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PC만큼 전문화되는 시장! 로봇청소기 [차트뉴스]

다나와
2022.02.22. 14:18:03
조회 수
6,877
54
댓글 수
107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기기 시장에서 ‘전문’이라는 명사는 의료기기나 공장기기처럼 특정 산업 분야에 특화된 기계에만 붙일 수 있는 단어였다. 그러나 가전시장이 세분화되며 냉장고, 청소기, 의류관리기처럼 일상에서 흔히 쓰이는 가전에도 ‘전문’이라는 명사가 허락되었다. 대표적인 것이 청소기인데 단순히 크기와 형태를 기준으로 분류해도 차량용, 책상용, 가정용, 사무실용 등으로 전문 영역이 다양하게 나뉜다.


▲ 로봇청소기 이모님도 이제 프로페셔널하게 진화했다 (출처: LG전자)


오늘 차트뉴스에서 살펴볼 청소기는 그중에서도 가사 부담을 크게 줄여주는 로봇청소기이다. 과거 로봇청소기는 단순히 이동하며 바닥 이물질을 제거하는 용도가 대부분이었지만 지금은 물걸레 전용, 흡입 전용 등으로 활용 분야가 세분화되었다. 이중 소비자가 가장 많이 선택한 전용 로봇청소기는 무엇이며, 올해는 어떤 청소기가 사랑받을 전망인지 소비형태통계시스템 다나와리서치를 통해 알아보자.


 


코로나19 시작과 함께 변동이 일어난 로봇청소기 시장


▲ 2020년을 기점으로 조금씩 성장 중인 로봇청소기 시장


2019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다나와에서 판매된 로봇청소기 판매량을 차트로 그려본 결과, 코로나19 발생 후 로봇청소기 시장에도 작은 변동이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코로나19 펜데믹이 시작된 2020년 로봇청소기 판매량은 2019년 대비 17% 증가했다. 2021년의 경우 전년도 대비 판매량이 소폭 감소하기는 했으나 코로나19 전인 2019년과 비교하면 여전히 상승세다. 이는 코로나19 사태 후 집콕 시간이 길어지면서 실내 위생 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된 것이 큰 요인으로 보인다. 또한 1인 가구 증가와 함께 가사 노동 시간을 줄여보려는 소비자 니즈도 로봇청소기 시장 성장세를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가장 많이 선호되는 용도는? 흡입+걸레 겸용


▲ 흡입+걸레 겸용 제품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로봇청소기는 용도에 따라 흡입 전용, 흡입+걸레 겸용, 걸레 전용 제품으로 분류된다. 지난 1년간 집계된 로봇청소기 용도별 판매 점유율을 살펴보면 흡입+걸레 겸용 제품이 68% 높은 점유율을 보였고, 그 외 흡입, 걸레질을 전용으로 하는 제품들이 비슷한 점유율을 차지했다.


▲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흡입+걸레 겸용 로보락 S7 Plus(939,000)

흡입 전용 삼성전자 비스포크 제트 봇 VR30T85513(573,530)걸레 전용 에브리봇 쓰리스핀 TS300(279,000)


‘흡입+걸레 겸용’ 제품은 로봇청소기 바닥 앞부분에 흡입용 청소기, 뒷부분에 진동식 걸레가 부착돼 있어 흡입 청소와 걸레질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청소기다. 이로써 청소 시간을 단축하고 효율적인 청소가 가능해 가정집에서 선호도가 가장 높다. 


한편 흡입만 가능한 로봇청소기와 걸레질 전용 제품은 흡입+걸레 겸용 제품보다 가격이 저렴하고, 특정 청소 방식에 특화돼 보다 좋은 청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기능이 제한적이고 활용도가 떨어져 흡입+걸레 겸용보다 훨씬 낮은 점유율을 보였다.

 



로봇청소기에서 가장 중요한 센서는? LDS 센서와 추락방지센서


▲ 전체 센서 중에서는 추락방지센서가, 맵핑 센서 중에서는 LDS 센서 인기가 높았다


로봇청소기는 청소 공간을 인식하고 스스로 이동하기 위해 다양한 센서를 활용한다. 로봇청소기에 탑재된 센서는 크게 공간을 그리는 맵핑 센서(LDS센서, ToF센서, 자이로센서)와 주요 기능 센서(추락방지센서, 장애물 인식센서, 범핑센서)로 분류되는데 각 센서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한 것은 LDS센서와 추락방지센서다. 


▲ LDS 로봇청소기인 에코백스 디봇 오즈모 950(950,000)의 맵핑 실력


먼저 맵핑 센서 중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인 LDS 센서는 레이저로 거리를 측정해 공간 정보를 파악하기 때문에 공간 설계가 정교한 편이며, 청소 전 미리 지도를 그리고 움직여서 청소 시간이 빠르다. 다른 맵핑 센서 제품보다 가격이 비싼 편이지만 맵핑이 정확하고 효율적인 청소가 가능해 인기가 많다. 현재 시판 중인 흡입 혹은 흡입+걸레 겸용 로봇청소기 대부분이 LDS 센서를 탑재했을 정도로 대세다.


▲ 자이로 센서를 탑재한 유진로봇 아이클레보 G5(299,000) 맵핑 실력


그 뒤를 이은 맵핑 센서로는 ToF센서와 자이로 센서가 있는데, ToF센서는 피사체에 보낸 빛이 반사돼 돌아오는 시간을 바탕으로 주변 공간을 계산해 지도를 설계한다. 마지막으로 자이로 센서는 로봇청소기가 출발 지점에서부터 어느 방향으로 얼마나 움직였는지를 계산해 공간을 기억하는 방식을 사용하는데, 가격이 저렴하지만 LDS센서보다 정교함이 떨어져 선호도가 낮다.



한편 주요 기능 센서는 추락방지 센서와 장애물 인식센서, 범핑 센서 순으로 선호도가 높았다. 추락 방지 센서는 적외선 신호를 통해 바닥과의 거리를 측정하는데, 이 센서를 통해 로봇청소기가 절벽에 도달했다고 판단하면 방향을 바꾼다. 


▲ 원더스리빙 다이나킹 R9(239,000) 추락방지센서 작동 중


▲ 아이로봇 브라바 390T(269,000) 장애물 회피 실력


두 번째 판매 점유율을 획득한 장애물 인식 센서는 주행 중 장애물을 만났을 때 로봇청소기가 대상을 피해 다른 곳으로 이동할 수 있게 도우며, 범핑 센서는 청소 중 장애물을 만나면 속도를 줄여 부딪힘으로 인한 충격을 줄여준다. 현재 시판 중인 로봇청소기 대부분이 추락방지 센서와 장애물 인식 센서를 탑재했을 정도로 기본인 센서들이다.


 


로봇청소기도 이제는 싸이클론


▲ 싸이클론 방식을 탑재한 최신 로봇청소기


싸이클론 방식은 원심력으로 먼지와 공기를 분리한 다음 별도의 먼지통에 남기고 깨끗한 공기만 배출하는 기능이다. 부품 사이에 먼지가 쌓이지 않아 강한 흡입력을 오래 유지할 수 있어 청소기 시장의 핵심 기술로 빠르게 안착했다. 이는 로봇청소기도 예외가 아니었다. 과거에는 단순 진공 방식으로 흡입한 제품이 많았으나 최근에는 싸이클론 방식을 적용해 강하고 빠른 흡입력으로 먼지나 머리카락 등을 말끔하게 제거할 수 있다. 특히 로봇청소기로는 청소가 어렵다고 여겨지던 카펫 속 먼지 제거까지 가능해 선호도가 매우 높다.


▲ 판매 점유율을 살펴봐도 싸이클론이 대세다


지난 1년(2021년 2월~2-2022년 1월)간 다나와에서 판매된 로봇청소기 중 싸이클론을 탑재한 로봇청소기 판매 점유율은 53%로 시장의 과반 이상을 차지했으며, LG전자가 독자 개발한 2중 터보 싸이클론 제품이 판매 점유율 30%를, 싸이클론 집진장치가 다중 배열된 멀티 싸이클론 제품이 판매 점유율 17%를 차지했다.

 

 


1회 충전 시 1시간 40분 이상 작동하는 제품이 좋아


로봇청소기는 자동으로 동작하는 제품인 만큼 사용시간이 길수록 좋다. 보통 30평 공간을 기준으로 로봇청소기 한 대가 작동하는 시간은 1시간~1시간 30분 정도인데, 작동 시간이 짧으면 청소 중 동작을 멈추고 충전 스테이션으로 돌아와 ‘충전했다, 청소했다’를 반복하기 때문에 청소 시간도 오래 걸리는 데다가 청소 또한 깔끔하지 못하다. 더욱이 자동 충전 가능한 충전 스테이션이 없으면? 다시 말해 수동으로 충전하는 제품의 경우에는 그마저도 불가능해 청소가 덜 끝난 집을 보게 될 수 있다.


▲ 로봇청소기는 최소 1시간 40분 이상 작동하는 제품을 사용하는 게 좋다


이에 로봇 청소기는 한 번 충전으로 최소 1시간 30분 이상 쓸 수 있는 제품이 좋은데, 다나와리서치를 통해 살펴본 ‘로봇청소기 사용시간별 판매 점유율’에서도 1시간 40분 정도 사용 가능한 제품 판매율이 가장 높았으며, 3시간 이상 쓸 수 있는 대용량 배터리 제품도 판매 점유율 46%를 차지할 만큼 인기가 좋았다. 

 


문턱 등반, 원격 예약, 자동 충전 가능한 제품이 인기


로봇청소기는 작동 방식과 센서, 작동 시간도 중요하지만 사용 편의성을 높여줄 부가 기능도 눈여겨봐야 한다. 로봇청소기 자체가 가사노동을 덜기 위해 개발된 제품인데 기능이 받쳐주지 않으면 수동으로 쓰는 청소기와 별반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 각 기능별 문턱 등반, 원격 예약, 자동충전이 가장 선호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먼저 로봇청소기 주요 기능별 판매 점유율을 살펴보면 문턱등반(32%)과 바닥감지(28%) 기능을 보유한 제품 판매량이 특히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 원더스리빙 다이나킹 R9(239,000) 문턱 넘기 실력


문턱등반은 말 그대로 낮은 문턱을 무리 없이 넘어갈 수 있는 기능을 뜻하는데, 문턱이 낮거나 아예 없는 집들도 많지만 문턱이 높은 구축 주택이나 소음방지 매트 등이 있는 가정에선 여전히 유용하게 쓰이는 기능이다. 그 뒤를 이은  바닥 감지는 마룻바닥이나 카펫 같은 바닥 재질을 감지해 흡입력을 자동 조절하는 기능이다. 


▲ 스마트폰을 이용해 청소 예약도 가능하다


최근에는 맵핑 기능과 연계해 휴대폰 앱으로 조작할 수 있는 제품들이 많은데, 그 중 APP을 통해 청소 시행 시간을 예약하는 원격예약 기능이나, 청소 금지구역을 설정할 수 있는 금지 구역 설정 기능을 가진 제품들 판매 점유율이 각각 25%, 24%로 높았다.


▲ 배터리가 일정량 이하로 떨어지면 제자리로 돌아가 충전하는 자동 충전 기능


기타 부가 기능에서는 배터리가 부족하면 알아서 제자리로 돌아가 충전하는 자동충전(36%) 기능과 음성 안내(18%) 기능이 탑재된 제품 선호도가 높았다. 


▲ 로보락 T7 Plus(947,000)의 자동 먼지 비움 기능


한편 로봇청소기 부가기능별 판매 점유율 4위를 차지한 자동먼지비움의 경우 지난해부터 주목받기 시작한 기능인데, 로봇청소기 먼지통이 가득 차면 ‘삼성스테이션’처럼 별도의 먼지비움 시스템을 통해 먼지통을 비워내기 때문에 사용자가 수시로 로봇청소기 상태를 관리할 필요가 없어서 최근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로봇청소기 전체 시장에서는 샤오미, 로보락, LG전자가 인기


로봇청소기 제조사는 삼성전자, LG전자 같은 대형 제조사부터 중소 제조사인 에브리봇, 원더스리빙 그리고 해외 제조사인 샤오미, 에코벡스, 로보락 등으로 다양하다. 특히 로봇청소기의 경우 용도별 제조사 점유율 차이가 크기 때문에 작동 방식별로 제조사를 분류해 보는 것이 더욱 정확하다.


▲ 작동 방식별 제조사 점유율이 다른 로봇청소기 시장


먼저 로봇청소기 제조사별 전체 판매량을 살펴봤을 때 가성비로 유명한 샤오미가 18%로 가장 높은 점유율을 기록했고, 샤오미의 생태 협업 제조사인 청소기 전문 제조업체 로보락, 그리고 우리나라 제조사인 LG전자가 17% 점유율로 뒤를 이었다. 3위는 대한민국 전자제품 제조기업 삼성전자로 10% 점유율을 기록했고, 4위에는 압도적인 가성비로 주목 받고 있는 중국 로봇청소기 제조업체 에코벡스(6%)로 집계되었다. 


흡입 전용 로봇청소기 제조사별 점유율로 살펴봤을 때는 삼성전자가 55%로 강세였으며, LG전자가 32%로 뒤를 이었다. 흡입+걸레 겸용 제품의 경우에는 로보락(25%), 샤오미(24%), 에코벡스(9%) 순으로 집계됐고, 걸레 전용 제품 판매 점유율은 LG전자가 50%로 과반을 점유했으며 에브리봇이(43%) 후순위를 차지했다. 

 



1년간 가장 많이 판매된 로봇청소기는? 로보락 S6 MaxV


▲ 1년간 다나와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 로봇청소기


1년간 다나와 로봇청소기 전체 카테고리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 제품 1위는 로보락 S6 MaxV(812,180)다. 흡입+걸레겸용 제품이며, LDS센서, 장애물인식센서, 추락방지센서, 범핌 센서를 탑재했고, 카메라2개를 내장해 장애물 인식률을 높였다 . 



완충 시 사용 시간은 최대 3시간이고, 휴대폰 연동을 통해 금지구역 설정, 원격예약, 원격청소, 다층맵핑 설정이 가능하다. 그 외 바닥감지, 문턱등반, 자동충전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청소가 완료되었거나 충전 시, 배터리 점검이 필요할 때마다 음성으로 안내한다.




두 번째 판매 순위에 오른 제품은 샤오미 드리미 F9(157,500)이다. 흡입+걸레 겸용 제품으로 장애물인식센서와 추락방지 센서를 탑재했으며 완충 시 최대 2시간 30분까지 사용이 가능하다. 스마트폰 연동을 통해 원격예약, 원격청소, 이동동선 확인, 스마트맵핑을 할 수 있고, 문턱등반, 자동충전 기능과 더불어 자동으로 전압을 변경하는 프리볼트 기능이 내장돼 있다. 



세 번째 제품은 에코백스 디봇 오즈모 T9(689,000)이며 역시 흡입+걸레 겸용 제품이다. ToF센서와 장애물인식센서, 추락방지센서를 탑재했으며 완충 시 최대 사용 시간은 3시간이다. 스마트폰 연동을 통해 금지구역, 원격 예약 설정이 가능하고, 바닥감지, 자동충전에 자동 먼지비움까지 할 수 있다.


네 번째 순위에 오른 제품은 LG전자 코드제로 ThinQ M9 M970(596,570)이다. 걸레 전용 제품으로 상/하 2개 카메라와 ToF센서를 장착해 더욱 정교한 맵핑이 가능하고 장애물인식센서, 범핑센서 등이 있어 청소 중 부딪침을 최소화했다. 완충 시 사용 시간은 1시간 40분이며,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금지구역, 원격청소 설정이 가능하다. 그 외 주행 중 걸레 교체 시 정지 버튼을 눌러 멈추더라도 기존 청소 영역을 기억해 재청소를 하지 않는 자기위치 메모리 기능을 갖췄다.


다섯 번째 인기 제품은 삼성전자 비스포크 제트 봇 AI VR50T95935( 1,156,930)다. 지난 1년간 다나와에서 판매된 흡입 전용 로봇청소기 중 판매량이 제일 높다. LDS센서를 통해 정교한 맵핑을 자랑하며, 바닥감지 센서와 추락방지 센서를 탑재해 안전한 주행을 보장한다. 이뿐만 아니라 금지구역 설정과 원격 예약이 가능한 스마트폰 연동, 기존 청정스테이션 기능을 접목한 자동 먼지 비움 시스템이 적용돼 로봇청소기 먼지통을 직접 비우는 수고를 덜었다. 비스포크 특유의 세련된 디자인은 덤이다.



기획, 편집 / 다나와 오미정 sagajimomo@danawa.com

글 / 최미선 news@danawa.com

(c)가격비교를 넘어 가치쇼핑으로, 다나와(www.danawa.com)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저작권 안내
크리에이트 커먼즈 저작자 표시 필수 상업성 이용 불가 컨텐츠 변경 불가
저작권 안내
저작권 표시 필수
상업성 이용 불가
컨텐츠 변경 불가
* 본 내용은 위의 조건을 충족할 시, 별도의 허가 없이 사용이 가능합니다.

관련 상품

1/1
최신 차트뉴스 전체 둘러보기
1/1
메인보드에 Wi-Fi 기능은 이제 기본 옵션이죠~[차트뉴스] (8) 다나와
치열한 M.2 SSD 시장, 삼성은 내려가고 WD가 뜨는 중! [차트뉴스] (16) 다나와
독보적 색상 표현, OLED TV의 붐은 온다! [차트뉴스] (8) 다나와
인텔 ARC로 재평가받는 노트북의 내장 그래픽 칩셋 [차트뉴스] (7) 다나와
애플은 가성비가 별로라고? 맥북 에어는 다르다! [차트뉴스] (5) 다나와
IP카메라 인기는 24시간 연중무휴! [차트뉴스] (2) 다나와
"쨍하고 해뜰날 돌아온단다~" 대중화의 길 열리는 OLED 모니터 [차트뉴스] (70) 다나와
마우스가 점점 가벼워져요~ 유선일까요? 무선일까요? [차트뉴스] (19) 다나와
올해 라데온 그래픽카드, 뭔가 심상치가 않다?[차트뉴스] (31) 다나와
한 번 쓰면 빠져든다! 복합형 오븐의 세계 [차트뉴스] (19) 다나와
빨래를 안 해도 빨래한 것처럼, 필수 가전의 자리를 노리는 의류관리기 [차트뉴스] (13) 다나와
연초에 사야 지원금 받는다? 음식물 처리기 선택기준 알아보기 [차트뉴스] (14) 다나와
노트북 받침대, 노트북과 건강을 모두 지켜줍니다 [차트뉴스] (14) 다나와
물만 나오는 게 아니라 요즘 직수형 정수기는 이것까지 해줘요! [차트뉴스] (22) 다나와
50 시리즈 나왔는데... RTX 4060의 인기는 계속될 수 있을까? [차트뉴스] (13) 다나와
새학기 학부모님들의 필수 코스~ 복합기! [차트뉴스] (12) 다나와
밥맛은 저에게 맡기세요~ IH압력밥솥 트렌드 알아보기 [차트뉴스] (19) 다나와
스마트기기 대중화로 변화하는 USB 충전기 트렌드 [차트뉴스] (18) 다나와
외산 노트북의 춘추전국시대가 시작되었다! [차트뉴스] (16) 다나와
“공습 경보! 노트북 시장을 재편 중입니다” AI 노트북 [차트뉴스] (27) 다나와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