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에 다나와에서 좋은 기회가 생겨 서포터즈 활동을 진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제 스마트폰, 이어폰을 포함한 집의 시스템 에어컨 5대, TV, 세탁기, 건조기 등 모든 가전은 삼성 제품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만큼 좋아하는 브랜드인데, 그런 브랜드의 서포터즈로 활동할 수 있어서 조금 들뜨네요.
이번에 제가 맡게 된 제품은 삼성전자 오디세이 OLED G8 G80SD입니다.
삼성전자 오디세이 서포터즈 1기

이전에 오디세이 G3 G32A S32AG320 멀티 스탠드 제품을 사용해 본 적이 있는데, FHD 제품임에도 높은 명암비를 가지고 있어 색 표현력이 만족스러워 잘 사용했는데요.
G3 제품보다 훨씬 상위 버전인 하이엔드급 오디세이 OLED G8 G80SD 제품을 사용해 볼 수 있어서 기대감이 굉장히 높습니다.
이번 서포터즈 활동은 아래 측면에서 리뷰해 보려고 합니다.
오랫동안 게임을 플레이해온 게이머로서의 리뷰
데스크 테리어 측면의 외적 디자인의 만족도
두 측면을 중심으로 장단점을 세세하게 리뷰해 보겠습니다.
1월 24일까지 총 4주간 삼성전자 오디세이 서포터즈 활동을 오늘 첫 번째 조립기를 시작으로 최선을 다해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너무 간단한 조립
조립 방법은 간단합니다.
제품에 구성된 하부 받침과 거치대를 먼저 연결한 뒤,
거치대와 모니터 본체를 연결해주시면 되겠습니다.
하부 받침대와 거치대는 동봉된 볼트를 체결하여 연결할 수 있습니다.
넓은 지지대가 무게감이 있어서 몇 개의 볼트만 걸어놓고 X자 방향으로 체결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https://blog.naver.com/kwonjae27/223708619799
[gif 오류로 업로드가 제한적입니다. 상기 링크 참고 부탁드립니다.]
하부 받침대와 거치대를 연결하셨다면 거치대 상부를 모니터에 먼저 밀어넣고 결합하시면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이엔드 라인업의 압도적인 퍼포먼스
오디세이 OLED G8 G80SD는 하이엔드급 라인인만큼 오디세이 시리즈 중에서도 높은 퍼포먼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스펙 몇 개 먼저 같이 살펴보겠습니다.


32인치의 대형 화면에 4K UHD를 지원하는 높은 해상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명암비를 잘 표현하는 VA 패널 게이밍 모니터의 경우 일반적인 명암비가 1,000:1 정도인데, 오디세이 OLED G8 G80SD 모니터는 QD-OLED 패널을 사용해서 1,000배에 달하는 명암비를 가지고 있습니다.
높은 명암비와 색재현성으로 정확한 색감을 표현할 수 있어서 게이머 입장에서는 게임의 퀄리티를 100% 느낄 수 있어 더욱더 높은 몰입도로 게임 플레이가 가능한 최고 수준의 색상 표현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양한 색감을 사용하고 있는 영상일수록 그 색감이 또렷하게 잘 보여서 영상미가 일품이었는데요.
특히, 이번에 새롭게 출시된 오징어 게임 2를 보면서 색 재현력에 감탄했습니다.
오디세이 OLED G8 G80SD 모니터의 응답속도가 굉장히 빠릅니다.
응답속도는 픽셀의 색상, 채도, 밝기 등을 바꾸는데 걸리는 시간이라고 보시면 되는데요.
일반적인 FHD 게이밍 모니터의 응답속도가 1ms인데, 이는 1920 x 1080의 픽셀을 바꿀 때의 시간입니다.
오디세이 OLED G8 G80SD 모니터는 그보다 2배 더 많은 3840 x 2160 픽셀을 바꾸는 데 0.03ms밖에 걸리지 않아 색 전환이 빠른 역동적인 영상을 보거나 게임을 플레이할 때 잔상이 없어 훨씬 부드럽게 볼 수 있다는 뜻인데요.


글레어 프리 기능은 조명을 키고 사진 촬영을 해도 비치지 않을 만큼 놀라운 수준이었습니다.
제품 촬영 시에 사용하는 조명을 키면 항상 조명 빛에 모습이 디스플레이에 반사되어서 보였는데요.
정면에서 찍어도 모습이 비치지 않아서 뛰어난 글레어 프리 성능에 깜짝 놀랐습니다.
많은 모니터들이 글레어 프리 성능을 포함하고 있다지만, 이 정도로 뛰어난 글레어 프리 성능은 본 적이 없어서 굉장히 놀라웠습니다.


4면 보더리스 제품이라 정면에서 봤을 때 디스플레이만 보이기 때문에 더욱더 화면이 넓은 느낌을 받습니다.
베젤이 거의 보이지 않는 디자인이라 데스크테리어를 하시는 분들이라면 깔끔한 디자인에 많이 만족하실 것 같습니다.



모니터 뒤편에서 RGB 조명을 통해 어두운 공간에서 RGB 데스크테리어를 꾸미시는 분들이 가장 주목할 부분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