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2023 트렌드 가전, 전도유망 '로봇청소기'

다나와
2023.01.06. 17:10:54
조회 수
12,818
14
댓글 수
10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사진 출처: 씽크웨이


2020년부터 꾸준히 인기를 끌기 시작하면서 이제는 빨래건조기, 식기세척기와 함께 3대 가전에 당당히 이름을 올린 로봇청소기. 2022년 한 해 동안 가장 사랑받은 로봇청소기는 무엇일까? 2022년 가장 인기 있었던 로봇청소기 트렌드와 함께 올해의 브랜드 대상과, 올해의 로봇청소기 대상까지! 부문별 수상자들을 한 자리에서 만나보자.




★2023 트렌드는 전도유망★


로봇청소기!


사진 출처: 로보락


먼저 로봇청소기 전망을 알아보자. 로봇청소기는 현재 청소기 파트에서 핸디형 청소기에 이어 점유율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직접 손잡이를 잡고 미는 방식의 핸디형 청소기는 가벼운 무게와 간편한 사용성 덕분에 약 43% 점유율로 1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주목할 만한 점은 계속해서 점유율이 줄어들고 있다는 것이다.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청소기 시장 점유율을 살펴보면, 핸디형 청소기는2020년 48.51%에서 2021년 46.87%, 2022년 43.14%로 점유율이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진공청소기와 물걸레청소기 역시 각각 12.57%에서 10.1%, 5.27%에서 3.02%로 점유율이 감소하는 반면, 로봇청소기 만큼은 2020년 12.42%, 2021년 14.39%, 2022년 16.46%로 꾸준히 점유율이 증가하고 있다. 신기술로 무장한 뉴페이스들이 활발하게 등장하는 만큼, 2023년에도 이같은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올해의 청소 방식부문 


"흡입+물걸레겸용"


사진 출처: 샤오미


로봇청소기의 청소 방식은 일반적으로 먼지를 빨아들이는 흡입 방식과 바닥을 걸레질하는 물걸레 방식으로 구분되며, 흡입과 물걸레 청소에 모두 활용할 수 있는 흡입+물걸레겸용 방식의 로봇청소기도 출시되어 있다. 이들 중에서 올해 가장 인기 있었던 올해의 청소 방식은 단연 흡입+물걸레겸용 방식. 특히 2022년에는 합리적인 가격대의 흡입+물걸레겸용 제품들이 많이 등장해 흡입+물걸레겸용 로봇청소기의 팬층을 더욱 굳건하게 만들었다. 



점유율 2위는 흡입 전용 방식이 차지했다. 따로 물걸레질을 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먼지를 빨아들이는 청소기 본연의 기능에 충실하면서 비교적 저렴하다는 것이 강점이다. 이밖에 청소하기 까다로운 유리창 안팎을 깨끗하게 닦아주는 유리창 청소 방식의 로봇청소기도 대략 11%대의 꾸준한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다.


1등 흡입+물걸레겸용: 먼지 청소부터 물걸레질까지 맡겨만 주세요!

2등 흡입전용: 청소기 본연의 기능에 가성비까지 겸비한 성실 후보

3등 물걸레전용: 핸디형 청소기가 있다면? 걸레질만 해줘도 충분~

4등 유리창청소: 꾸준한 마니아층! 고층 유리 나 없이 어떻게 닦을래?





★올해의 센서 부문★


"추락방지센서"


사진 출처: 씽크웨이


올해의 센서 부문에서는 나름대로 치열한 각축전이 펼쳐졌다. 로봇청소기의 핵심이라고도 할 수 있는 매핑 센서가 LDS센서와 ToF센서로 나뉘면서 점유율도 나누어 가졌기 때문. 매핑 센서란 주변 공간을 감지하고 계산하여 지도를 만들어내는 센서로, 로봇청소기가 집안을 헤매지 않고 최적의 경로로 청소할 수 있게 도와준다. ToF센서는 LDS센서보다 정확하게 지도를 만들어내지만, 가격대가 높다 보니 아직까지 11%대 점유율만을 차지하고 있다.



결국 올해의 센서 부문에서는 추락방지센서가 30%에 약간 못 미치는 점유율로 1위를 차지했다. 추락방지센서는 로봇청소기가 계단이나 신발장 등 높은 곳에서 떨어져 고장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도와주는 센서로, 대부분의 로봇청소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다. 2위는 여전히 24%대 점유율을 가진 LDS센서. 고장이 잦긴 하지만, ToF센서와 LDS센서가 함께 탑재된 제품들도 출시되다 보니 여전히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한편 전면에 있는 장애물을 파악하는 장애물인식센서는 15%대 점유율로 3위에 올랐다.


1등 추락방지센서: 역시 가장 중요한 것은 기본!

2등 LDS라이다센서: 살짝 답답하지만 여전한 대중픽

3등 장애물인식센서: 내 앞을 가로막는 장애물을 비켜가려면?

4등 ToF센서: 어두워도 정확하다! 투자할 가치가 있을 걸?





올해의 배터리 용량 부문


"4001mAh 이상"


사진 출처: 엠지텍


로봇청소기 올해의 배터리 용량 부문은 ‘거거익선’이라는 한 마디로 정리할 수 있다. 과거와 달리 5000~6000mAh 대용량 배터리를 가진 로봇청소기가 여럿 출시되면서, 4001mAh 이상의 배터리 용량을 가진 로봇청소기가 무려 77%라는 압도적인 점유율을 차지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는 2001~3000mAh 배터리 용량을 가진 제품이 10% 점유율로 2위를 차지했으며, 나머지는 모두 10%대 미만으로 큰 의미 없는 점유율 싸움을 벌였다. 참고로 5200mAh 배터리 용량은 1회 완충으로 75평 정도의 면적을 한 번에 청소할 수 있다.


1등 4001mAh 이상: 앞으로 5000mAh는 기본이지!

2등 2001~3000mAh: 원룸 정도는 충분해~

3등 1000mAh 이하: 이제는 퇴장할 때 (이하 생략)





올해의 흡입력 부문★


"2001~3000Pa"


사진 출처: 에코백스


올해의 흡입력은 가장 변동이 커서 흥미로운 부문이었다. 2022년 1월까지만 해도 3000Pa 이하 흡입력을 가진 제품들이 54%대 점유율로 1위를 차지하고 있었지만, 2022년 4월부터 5000Pa 이상 흡입력을 가진 제품들이 시장에 등장하기 시작하면서 빠른 속도로 점유율을 내어주고 있기 때문. 2022년 4월 2.17%대로 진입한 5001~6000Pa 제품들은 2022년 12월 점유율을 24.49%까지 끌어올리며, 3000Pa 이하 제품들을 시장에서 밀어냈다.



2022년 초 점유율이 워낙 높다 보니 올해의 흡입력은 2001~3000Pa 제품들이 차지했지만, 2022년 12월에는 이미 절반 가까이 떨어진 27%대 점유율로 29.5% 점유율을 가진 3001~4000Pa 제품들에게 1위 자리를 내어주었다. 2023년에는 보다 강력한 흡입력을 가진 5001~6000Pa 제품들이 크게 선전할 것으로 보인다.


1등 2001~3000Pa: 왕년에 잘 나갔지만, 이제 안녕~

2등 3001~4000Pa: 나 정도면 평균 이상이지?

3등 5001~6000Pa: 흡입력은 강할수록 좋은 것!





★올해의 색상 부문★


"화이트"


사진 출처: 삼성전자


로봇청소기, 2022년에는 어떤 컬러가 가장 인기였을까? 올해의 색상 부분에서는 반전이 없었다. 가전으로 가장 인기 있는 화이트 색상이 약 66% 점유율로 1위를 차지한 것. 2위는 약 10% 점유율을 가진 블랙 색상이 차지했다. 아무래도 스테이션까지 하면 로봇청소기가 집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작지 않다 보니, 무난한 컬러가 인기다. 3위를 차지한 옐로 색상 역시 베이지톤을 기본으로 하는 LG코드제로 로봇청소기 제품들이 대부분이었다.



1등 화이트: 말해 뭐해, 가전은 역시 화이트!

2등 블랙: 조금 더 무게감 있는 컬러를 원한다면?

3등 옐로: 베이지톤으로 집안 분위기를 따뜻하게~






★올해의 브랜드 대상★


"샤오미"


사진 출처: 샤오미


올해의 브랜드 부문에서는 로봇청소기 시장에서 ‘입덕문’을 담당하고 있는 샤오미가 26.81% 점유율로 1위를 차지했다. 일찍이 로보청소기 시장에 뛰어든 샤오미는 부담 없는 가격과 준수한 성능, 깔끔한 디자인으로 수많은 사람들을 로봇청소기의 세계에 입문시켰다.



삼성전자가 21.08% 점유율로 샤오미의 뒤를 바짝 쫓고 있으며, 3위는 마찬가지로 중국의 로봇청소기 브랜드 로보락이 차지했다. 중저가 시장을 공략하는 샤오미와 달리 프리미엄 시장을 겨냥한 제품들을 속속 내놓으면서 13.2% 점유율을 가져갔다. 한편 핸디스틱 청소기 강자인 LG전자는 12.99% 점유율로 4위에 머물렀으며, 국산 브랜드 에브리봇이 물걸레 전용 로봇청소기로 인기를 끌면서 6.22% 점유율로 5위에 올랐다. 2023년에는 이같은 국내 중소 브랜드들의 약진이 기대된다.


1등 샤오미: 로봇청소기 입문은 나야 나~

2등 삼성전자: 삼성의 기술력, 흡입 전용으로 저렴하게!

3등 로보락: 프리미엄 로봇청소기를 찾고 계신가요?

4등 LG전자: 우리 청소기 잘 만드는 거 다 알지?

5등 에브리봇: 한국인이라면 물걸레질 못 참지~






★올해의 로봇청소기★


"샤오미 로이드미 EVER PLUS"



2022년 로봇청소기 영예의 대상은 과연 어떤 제품일까? 2022년 한 해 가장 높은 판매 점유율을 기록한 로봇청소기는 올해의 브랜드 대상을 차지한 샤오미 제품으로, 무려 27.62% 점유율을 차지한 로이드미 EVER PLUS다.



수상자의 ‘스펙’을 하나하나 살펴보면 왜 대상에 올랐는지 그 이유를 쉽게 짐작할 수 있다. 흡입+물걸레겸용 로봇청소기에 추락방지센서, LDS라이다센서, ToF센서를 모두 탑재하였으며, 5200mAh 대용량 배터리에 2700Pa 흡입력과 화이트 컬러까지! 말 그대로 점유율 1위에 오르기 위한 조건을 다 가졌기 때문이다.


블랙 컬러도 출시되어 선택의 폭을 넓혔다


화룡점정은 바로 가격. 이 모든 스펙을 갖추고도 40만 원 후반대의 놀라운 가성비를 선보였으며, 여기에 스마트폰 제어는 물론 자동먼지비움 및 자동충전 기능을 통해 초보자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면서 로봇청소기의 진입 장벽을 크게 낮췄다. 2021년 7월 출시되어 현재는 인기 차트에서 밀려났지만, 샤오미다운 부담 없는 가격과 준수한 성능, 깔끔한 디자인으로 2022년 한 해 큰 사랑을 받으면서 로봇청소기 대상을 차지했다. 계속해서 변화하는 로봇청소기 시장, 2023년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주인공은 과연 누가 될까?




기획, 편집 / 다나와 홍석표 hongdev@danawa.com

글 / 박다정 news@danawa.com

(c)가격비교를 넘어 가치쇼핑으로, 다나와(www.danawa.com)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저작권 안내
크리에이트 커먼즈 저작자 표시 필수 상업성 이용 불가 컨텐츠 변경 불가
저작권 안내
저작권 표시 필수
상업성 이용 불가
컨텐츠 변경 불가
* 본 내용은 위의 조건을 충족할 시, 별도의 허가 없이 사용이 가능합니다.
최신 차트뉴스 전체 둘러보기
1/1
메인보드에 Wi-Fi 기능은 이제 기본 옵션이죠~[차트뉴스] (1) 다나와
치열한 M.2 SSD 시장, 삼성은 내려가고 WD가 뜨는 중! [차트뉴스] (16) 다나와
독보적 색상 표현, OLED TV의 붐은 온다! [차트뉴스] (8) 다나와
인텔 ARC로 재평가받는 노트북의 내장 그래픽 칩셋 [차트뉴스] (7) 다나와
애플은 가성비가 별로라고? 맥북 에어는 다르다! [차트뉴스] (5) 다나와
IP카메라 인기는 24시간 연중무휴! [차트뉴스] (2) 다나와
"쨍하고 해뜰날 돌아온단다~" 대중화의 길 열리는 OLED 모니터 [차트뉴스] (70) 다나와
마우스가 점점 가벼워져요~ 유선일까요? 무선일까요? [차트뉴스] (19) 다나와
올해 라데온 그래픽카드, 뭔가 심상치가 않다?[차트뉴스] (31) 다나와
한 번 쓰면 빠져든다! 복합형 오븐의 세계 [차트뉴스] (19) 다나와
빨래를 안 해도 빨래한 것처럼, 필수 가전의 자리를 노리는 의류관리기 [차트뉴스] (13) 다나와
연초에 사야 지원금 받는다? 음식물 처리기 선택기준 알아보기 [차트뉴스] (14) 다나와
노트북 받침대, 노트북과 건강을 모두 지켜줍니다 [차트뉴스] (14) 다나와
물만 나오는 게 아니라 요즘 직수형 정수기는 이것까지 해줘요! [차트뉴스] (22) 다나와
50 시리즈 나왔는데... RTX 4060의 인기는 계속될 수 있을까? [차트뉴스] (13) 다나와
새학기 학부모님들의 필수 코스~ 복합기! [차트뉴스] (12) 다나와
밥맛은 저에게 맡기세요~ IH압력밥솥 트렌드 알아보기 [차트뉴스] (19) 다나와
스마트기기 대중화로 변화하는 USB 충전기 트렌드 [차트뉴스] (18) 다나와
외산 노트북의 춘추전국시대가 시작되었다! [차트뉴스] (16) 다나와
“공습 경보! 노트북 시장을 재편 중입니다” AI 노트북 [차트뉴스] (27) 다나와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