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무한으로 즐겨요~ 잉크젯 프린터 [차트뉴스]

다나와
2025.04.17. 10:55:46
조회 수
2,644
46
댓글 수
14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프린터 시장은 오랜 기간 레이저와 잉크젯이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형성돼 왔다. 레이저 프린터는 빠른 출력 속도와 선명한 문서 품질을 무기로 사무 환경에서 강세를 보여왔고, 잉크젯 프린터는 비교저렴한 초기 비용 덕분에 가정용 프린로 자리 잡았다. 최근에는 린터 제조사들이 무한잉크 시스템을 탑재한 ' 터'( )를 앞다투어 출시하며, 시장에 새로운 변화의 바람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무한 프린터는 잉크 카트리지를 교체할 필요 없이 대용량 잉크 충전으로 장시간 출력이 가능해 유지비 부담을 크게 줄이며, 레이저와 잉크젯 양쪽 수요를 모두 수할 것으로 기대된. 이번 기사에서는 프린터 시장의 소비 트렌드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다나와 구매 통계 데이터를 활용한 다나와 리서치 데이터를 통해 짚어본다.



지난 4년간의 레이저와 잉크젯 프린터의 판매량을 살펴보면 누적된 하락세의 여파에서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한 . 2024 로 살펴보면, 2021년 대비  는 37%, 잉크젯 프린터 39% 소했으며, 2022   두 36% 감소, 2023   19%, 11% 감소로 하락폭이 다소 줄어드는 추세를 보였다.


최근 1년간의 판매량 추이를 따로 떼어 보면 분위기가 다르다. 2024년 4월부터 2025년 3월까지의 데이터를 살펴보면 를 보이고 있다. 특히 연말 특수와 신학기 수요가 반영된 12월과 3월에 판매량이 눈에 띄게 증가하면서, 침체됐던 프린터 시장에 다시 활기가 돌고 있는 모습이다.



레이저 프린터

토너(가루 형태의 잉크)를 정전기로 인쇄하는 방식


- 빠른 출력 속도선명한 글자 품질, 문서 인쇄에 특화, 사무용 환경에서 널리 사용됨

- 흑백 프린터는 유지비가 낮고 효율적, 러 프린터는 가격과 소모품 비용이 높다

- 잉크 번짐이 없어 보고서, 계약서 등 중요 문서 출력에 적합

- 초기 구입 비용이 다소 높고, 크기가 크거나 소음이 있는 모델도 있음


잉크젯 프린터

컬러별로 잉크 카트리지를 직접 탈착·교체하는 방식



- 초기 구매 비용이 비교적 저렴하고, 구조가 간단해 가정용으로 널리 사용됨

- 카트리지 가격이 높고, 교체 주기가 짧아 장기적으로는 유지비 부담이 큼

- 일부 모델은 정품 카트리지 외에 호환 제품 사용 시 출력 품질이나 고장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무한 프린터

잉크 탱크에 직접 잉크를 주입하는 방식 ( 터의 한 종류)


- 잉크 리필 비용이 낮아 장기적인 인쇄 비용이 매우 경제적

- 가정용뿐 아니라 사무용, 학원 등 출력량이 많은 환경에서 선호됨

- 격은 일반 잉크젯 프린터 대비 다소 높지만, 유지비 면에서 장점이 커 사용할수록 비용 절감




잉크젯 프린터 시장은 무한 프린터의 성장세에 힘입어 살아나는 추세다. 2024년 4월부터 2025년 3월까지 1년간 집계된 데이터에 따르면, 판매량 중 무한 프린터가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해 2025년 1월에는 최고치인 91.9%를 기록했다. 특히 신학기 수요가 몰리3월과 9월, 그리고 연말 특수 시즌인 12월에 무한 프린터의 점유율이 크게 상승하며, 전체 잉크젯 시장을 견인하는 핵심 제군으로 자리잡았다.


무한 프린터는 잉크 카트리지 방식에 비해 유지비가 낮고, 대량 출력에 적합한 구조로 실용성과 경제성을 갖춘 것이 강점이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소비자의 선택이 집중되며, 잉크젯 프린터 시장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전통적으로 프린터 선택 시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출력 속도가 있다. 프린터의 출력 속도는 일반적으로 ppm(Page per minute) 혹은 ipm(Image per minute) 단위로 표시되며, 각각은 분당 인쇄 페이지 수와 이미지 수를 의미한다.


다나와 리서치에 따르면, 최근 1년간 판매된 무한 프린터의 출력 속도별 비중을 보면 컬러 출력 속도는 11~20ipm 구간이 37%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21~30ipm 제품이 35%를 기록하며 중속 영역 제품이 주류를 형성했다. 반면 10ipm 이하의 저속 모델은 26%, 31~40ipm 고속 제품은 2%에 불과해 선택이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흑백 출력 속도에서는 중간 속도대의 선호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21~30ipm 제품이 절반 이상인 50%의 점유율을 기록했고, 31~40ipm은 21%, 10ipm 이하 모델은 16%로 뒤를 이었다. 가장 높은 속도 구간인 41~50ipm 제품은 4%에 그쳤다. 들은  , 한 출력 속도와 합리적인 가격의 균형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무한 프린터를 선택하는 소비자들은 단순한 인쇄 기능 외에도 모바일 및 무선 연결 기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와 리서치에 따르면, 최근 1년간 판매된 무한 프린터 중 모바일 프린팅 기능을 지원하는 제품의 비중은 59%로 가장 높았으며, 이메일 프린팅 36%, 클라우드 프린팅 17%, 에어 프린팅 15% 순으로 나타났다.


연결 방식에서도 무선 연결이 주류로 자리잡는 추세다. 모든 제품이 유선 USB 연결을 기본으로 제공하는 가운데, 무선 Wi-Fi 연결 기능을 지원하는 제품 비중은 60%, 유선 LAN(RJ-45)은 17%에 그쳤다. 무한 프린터는 잉크공급의 활함과 함께  스마트 오피스 및 홈 춘 디바이스로 진화하고 있다. 



다나와 리서치에 따르면, 지난 1년간 판매된 무한 프린터 가운데 엡손이 59%의 점유율로 시장을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2위는 캐논으로 40%를 기록했으며, 이 두 브랜드가 전체 시장의 99%를 차지하며 사실상 양강 체제를 형성하고 있다. 반면 브라더는 1%에 그치며 국내 시장에서는 존재감이 미미한 수준이다.


엡손은 비교적 이른 시기에 무한잉크 시스템을 상용화한 브랜드로, 대용량 잉크 탱크와 안정적인 인쇄 품질을 기반으로 가정용부터 사무용까지 다양한 제품군을 선보이고 있다. 반면 캐논은 디자인, 편의성,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빠르게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으며, 실속형 수요층을 중심으로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무한 프린터 시장이 확대되면서 브랜드별 인기 모델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Epson

external_image

Epson EcoTank Photo 정품 무한 L18050 (무한잉크) (526,100)


1위 점유율(59%)을 기록한 Epson은 다양한 가격대의 제품을 고루 포진시키며 사용자 선택 폭을 넓혔다. EcoTank Photo L8050 (383,360)와 L18050 (526,100)은 컬러·흑백 모두 8ipm 출력 속도를 지원하며, 고급 포토 인쇄 수요를 겨냥한 제품이다. L1210 (151,980)은 입문형 제품으로 가격 대비 성능을 갖춰 꾸준한 판매량을 기록 중이다.


Canon

external_image

Canon PIXMA 정품 무한 G5090 (무한잉크) (267,000)


시장 점유율 40%를 기록한 Canon은 10만 원대부터 20만 원대까지 다양한 무한잉크 라인업을 갖추고 있다. PIXMA G1930 (159,000)은 흑백 최대 11ipm 속도에 10만 원대 가격으로 실속형 구매자에게 적합하다. PIXMA G5090 (267,000)은 흑백 13ipm까지 지원하면서 20만 원대 가격에 사무용으로도 활용 가능하다. G1910 (139,000) 역시 10만 원대 제품으로, 간단한 문서 중심 사용자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Brother

external_image

Brother 정품 무한 HL-T4000DW (무한잉크) 669,300


비중은 1%로 적지만, Brother HL-T4000DW (669,300)는 컬러 20ipm, 흑백 22ipm의 빠른 출력 속도와 대형 용지 지원이 강점이다. 가격대는 60만 원대로 가장 높은 편이지만, 대량 출력이나 고급 사무 환경에 적합한 전문 제품으로 분류된다.





기획, 편집, 글 / 다나와 홍석표 hongdev@cowave.kr

(c) 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www.danawa.com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저작권 안내
크리에이트 커먼즈 저작자 표시 필수 상업성 이용 불가 컨텐츠 변경 불가
저작권 안내
저작권 표시 필수
상업성 이용 불가
컨텐츠 변경 불가
* 본 내용은 위의 조건을 충족할 시, 별도의 허가 없이 사용이 가능합니다.
최신 차트뉴스 전체 둘러보기
1/1
무한으로 즐겨요~ 잉크젯 프린터 [차트뉴스] (14) 다나와
유선 이어폰 붐이 다시 올 수 있을까? [차트뉴스] (22) 다나와
고프로 액션캠의 황혼기, DJI가 왕위를 계승할 것인가? [차트뉴스] (8) 다나와
2025년 공기청정기 트렌드 키워드는? 스마트, 대형, LG!!! [차트뉴스] (14) 다나와
오픈형인데 노캔까지? 계속 진화 중인 무선 이어폰 [차트뉴스] (10) 다나와
화려한 LED 쿨링팬, 케이블 걱정 없이 조용해지고 있다 [차트뉴스] (9) 다나와
메인보드에 Wi-Fi 기능은 이제 기본 옵션이죠~[차트뉴스] (16) 다나와
치열한 M.2 SSD 시장, 삼성은 내려가고 WD가 뜨는 중! [차트뉴스] (18) 다나와
독보적 색상 표현, OLED TV의 붐은 온다! [차트뉴스] (9) 다나와
인텔 ARC로 재평가받는 노트북의 내장 그래픽 칩셋 [차트뉴스] (9) 다나와
애플은 가성비가 별로라고? 맥북 에어는 다르다! [차트뉴스] (5) 다나와
IP카메라 인기는 24시간 연중무휴! [차트뉴스] (2) 다나와
"쨍하고 해뜰날 돌아온단다~" 대중화의 길 열리는 OLED 모니터 [차트뉴스] (70) 다나와
마우스가 점점 가벼워져요~ 유선일까요? 무선일까요? [차트뉴스] (20) 다나와
올해 라데온 그래픽카드, 뭔가 심상치가 않다?[차트뉴스] (31) 다나와
한 번 쓰면 빠져든다! 복합형 오븐의 세계 [차트뉴스] (19) 다나와
빨래를 안 해도 빨래한 것처럼, 필수 가전의 자리를 노리는 의류관리기 [차트뉴스] (14) 다나와
연초에 사야 지원금 받는다? 음식물 처리기 선택기준 알아보기 [차트뉴스] (14) 다나와
노트북 받침대, 노트북과 건강을 모두 지켜줍니다 [차트뉴스] (15) 다나와
물만 나오는 게 아니라 요즘 직수형 정수기는 이것까지 해줘요! [차트뉴스] (22) 다나와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