 USB 무선 어댑터 형태로 지원한 「넷기어 (NETGEAR)」의 'A8000'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2.4 / 5 / 6 Ghz의 트라이 밴드를 지원
2.4Ghz에서는 최대 600Mbps, 5Ghz에서는 최대 1,200Mbps , 6Ghz에서도 최대 1,200Mbps를 지원합니다.
- Windows 10과 11과 USB 2.0/3.0 포트 지원
USB2.0과 3.0 모두를 지원하지만, USB 2.0의 최대 속도가 480Mbps로 제한돼 있어, 넷기어A8000의 최대 속도를 모두 이용하려면 USB 3.0 포트에 연결하여야 합니다. 또한 6Ghz 주파수 대응은 Windows 11에서만 지원하고 있습니다.
- 설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자체 크래들을 제공, 조절 가능한 안테나 탑재로 신호 강도 극대화
설치 위치에 구애받지 않게 별도의 USB 케이블로 연결되는 자체 크래들을 기본 제공하고 있으며, 안테나의 크기를 2배로 크게 확장할 수 있는 디자인으로 신호 강도를 최대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Unbox
USB무선랜카드인 넷기어A8000의 박스 전면에는 Wi-Fi 6E 호환과 트라이 밴드 탑재가 강조되어 있으며 측면에는 각 대역별로 최대 전송속도와 시스템 요구사항이 표기되어 있습니다.
넷기어A8000의 박스 구성물로는 USB무선랜카드 본체, 크래들, 설명서와 함께 소프트웨어가 USB 메모리 형태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설명서에는 이해하기 쉽게, 설치 과정이 설명되어 있는데, USB무선랜카드를 장착하고, 소프트웨어를 설치 후 설치된 장소의 무선랜에 접속하라는 내용이 손쉽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또한 제품을 등록할 수 있는 URL과 QR코드가 안내되어 있습니다.
USB무선랜카드인 넷기어A8000 본체는 전면에서 보면 깔끔한 디자인인데 측면에는 무선랜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블루 LED가 위치하고 있으며 측면과 후면에는 발열을 방지하기 위한 홀이 촘촘히 뚫려 있습니다.
넷기어A8000의 장점으로 앞서 안테나의 크기가 확장된다고 소개해 드렸는데, 아래와 같이 180도까지는 안되고 약 160도 정도까지 2배 크기로 확장이 가능하였습니다.
Install
제가 먼저 넷기어A8000을 시험해 본 것은 「레노버」의 미니 PC인 "씽크센터" 였습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Wi-Fi 6 USB 무선랜 카드를 제거하고 A8000을 USB 3.0 단자에 연결한 후 기본 제공된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기 위해 USB 메모리를 연결하였습니다.
넷기어에서 제공되는 드라이버 소프트웨어는 언어 이외에는 별다른 옵션의 지정 없이 아래와 같이 손쉽게 설치가 되었습니다.
무선공유기에 정상적으로 연결이 완료되면 아래와 같이 A8000의 측면 블루 LED가 들어옵니다. 제가 데스크톱 PC를 사용하는 장소는 거실에 설치된 무선공유기와의 위치와 멀리 떨어진 방이어서 항상 무선랜의 감도가 문제가 되었는데, A8000의 안테나를 확장하니 5Ghz에서도 최고 속도로 연결이 되어 데스크탑무선랜카드로 활용하기에 만족스러운 연결 성능을 보여 주었습니다.
Benchmark Test
USB무선랜카드인 넷기어A8000의 인터넷 속도 측정은 제가 집에서 사용하고 있는 KT 500Mbps 인터넷을 기준으로 KT가 제공하는 인터넷 속도 측정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측정하였습니다. (speed.kt.com)
측정 단말로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서피스 7+ 노트북에 넷기어A8000을 연결하였으며, 인터넷 공유기는 넷기어의 WIFI6 공유기인 RAX10을 활용하였습니다.
KT의 인터넷 속도 측정은 아래와 같이 아파트 단지의 망과 인터넷망을 거쳐 KT가 운영하는 측정서버와 댁내 단말 간 통신을 통해 측정됩니다.
총평
기가 비트 인터넷을 사용 중이시고, 주변에 무선랜 기기들이 많아 혼선으로 인해 무선랜의 성능에 지장을 받고 계신 분들에게는 아직은 사용자가 많지 않은 6G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는 Wi-Fi 6E는 매력적인 솔루션입니다.
댁내 공유기를 Wi-Fi 6E를 지원하는 제품으로 교체하고, Wi-Fi 6E를 지원하지 않는 노트북이나 데스크톱 PC에 USB무선랜카드인 넷기어A8000을 장착하면 손쉽게 6G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활용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