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한 로봇청소기를 만나다
roborock VS iCLEBO
함께하면 즐겁다
무선청소기와 더불어 획기적이며 놀라움이 가득한 제품이 있습니다. 24시간 늘 함께하며 청소하는 시간을 절약해주는 로봇청소기입니다.
최근 출시되는 제품은 스마트 기능이 강화되어 이전 제품에서 볼 수 없는 청소 효율, 기기 관리 등 다양한 기능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제대로 된 로봇청소기 하나 구비해두면 출근 할때, 퇴근 후 집에 돌아올 때 늘 쾌적한 집을 만날 수 있습니다.
오늘 시간엔 로봇청소기 고급형 1대가 좋을까? 아니면 보급형 2대가 좋을까? 라는 주제로 성능 및 청소에 대한 부분을 비교하려고 합니다.
선택한 제품은 성능면에서 남다른 퍼포먼스를 보여주고 있는 샤오미 로봇청소기 로보락 2세대와
가성비에 돋보이는 유진로봇 아이클레보 G5입니다.
로봇청소기 성능비교 : 맵핑
샤오미 로봇청소기 로보락 2세대는 인기있는 고급 라인업이며 LDS센서를 사용하는 제품입니다.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제어가 가능하며 지정영역청소, 원격청소 등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이습니다. 맵핑이 우수하여 정확한 동선과 청소구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LDS센서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 청소하면서 다닌 구간을 실제 집 구조와 거의 일치하게 표현합니다. 이동한 구간을 맵핑하여 정확하게 표현하는 만큼 지정영역 청소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합니다.
하루 동안 로봇청소기가 어떻게 청소했는지 알수 있으며 맵핑 후 특정 영역을 지정할 수 있어 효율적인 청소가 가능합니다.
유진로봇 아이클레보 G5는 가성비를 겸비한 중급라인업 입니다. 자이로센서를 사용하고 있으며 집중청소/반복청소/자유진행/코너청소 등 다양한 청소기능을 지원합니다.
자이로센서를 사용하여 주변 사물을 인식하고 위치측정, 방향측정을 하여 맵핑 후 지그제그로 청소합니다.
어플을 통해 연동하면 맵핑한 모습을 볼 수 있으며 로봇청소기가 어떻게 움직였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LDS센서를 기반으로 한 제품 대비 움직이는 구간이 많다보니 맵핑 후 모습이 다릅니다. 센서를 기반으로 한 차이점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로봇청소기 성능비교 : 집 청소
로봇청소기 1대가 좋을지, 2대가 좋을지 성능 및 활용도를 비교하기 위해 집 청소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청소 구간은 거실 - 주방 - 현관 순으로 지정하였으며 청소상태가 어떤지, 청소 시간은 어떻게 되는지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성비 로봇청소기 유진로봇 아이클레보 G5 2대를 스마트폰과 연동한 다음 거실 베란다 부터 청소를 시작하였습니다.
주변 사물을 파악한 다음 2대가 각자 움직이면서 청소를 시작하는데 1대를 사용했던 느낌과 다르게 움직이는 모습이 인상적입니다.
청소기가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지 아이클레보 어플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맵핑되는 정보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됩니다.
청소면적, 청소시간도 함께 포함되어 있으며 원격으로 청소기 이동방향, 청소모드 등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소파 아랫부분, 주방 의자 밑까지 구석구석 다니면서 구간 청소가 진행됩니다. 1대가 아닌 2대가 함께 움직이다보니 보다 넓은 범위를 커버할 수 있다는 점이 눈에 띕니다.
자이로센서, 장애물인식센서로 주변 사물과 장애물을 빠르게 파악하면서 이동할 방향을 새롭게 정하는 부분도 마음에 듭니다.
모서리 부분이라든지 협소한 공간에서 유연하게 방향전환하면서 청소하는 모습이 인상적입니다. 무선청소기로 직접 청소하는 것과 비교해도 손색없을 정도로 넓은 부분을 커버합니다.
LDS센서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 샤오미 로봇청소기 로보락 2세대 1대를 가지고 집 청소를 진행하였습니다. 가성비가 좋은 고급형 제품이다보니 주변 사물을 빠르게 인식하여 구간 구간마다 집중청소하는 모습이 눈에 띕니다.
샤오미 Mi Home 어플과 연동하면 실시간 위치정보와 맵핑된 구간에 대한 모습을 실시간을 볼 숫 있습니다. 맵핑된 정보를 보면 집 구조와 거의 일치되는 모습이며 정확도가 높습니다.
어플을 통해 청소모드, 청소구간 등 다양한 부분을 설정할 수 있어 청소 효율성을 높여줍니다.
소파 하단부, 주방 의자 밑 등 협소한 공간과 모서리 부분을 자유롭게 다니면서 청소가 진행됩니다. 세대가 거듭될수록 제품 성능이 향상되는 만큼 효율적인 청소가 이뤄집니다.
▲ (좌) 아이클레보 G5 화이트 (우) 아이클레보 G5 블랙
▲ 샤오미 로봇청소기 로보락 2세대
거실 - 주방 - 현관 순으로 청소를 끝낸 후 어플을 통해 맵핑된 모습과 청소된 구격, 시간을 확인해봅니다.
같은 청소구격을 했는데 샤오미 로봇청소기 로보락 2세대의 청소시간이 더 짧습니다. 유진로봇 아이클레보 G5의 경우 21분이 소요되었지만 샤오미의 경우 19분 소요되었습니다.
단, 아이클레보 G5의 경우 청소기 2대가 움직이는 만큼 보다 다양한 방향으로 청소가 진행되는 점을 맵핑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로봇청소기 성능비교 : 집 청소후기
기본적으로 장애물 인시센서의 반응이 우수한만큼 장애물이 확인되면 빠르게 방향 전환 또는 위치를 잡습니다.
동선이 겹치지 않고 각각 자신의 동선대로 움직이다보니 효율적인 청소가 이뤄집니다. 넓은 범위를 효율적으로 청소하고 싶은 분들에겐 로봇청소기 2대 운영이 괜찮다고 생각됩니다.
넓은 부분을 효율적으로 청소한다는 점을 좋은데 기대하는 것과 다르게 아쉬운 부분이 눈에 띕니다.
소파 하단부를 청소하는데 같은 구간을 2-3회 다녔지만 바닥에 있는 먼지가 그대로 있습니다. 전반적인 청소가 이뤄지긴 하나 특정 부분이 커버되지 않는 모습이 보입니다.
현관 부분은 괜찮았지만 거실에 있는 화장실 부분에서 생각지도 못한 장애가 발생합니다. 어느 정도 문턱이 있어 문턱을 넘어가지 않는데 청소하다가 1대가 문턱을 넘었습니다.
자연스레 장애가 발생하였으며 거실 화장실 주변 청소를 다시 하는 일이 생겼습니다.
바닥에 있는 먼지를 제거 하지 않는 상태에서 샤오미 로봇청소기 로보락 2세대를 동작했습니다. 거실 구석구석 이동하면서 청소하는데 기존에 있던 먼지도 깔끔하게 청소합니다.
지그제그 방식이 아닌 LDS센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움직이면서 청소하다보니 청소상태가 만족스럽습니다.
기본적인 장애물 인식도 뛰어나서 집안 구석구석 잘 다니는 건 물론 문제가 되었던 거실 화장실 문턱에서도 빠르게 인지하고 방향을 전환합니다.
청소 상태라든지 움직임이라든지 샤오미 로봇청소기 로보락 2세대가 기대 이상으로 만족스러운 모습을 보여줍니다.
로봇청소기 성능비교 : 좁은 구역 청소
제한된 구역에 로봇청소기를 둔 다음 청소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테스트 하였습니다. 모서리 및 협소한 공간이 있는 곳에 배치하였습니다.
장애물을 빠르게 인식한다음 자신이 이동할 경로를 찾아가고 협소한 공간에서도 부드러운 방향 전환을 보여줍니다.
청소 영상을 보시면 2대의 제품이 지그제그로 움직이면서 주변을 빠르게 청소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 모서리 구간 청소 전
▲ 모서리 구간 청소 후
1대가 아닌 2대가 왔다갔다하면서 이동하는 만큼 구석에 있는 이물질도 깨끗하게 청소합니다. 사진처럼 로봇청소기가 지나간 자리엔 이물질이 남아있지 않습니다.
샤오미 로봇청소기 로보락 2세대로 동일한 조건에서 청소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좁은 구간에서도 빠르게 장애물을 인지하고 움직이는 건 물론 협소한 공간에서도 부드러운 방향 전환을 보여줍니다.
영상을 보시면 센서를 통해 사물 파악 후 자신이 이동할 자리를 찾아가는 모습이 눈에 띕니다. 이동경로가 복잡하지 않고 최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넓은 공간 못지 않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 모서리 구간 청소 전
▲ 모서리 구간 청소 후
모서리 구간 청소 상태를 보면 구석구석에 있는 이물질을 깨끗하게 청소합니다. 사진을 보시면 전/후 모습이 확실히 차이가 나며 기본적인 청소능력이 뛰어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좌) 유진로봇 아이클레보 G5 (우) 샤오미 로보락 2세대
특정 구간 청소 맵핑상태를 보면 유진로봇 아이클레보 G5, 샤오미 로보락 2세대 모두 동일한 맵핑을 보여줍니다.
청소시간은 2대를 운영한 아이클레보 G5가 1분 정도 더 빨랐습니다. 이동 경로를 보면 두 제품 모두 비슷하게 나왔으며 좁은 구간에선 1대보다는 2대로 하는것이 더 빠르다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로봇청소기 성능비교 : 결론
가성비가 좋은 비LDS센서 보급형 로봇청소기 2대와 약 50만원 가량의 LDS센서 로봇청소기 1대를 비교해본 결과, LDS센서를 사용한 로봇청소기 1대를 쓰는 것이 좀 더 효율적입니다.
이동 동선도 겹치지 않으며 LDS센서로 정교하게 맵핑하여 빠트리는 곳 없이 집중하여 청소하기 때문에 청소 전/후 상태가 눈에 띌 정도로 차이가 났습니다.
그에 비해 LDS센서가 없는 로봇청소기는 2대를 사용하더라도 집 전체로 보면 청소기가 닿지 않는 구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것 같습니다.
다만 집이 매우 넓어서 로보청소기 한대로는 한번에 청소가 안되고 충전을 여러번 해야하는 경우에는 구역을 겹치지 않도록 나눠서 2대를 운영하는 것이 속도와 편의성 면에서 나을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그래도 2대 중 최소 1대는 LDS센서 로봇청소기가 있는 것이 좋겠습니다.
▶ 결론
- 40평 이상 넓은 집 = LDS센서 로봇청소기 1대 + @
- 20 ~ 30평대 집 = LDS센서 로봇청소기 1대
- 원룸 등 구조가 단순한 곳 = 비LDS센서 로봇청소기 1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