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 다나와 → 히무라켄신_ / 네이버 → 히무라켄신
블로그 : blog.naver.com/great_kensin
이메일 : great_kensin@naver.com
이번에 소개할 제품은 SUNMAX사의 정격350W 파워 입니다.
120mm 쿨링펜과 무상보증기간 2년인 제품입니다.
1.박스
크게 눈에 보이는 부분은 국내에서 1번더 제품에 대한 검수를 한다고 넣어둔 문구 입니다.
사실 비용적인 부분과 시간적인 부분때문에 국내에서는 다시한번 검수를 하는것은
쉬운일이 아닙니다.



2. 내용물
제품을 감싸고 있는 보호 비닐은 에어컵으로 되어 있습니다.
내용물은 보급형 제품이므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여 원가를 절감한 형태이며, 대다수의 보급형
제품들은 비슷한 구성상태 입니다.

120mm 쿨링펜을 사용하고 있으며, 메인24핀 케이블은 매쉬망으로 되어 있습니다.

제품의 규격및 제품명 그리고 출력에 대한 표시가 되어 있으며, A/S센터 번호도 기재되어 있습니다.
5월에 수령한 제품이지만 제조일자는 1월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구입일로부터 무상2년의 보증을
받고자 하시는 유저님은 가급적 구매영수증 보관을 권합니다.
하지만 대다수의 유통사들이 제조일로 부터 3개월 정도는 유통기간으로 보고있어 제조일일로부터
3개월 + 2년이
무상 A/S기간이 아닐까? 하지만 이건
개인적인 의견
입니다.

각종 테스트 통과 스티커와 국내의 인증내역및 인증번호가 스티커로 붙어 있습니다.
케이블부분은 라운드형식의 플라스틱이 케이블손상을 방지해줍니다.

3. 제품내부
특징적인 부분중에 한가지는 EMI필터 두개가 모두 보드에 장착된 형태 입니다.
보통 국내에 판매중인 제품을 보면 전원 입력부에 1개 보드에 1개가 장착된 형태입니다.
추후에 리미티드 에디션 같은걸 만들어서 전원 입력부에 EMI필터를 추가 장착하면
일부 고가 메이커의 3개의 EMI필터 형태와 같아 질수도 있을듯 합니다.
(국내의 법규는 2개의 EMI필터가 필수 입니다.)


메인정류 캐패시터는 Heng Li 사의 200V 680uf 제품을 사용합니다.
정격 350W 출력의 제품에 알맞는 수치의 제품입니다.
(일부 정격500W 제품도 200V 680uf 규격을 사용합니다.)
Heng Li 메이커는 국내의 보급형 파워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제 주변에 계신 엔지니어분들은
OST 와 비슷한 성능으로 보시고 계십니다.
제가 가장 싫어하는 메인커인 FHY보다는 좋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그동안 제가 사용했던 파워들의
메인정류 캐패시터 불량은 항상 FHY 메이커 였습니다.

쿨링펜단자는 2핀형태로 일부 쿨링펜 튜닝유저분들이나 무상기간이후 쿨링펜 불량시 소비자가
쉽게 교체가 가능합니다.

120mm 2핀 형태의 교체가 가능한 형태의 쿨링펜이며, 보급형에서는 흔치 않은 9개의 날개가
달려 있습니다.(대부분 제조사는 5~7개 날개입니다.) 소음은 정숙한 편입니다.
에어커튼이 장착되어 있어 제조사가 원하는
형태로 공기가 흐르도록 하고 있습니다. 쿨링펜을
교체할때는 꼭 이 에어커튼을 같이 달아주시길
권합니다.

SUNMAX GT620 의 큰 특징중 하나인 출력부 케이블 단자 입니다.
대다수 제품들은 납땜만 되어 있는것에 반해 이제품은 출력부 케이블 보호와 사용중 금속성먼지로 인한 쇼트방지까지 생각한 좋은 방법입니다.(제가 필테한 파워중 처음 접한 방식입니다.)
케이블의 규격은 사진에서도 보이는 18AWG 입니다.
출력부 쪽에 보이는 Asia X 캐패시터는 예전 에너맥스 토마호크3(ENP500ASK) 출력부에도 사용된
같은 메이커 입니다.

제품 바닥면입니다.
레이아웃 설계는 2013년 2월에 된것을 알수 있으며, 휨방지용 지지대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바닥면에서 생길수 있는 쇼트를 방지하기위한 보호 필름입니다.
이 보호필름이 장착된 제품들은 바닥변에서 생길수 있는 쇼트가 방지되어
제품 불량을 낮추는데 큰 공헌을 하였습니다.

Silan Microelectronics 사의 SC6105B 전류및 전압 안정장치 칩입니다.
OVP , UVP , DPP , SCP 및 유입 보로 회로 입니다.
이거 하나 장착으로 주변기기를 보호할수 있게됩니다.
자율안전인증 시행 이전에는 이렇게 추가비용들어가는 것을 다빼버리다 보니 파워 불량이
곧 주변기기 불량으로 이어졌습니다.

SDC사의 SDC 606P 칩셋입니다.
에너맥스사의 토마호크3
ENP500ASK 모델에서도 사용된 칩셋입니다.
SDC 606P 칩셋은 참 재미있는 칩셋입니다.
PWM 기능의 칩셋이면서 안정장치 기능도 제공합니다.
(OCP,OVP,OTP,OLP)
http://sdc-semi.com/e/eshow.asp?ProID=77
일부유저님들이 SDC 606P 5V 2A 형태의 PC Standby 5VSB 데모보드 PDF자료를 보시고는
이칩셋이 PWM 컨트롤러가 아니라고 주장하시는 경우가 있는데요.
데모보드에 이 칩셋을 장착하는 이유는 안정장치기능 때문입니다.
SDC사측과 국제 반도체시장에서도 SDC 606 계열은 PWM칩 입니다.

4. 케이블 길이
24핀 케이블은 분리형이며, 길이가 51cm 정도입니다.(오차범위 있음)
분리형 4핀쪽에는 안내문구 스티커가 붙어 있습니다.
사실 이런 실수를할 유저는 없지만 PC조립을 블럭 맞추기라고 생각하고 무작정 덤벼드는
초보유저를 위해서는 꼭 필요한 안내 문구라고 생각합니다.

CPU보조전원 케이블의 길이는 60cm 정도 입니다.(오차범위 있음)
4 + 4핀 형태의 분리결합이 가능한 제품입니다.


VGA보조전원 케이블 입니다. 34cm 정도의 길이 입니다.(오차범위 있음)
6핀 케이블이며 2개의 보조전원 지원합니다.
24핀케이블이나 8핀 CPU보조전원 케이블이 긴편이지만 VGA보조전원케이블이 짧은편이라
하단케이스 이용 유저분에게는 케이스에 따라 살짝 VGA연결에 문제가 생길수도 있을듯 합니다.
이 부분은 빨리 수정되었으면 합니다.


4. 전압측정
OCCT 자료화면
OCCT는 S/W적인 측정 프로그램이므로 전압보다는 변동폭을 보는 용도로 생각하시면 될듯 합니다.
최대한 CPU사용율에 변동을 주어 이에 따른 전압변동을 확인하였습니다.
이 테스트는 풀로드 시스템이 아니라서 풀로드(350W)시스템으로 테스트할경우 달라질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유저는 파워장착시 여유를 둔다는점을 생각하면 꼭 풀로드 시스템으로 테스트를
진행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3.3V 의 변동폭은 최대 0.03V 평균 0.02V 였습니다.
이는 보급형 제품군에서는 무척 준수한 편입니다.

5V 의 변동폭은 0.03V 였습니다.
5V부분에서는 고가의 제품과 비교해도 손색 없었습니다.

12V의 변동폭은 0.13V 였습니다.
12V 전압변동폭도 훌륭합니다.

전압 변동폭은 보급형제품군에서는 단연 돋보입니다.
이정도 변동폭이라면 전압문제는 신경안쓰고 사용해도 될듯 합니다.
마무리하며...
2014년 6월 15일 기준으로 벌크모델은 최저 24,600원 이며, 박스모델은 최저 25,600원 입니다.
정격 350W 기준으로는 최저가인 제품으로 정격 300W 제품들과 비교 해도 가격적인 차이가
없을정도로
가격적인 메리트가 높은 제품입니다.
또한 점점 부품들이 저전력화 되어 높은 성능의 VGA카드또한 60W정도의 전력소모(GTX750TI 기준)를
하므로 정격350W 로도 PC를 구성하였을대 넉넉한 여유가 생깁니다.
평균적으로
CPU : I5 하스웰 리프레시 (84W)
VGA : GTX 750TI (60W)
HDD : 평균 (10W)
ODD : 평균 (15W)
이정도가 대표적으로 전력을 소모하는 부분이라 일반적인 유저라면 200~230W 내외의 최대출력을
사용하게 되므로 350W파워를 사용하더라도 100~150W 정도의 여유가 생깁니다.
단지, VGA보조전원 케이블이 짧은것은 빨리 수정되었으면 합니다.
주로 소비자보단 업체위주로 홍보가 된 제품이다보니 오래된 회사임에도 알고있는 유저는 많이 없습니다. 사용기 작성자인 본인도 최근에야 알게된 회사입니다.
좀더 다양한 홍보와 마케팅으로 소비자에게 한발더 다가오셨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