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꿀팁들은 샤오미 홍미노트3(MTK)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만.. MIUI 7 이상을 탑재한 모든 스마트폰(홍미3, 홍미노트3 프로, 홍미노트2 등)에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합니다...
샤오미 스마트폰을 처음 접하는 분들은.. 안드로이드 폰을 오래 써오셨다 하더라도 그 차이에 꽤 당황하실 수 있습니다... 이건 샤오미 스마트폰은 안드로이드를 베이스로 하고 있긴 하지만 MIUI라는 커스텀 OS를 탑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보통은 푸시 알림이 정상적으로 오지 않는다거나... 저장된 주소록이 각 어플들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는다거나 하는 등의 문제들인데... 이 부분들은 두 가지 설정 변경으로 일반 안드로이드 폰처럼 사용이 가능합니다...
물론 모두 사용자에게 유익한 기능들입니다만.. 어쩌겠습니까.. 낯설어서 스마트폰 사용이 힘든데요... 그런 분들은 지금까지 써오신데로 써야죠...! ^^
MIUI의 기본 컨셉은.. 각 어플의 백그라운드 통신 기능(데이터 및 위치)을 비활성화해서 배터리를 절약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아래 스샷과 같이 이 설정은 기본으로 동작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별도 설정을 하지 않으셨다면 이 절전기능으로 백그라운드에서 어플들이 통신을 하지 못하니.. 당연히 푸시 알림 등을 받지 못하는 거죠...
스샷에 있는 것처럼.. 절전기능을 비활성화 하시면.. 그런 부분에 대한 불편함은 모두 사라집니다... 대신에 배터리 소모가 많아질 거라는 건 불을 보듯 뻔한 사실이겠죠...
절전 설정과 함께.. 또 하나 어플 동작을 제어하는 설정이 바로 권한 부분입니다... 이 MIUI라는 커스텀OS는 아이폰처럼 각 어플별로 권한을 제한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Security 어플을 실행하시면.. 이 기능은 절전기능과는 다르게.. 기본값은 비활성화 입니다(스샷은 활성화 된 상태)... 그렇지만 하위버전에서 업데이트 시 자동으로 활성화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어플 동작이 이상하다면 이 부분도 비활성화 해주셔야 합니다...
이 권한관리자 설정은 MIUI 7.0.19.0 이상부터 적용이 되었고... 그 이하 버전은 개별 어플을 설정해주시는 방법 밖에는 없습니다.. 조금 개선이 된 부분이죠...
권한 중에서 나머지 부분은 차단되어도 딱히 사용에 문제가 없습니다만... 주소록 읽기 권한이나 팝업 허용 부분 때문에 곤란을 겪으시는 분들이 많으시더군요...
이 부분을 살펴보시고.. 비활성화 하시면 일반 안드로이드폰과 마찬가지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이 두 가지 설정 변경으로 일반 안드로이드 폰처럼 사용은 가능합니다만.. 보시다시피 이 두 가지의 설정은 사용자에게 유익했으면 했지 불편한 부분이 아닙니다...
지금 불편하다고 느끼시는 건.. 한 번도 접해보지 못하셨던 부분이기 때문에 그렇게 생각이 되는 것일 뿐이죠... 아마 Sony Xperia나 아이폰을 사용하셨던 분들이라면.. 오히려 상당히 반가웠던 기능이었을 거라고 생각이 됩니다...
일단 당장 사용을 해야 하니 설정을 변경해서 쓰시는 건 어쩔 수 없습니다만... 사용자에게 유익한 기능임에는 분명하니 조금 적응이 되신 후에 직접 이것저것 변경해보면서 설정해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솔직히 이런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바에야.. 그냥 다른 스마트폰을 쓰는게 훨씬 낫죠~ 괜히 불편하게 왜 샤오미 스마트폰을.. MIUI를 쓸까요...!
넥서스를 제외한 모든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이 마찬가지겠지만 제조사 선탑재 어플을 탑재하고 있습니다.. 샤오미 스마트폰들도 마찬가지죠...
사용하지 않는 선탑재 어플은 모두 삭제(또는 비활성화) 하면 좋겠지만.. 현재 상황으로서는 MIUI가 업데이트 되면서 순정어플들이 삭제(또는 비활성화) 되어있으면 벽돌(무한재부팅)되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다만 이는 Xiaomi 순정 어플에만 해당되는 내용이고 선탑재된 어플 중 아래와 같이 파트너(?) 어플들은 모두 삭제 후 사용이 가능합니다..
삭제는 어플 관리자를 통해서 하셔도 됩니다만.. 목록 찾는게 귀찮으니 아래와 같이 런처에서 바로 삭제하시는게 편합니다... 그 이후에 어플관리자에서 삭제 또는 비활성화 가능한 어플들을 정리해주시면 조금 더 편리합니다...
안드로이드 베이스의 MIUI 라서.. 런처나 각 기능별 기본 어플 또한 지정이 가능합니다...
▶ Setting => Install apps => Defaluls로 진입
▶ 진입 후 기본 어플을 본인이 사용하는 어플로 변경 가능..!
제 경우는 제스쳐 기능(Knock off) 때문에 어느 스마트폰이든 보통 노바런처를 사용합니다.. 그 외에 카메라를 제외한 나머지 기능들도 제가 사용하는 어플들로 기본값을 변경 후 사용 중입니다..!
안드로이드 폰의 최대 강점 중의 하나가.. 통화녹음이 가능하다는 거죠...
보통 별도의 어플이 없다면 통화시에 매번 녹음을 실행해야 하고.. 그게 귀찮으면 자동 통화녹음 어플을 사용하게 되는데.. MIUI 7에는 이 통화녹음 기능이 아래와 같이 순정 전화 어플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기능은 없습니다만.. 통화녹음 시 상태바에 표시를 할 것인지.. 그리고 녹음 대상을 전체 통화 또는 특정 번호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녹음 파일은 /MIUI/sourd_recorder/call_rec/ 폴더 아래에 mp3 형태로 저장이 됩니다...
제 경우는 동기화 어플을 이용해서 일주일에 한 번 정도 동기화를 진행하기 때문에.. 현재는 남아있는 녹음파일은 하나 뿐이네요~ ㅋ
샤오미 스마트폰 처음 사용하는 분들이 가장 많이 하는 질문 중에 하나가... 구글 플레이스토어 등에서 와이파이로만 다운로드가 가능하다는 부분입니다... 이건 MIUI의 기본 다운로드 설정이.. 모바일 데이터를 이용하게 되면 다운로드가 1MBytes로 제한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부분입니다..
데이터 요금이 비싼 건 전 세계 어디나 마찬가지니.. 그만큼 조심하자는 거겠죠.. ㅎㅎㅎㅎ
아래와 같이 다운로드 어플의 설정에서 다운로드 최대 용량을 변경해주면 LTE를 이용해서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홈 화면에서 손가락 2개를 중앙으로 모으면.. 아래 스샷과 같이 아래쪽에 위젯/배경화면/홈 전환효과를 변경할 수 있는 메뉴가 나타납니다...
배경화면은 Setting의 Display 메뉴에서도 수정이 가능합니다만... 위젯과 전환효과는 아래와 같이 변경해주시면 됩니다..
MIUI 순정런처에서는 보통 커스텀런처에서 지원하는 홈화면 무한루프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홈화면 순서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홈화면에서 손가락 3개를 중앙으로 모은 후.. 나타나는 화면 배열 창에서 드래그하시면 홈화면 순서를 변경하실 수 있습니다...
MIUI 순정런처의 화면은 5 x 4 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기본 Dock의 아이폰 배치도 홈화면 배치와 마찬가지로 총 4개의 아이콘이 배치되어 있습니다만... 아래 스샷과 같이 1개의 아이콘을 추가 배치할 수 있습니다(아이폰도 마찬가지죠)...
기본 어플을 다른 어플로 교체하기 위해서는.. MIUI는 별도의 어플 서랍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 기존에 배치된 아이콘들을 홈화면으로 옮긴 후 다른 어플을 배치하셔야 합니다...
별도의 어플 서랍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어플들을 정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 방법은 폴더 생성 밖에 없죠....
다른 안드로이드 폰도 마찬가지지만 아래 스샷과 같이 폴더에 넣을 어플을 다른 어플 위로 겹치면 폴더가 생성이 되면서 해당 어플들은 폴더 안으로 옮겨갑니다...
폴더를 클릭 후에 다시 폴더 이름을 클릭하면 폴더명을 원하는 데로 변경할 수 있으며.. 아래쪽의 "Recommeded apps"는 폴더에 생성된 어플들과 유사한 어플들을 보여주는 기능으로 생각은 됩니다만 제 경우는 로딩이 너무 느리더군요.. 그래서 그냥 포기..!
안드로이드의 기본 스샷 버튼은 볼륨(-) + 전원 버튼입니다... 이건 구글의 가이드를 따르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이라면 모두 적용이 된 키조합인데 모르시는 분이 꽤 되시더군요... ㅡ.ㅡ
샤오미 스마트폰에 탑재된 MIUI도 마찬가지 키 조합으로 스샷이 가능한 건 당연하구요... 혹시나 타이밍 맞추기 힘드신 분은 아래와 같이 상태바를 아래로 스와이프 했을 때 나오는 토글버튼 창에 있는 "Screenshot"을 이용하시면 스샷이 가능합니다...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스마트폰을 초기화 해야 할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샤오미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한글화라든지 기타 커스텀롬을 설치할 때 보통 그런 경우가 발생을 하지만... 안드로이드 베이스의 스마트폰은 보통 업그레이드 시에도 공장초기화를 추천하기도 하죠...
안드로이드 계열 스마트폰의 가장 큰 문제 중의 하나가 바로 "백업" 입니다... 순정상태에서는 iOS처럼 영혼까지 백업한다는 건 어려우니까요(가능한 기종도 있긴 합니다)...
MIUI도 백업 기능을 지원하고 있는데... 스마트폰 내부에 백업을 할 수 있는 로컬 백업과 Mi Cloud를 이용한 원격백업(iOS의 향기가 짙어요)이 바로 그것입니다...
Mi Cloud에 백업을 하면 네트워크만 사용가능하다면 어디서나 복원이 가능하다는 장점은 있습니다만..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약 50여개 정도의 어플만 설치하는 제 경우도 그 크기가 약 1기가에 달합니다...! 그러니 아무래도 시간은 좀 더 걸릴테고... 활용도가 높은 로컬백업에 대해서만 설명드립니다...
Mi Cloud를 활용한 백업은 그냥 저장소의 위치만 중국 샤오미 서버로 바뀐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백업은 Setting => Additionanl Setting에서 제일 마지막에 "Backup & Reset" 메뉴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아래 스샷에서 보시다시피 백업 외에 공장초기화 메뉴도 여기에 있다죠~!
Local Backups 아래 쪽에 Auto Backups라고 해서 사용자가 지정하는 시점에 자동으로 백업 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을 하고 있습니다만... 글쎄요.. 이 백업은 내/외부 저장소 공간을 꽤 먹기 때문에 용량 관리 안 해주시면 금방 용량이 바닥나 버리겠죠... 제 생각에는 그냥 초기화 전에 잊지 않고 한 번만 해주시는게 좋지 않을까 생각 됩니다...
아래 스샷과 같이 기존에 백업해둔 내용이 있으면 그 백업 내용과 용량이 나타나고.. 백업은 ①~④순서로 대상 항목을 지정하며 백업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이렇게 백업이 된 파일들은 굳이 그대로 스마트폰에 저장해두실 필요는 없고.. 컴퓨터 등에 옮겨두셨다가 복원할 때 다시 저장위치 그대로 옮겨주신 후에 복원 작업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복구는 당연히 백업의 역순(?)입니다...
저장소 내에 지정된 백업 위치에 백업파일이 존재하면.. 아래 스샷과 같이 백업 목록이 나타납니다... 복원할 목록을 선택하고 스샷과 같이 ①~④ 순서로 진행을 하시면 됩니다... 쉽죠~? ^^
위 백업 방법에는 분명히 "System"과 "Accounts & Contacts" 항목까지 있는데.. 제 백업목록은 왜 Apps만 있을까요..? 그 이유는 아래 챕터에..! ^^
안타깝게도 이 백업은 iOS처럼 영혼까지 백업을 보장하는 건 아닙니다...
백업 항목에 "System"과 "Accounts & Contacts" 항목이 있습니다만.. 해당 항목을 백업하셔봤자 제대로 복원이 되질 않습니다.. 물론 순정런처를 사용하신다면 "System"까지는 백업을 하셔도 좋겠습니다만.. 저는 노바런처를 사용하는지라 해당사항이 없고.. 몇 번 백업 => 복원을 진행해본 적이 있습니다만 제대로 복원이 되질 않더군요...
"Accounts & Contacts" 항목 또한 마찬가지로 백업하셔봤자.. 구글 계정 쪽이 복구가 되질 않으니 별무소용입니다... 그냥 어플만 백업 => 복원 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물론 백업의 의미(?)가 약간 희석됩니다만.. 이 어플 백업은 그 어플이 가지는 세팅값 까지 죄다 복구가 가능하기에 초기화 후 어플 재설치를 했을 때 그만큼의 시간을 벌 수가 있습니다..! 이 정도만 해도 어플 많이 쓰시는 분들에게는 꽤 유용하죠... 대신 Google Play Service라든지 Google Play 같은 구글 기반 어플들은 복원해도 동작하질 않으니 일반 어플들만 백업해두시는게 좋습니다...!
일반 어플에 한해서만은 안드로이드 사용자들이 백업을 위해 루팅 후 사용하는 티타늄 백업 정도의 위력을 보입니다... 제 경우는 노바런처를 사용하니 바로 어플만 백업해서 복원하면 원래 사용환경으로 돌아오는 거죠... 거기다 삼성에서도 백업이 안 된다고 했었던 기어s2 연동 어플에 대한 백업까지 가능하더라구요...!
그리고 이 백업과 복원은.. MIUI 7을 사용하는 스마트폰은 기종과 무관하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저도 홍미노트3에서 백업한 어플을 홍미노트3 프로에 복원을 했고.. 홍미노트2를 사용하다가 홍미노트3 프로로 복원해서 사용한 사례도 있습니다.. 티타늄 백업처럼 어플 데이터는 기종과 무관하게 사용이 가능하다는 거죠...
제한적인 부분이 있습니다만 잘만 활용한다면 초기화 후에 스마트폰 복구시 유용할 걸로 예상이 됩니다..!
샤오미 홍미노트3 프로(SNAP650, 전망통판)과 홍미3는 이전 버전과 다르게 외장메모리를 지원합니다...
그렇지만 많은 분들 아시다시피... 안드로이드는 킷캣 이후로 선탑재 어플을 제외한 3rd Party 어플은 원칙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대신에 롤리팝 이후부터는 외장 쓰기 권한 API를 탑재한 어플들은 어플별 설정을 통해 사용이 가능하니.. 롤리팝 베이스의 홍미노트3 프로도 별반 다르지 않을 거라 생각했습니다...
물론 루팅이 가능하다면 platform.xml 파일 수정으로 외장메모리 쓰기 권한을 열어주는게 가장 편리하겠지만.. 홍미노트3 프로는 아직 루팅도 안 되고 있는 상황이니... 롤리팝 기본 설정법에 기대어 사용하는 방법 밖에는 없습니다...
선탑재 어플 중에서 외장메모리를 주로 사용하게 되는 어플은 카메라 어플과 파일 매니저 어플일 겁니다...
아래 스샷에 보시다시피 카메라는 이전 버전에 없던 외장메모리 관련된 메뉴가 새로 추가되었고.. 저장 또한 잘 되더군요...
파일매니저 또한 경로 변경으로 사용이 가능하지만.. 약간의 버그가 있었습니다...
간단한 작업에는 큰 문제가 없었습니다만.. 테스트 목적으로 MP3 파일 약 2천여개를 내장 => 외장으로 이동해보니 약 500여개 정도의 파일이 사라져 버렸습니다... 그러니 많은 수의 파일을 파일매니저 이용해서 옮기실 때에는 꼭 확인을 해보실 필요가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 외에 선탑재 어플 중에서 외장 메모리를 활용할 수 있는 어플은 없는 걸로 보여지는데... 통화녹음 정도는 외장 메모리로 저장이 되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 부분입니다...
위에서 잠시 언급했듯이 제조사의 선탑재 어플 외에는.. 해당 어플에 외장메모리 관련 API가 탑재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롤리팝이 배포된 지가 벌써 1년이 훌쩍 넘었으니 많은 어플들이 지원을 하고 있구요... 저도 별 무리가 없을 거라 생각했습니다만... 정작 ES파일매니저로 권한을 주려고 해보니 실패.......... ㅠ.ㅜ
이것도 MIUI의 버그인가 궁시렁 거리면서 다른 어플로도 시도를 해봤습니다... FolderSync 어플 역시 실패를 했습니다만 이 녀석은 그래도 왜 외장메모리 권한 설정이 불가능한지 원인을 제시해주더군요...
그렇습니다... 권한 설정에 필요한 DocumentsProvider가 티타늄 백업이나 유사한 어플로 비활성화 되어있답니다...! 뭔지는 잘 모르겠지만 일단 뭔가 얼어(비활성화) 있다니 어플관리자로 들어가봤습니다...
비활성화 된 어플 중에서 DocumentsProvider란 항목은 안 보입니다만.. 왠지 Documents란 항목이 의심스럽습니다.. 더군다나 저건 제가 비활성화 한게 아니란 거죠.. 아무리 건망증이 심해지는 불혹(?)에 들어섰습니다만 아직 저 정도는 기억을 합니다...
어차피 다른 항목도 안 보이니.. 일단 해당하는 Documnets를 활성화 시키고 ES파일매니저에 다시 권한 할당을 해봤습니다...
결과는 성공..!!! 저 Documents란 어플이 FolderSync에서 알려줬던 DocumentsProvider가 맞았나 봅니다...
분명히 저 Documents란 녀석은 제가 비활성화 시킨 기억이 없어서.. 순정으로 유지하고 있는 MTK 버전을 들여다 보니 기본값이 Documents는 비활성화 입니다... 무슨 이유인지는 역시 포럼에다 문의를 해봐야 알 수 있겠죠..? 하지만 Q&A에 관한 영어는 약하니 일단 넘어가는 걸로...! ㅠ.ㅜ
권한 설정을 다시 하고 테스트를 해보니.. ES파일매니저는 기본 파일매니저와 같은 오류(?)는 나타나지 않고.. 나머지 FolderSync어플도 권한 설정 후에는 정상적으로 동작을 합니다...
아닙니다..
MIUI가 명색이 커스텀OS인데 겨우 이거 뿐일 리가 없죠.. 하지만 세부기능들을 전부 다 알기에는 제 능력 부족입니다... ㅎㅎㅎ
MIUI의 경우 개발자 포럼을 통해 사용자의 요구를 가장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커스텀OS 중의 하나 입니다... 이건 겨우 일부분일 뿐이고.. 찾아보시면 더 아기자기한 기능들이 많습니다...
저는 대표적인 편의기능(?)들을 중심으로 알려드린 거고.. 나머지는 직접 한 번 찾아보시는게 어떨른지요..? 메뉴가 조금 번잡하긴 합니다만 적응이 되고 나면 꽤 매력있는 녀석임에는 틀림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