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드럼세탁기는 언제 많이 팔릴까? [차트뉴스]

다나와
2023.04.03. 13:35:20
조회 수
4,413
15
댓글 수
4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가사 노동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이면서 인류 발전에 큰 역할을 했다고 평가받는 세탁기는 이제 현대인에게 결코 없어서는 안 될 가전제품 중 하나다. 특히 1998년 이후 국내에 선보여진 드럼세탁기는 매년 새로운 기술이 결합되어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다나와 리서치 데이터를 통해 드럼세탁기 차트를 살펴보며, 드럼세탁기 트렌드와 대표 제품에 대해 알아보자.




1년 중 드럼세탁기가 가장 많이 팔리는 시기는?



사계절 내내 사용하는 드럼세탁기는 1년 중 언제 많이 판매될까?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지난 4년간의 드럼세탁기 판매량을 다나와 리서치를 통해 살펴보았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그래프와 같이 봄과 가을철에 높은 판매량을 보이는데 이는 웨딩 시즌과 겹친다. 세탁기가 필수 혼수가전임을 고려하면 납득할만한 상황이다. 특히나 최근 신혼부부들 사이에서 건조기가 혼수가전으로 각광을 받는 만큼 건조기와 세트로 구성할 수 있는 드럼세탁기가 인기를 끌고 있다.


유독 2021년 7~8월에는 평년보다 높은 판매량을 기록했는데 2021년 기록적인 폭염으로 인해 빨래감이 늘어나면서 드럼세탁기 수요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무더운 여름철에는 에어컨을 비롯해 냉장고, 세탁기, 건조기 등의 생활가전 매출이 크게 증가하는 ‘폭염 특수’ 양상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이처럼 세탁기는 우리 생활과 상당히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단독보다 드럼세탁기+건조기 방식이 대세



그렇다면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일반세탁기와 드럼세탁기 점유율은 어떻게 변화해왔을까? 먼저 일반세탁기 추이를 살펴보면 2019년까지 51.5%로 과반수에 이르던 판매 점유율이 점점 떨어지면서 2022년에는 점유율이 42.0%까지 하락했다. 4년간 약 10% 가까이 떨어진 것이다.


드럼세탁기는 2019년 40.5%에서 2022년 29.4%로 약 10% 하락했으나, LG전자 워시타워와 같은 드럼세탁기+건조기 결합 상품이 2019년 8%에서 2022년 28.6%로 크게 증가했다. 이를 통해, 최근 세탁기 구매 트렌드가 세탁기 단독 구매에서 건조기 결합 상품으로 옮겨간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삼성전자에서도 드럼세탁기와 건조기를 일체형으로 구현한 일명 '비스포크 그랑데 AI 원바디'를 올해 안에 출시할 것으로 알려져, 드럼세탁기+건조기 결합 상품은 앞으로도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세탁기에도 불어든 초절전, 친환경 바람



최근 몇 년 사이 난방 요금와 전기 요금이 크게 인상되면서 에너지 소비 효율이 높은 ‘초절전’ 가전제품을 선호하는 소비자가 늘어나고 있다. 드럼세탁기 역시 마찬가지. 소비등급별 드럼세탁기 판매 점유율을 살펴보면 2019년 13.3%에 불과하던 환급대상 등급 점유율이 2020년 29.6%, 2021년 51.2%로 점점 증가하다가 2022년에는 62.7%까지 늘어났다. 2019년 대비 무려 4.7배 이상 뛰어오른 것.


제조사들은 이처럼 고효율 제품을 선호하는 소비 트렌드에 맞춰, 세탁 환경에 따라 전력량을 조절하는 인버터 모터와 AI 기술 등을 활용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인 제품들을 선보이고 있다. 이 밖에도 세탁물을 모아 한 번에 세탁하거나 오염이 심하지 않은 세탁물은 찬물로 세탁하는 방법 등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는 꿀팁들도 소비자들 사이에서 활발하게 공유되고 있다.




빨래는 세탁기, 건조는 건조기로 역할분담



드럼세탁기는 세탁 전용 방식과 세탁 및 건조 겸용 방식 두 가지로 구분된다. 세탁 기능만 지원하는 드럼세탁기는 따로 건조를 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소비전력이 낮아 경제적이며 세탁+건조 기능을 지원하는 드럼세탁기는 세탁부터 건조까지 끝낼 수 있어 간편하지만 건조 기능을 사용할 때 소비전력이 많고 옷감 손상 가능성이 있는 단점이 있다.


드럼세탁기 제품 방식별 점유율 차트를 살펴보면, 세탁 전용 드럼세탁기가 압도적인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음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2019년 85.6%였던 세탁 전용 드럼세탁기 판매 점유율은 2022년 95%까지 올랐는데 건조기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소비자가 많아졌기 때문이다. 특히 드럼세탁기의 시원치 않은 건조 기능에 불만족하는 사람들이 많았고, 제조사에서도 LG 워시타워 같은 드럼세탁기+건조기 결합 상품을 잇따라 내놓으면서 이 같은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LG전자 '타임리스' VS 삼성전자 '비스포크'



대표적인 ‘백색가전’ 중 하나로 손꼽히는 세탁기. 과연 드럼세탁기 시장에서도 백색이 가장 인기일까?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색상별 드럼세탁기 판매 점유율을 살펴보면 2019년 55.8%였던 화이트 색상 점유율이 2022년 63.3%로 약 7.5%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간이 지날수록 화이트 색상에 대한 선호도가 더욱 뚜렷해진 것이다. 반대로 실버 색상은 2019년 38%에서 2022년 24.3%로 점유율이 13.7%가량 크게 떨어진 모습이다.


눈에 띄는 점은 베이지, 그린 등 전에 없던 색상들이 조금씩 등장하고 있다는 점인데 이는 세탁기 국내 시장을 주도하는 LG전자와 삼성전자의 사업 전개 방식 차이에서 파악할 수 있다. LG전자는 세월이 흘러도 유행 타지 않는 ‘타임리스’ 디자인을 추구하며 베이직한 컬러를 선보이고 있는 반면, 삼성전자는 색다른 컬러 포인트로 개성을 드러내는 ‘비스포크’ 디자인을 내세워 베이지, 그린 등 다양한 컬러들을 선보이고 있기 때문.




가슴이 웅장해지는 LG전자와 삼성전자의 드럼세탁기 쟁탈전



주요 제조사별 드럼세탁기 점유율을 살펴보자.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점유율을 보면 ‘백색가전’ 강자인 LG전자가 평균 70% 점유율로 상당한 우위를 점하고 있다. 눈에 띄는 점은 2019년 76.3%에 달하던 LG전자 점유율이 2022년 66.7%로 약 10%가량 떨어지면서 삼성전자 점유율이 그만큼 상승했다는 것이다.


비스포크 시리즈를 비롯한 삼성전자의 신제품들이 꾸준히 인기를 끌며 2019년 16.8%에 불과하던 점유율이 25.4%까지 뛰어올랐으며, 곧이어 드럼세탁기+건조기 일체형으로 된 신제품이 출시되면 시장 점유율은 더욱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드럼세탁기 시장에서 LG전자와 삼성전자의 판매 점유율은 92~93% 수준으로 위니아를 비롯한 다른 제조사들은 매년 0~5%대에서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다.




다나와에서 인기있는 삼성전자 드럼세탁기 BEST 5



1위 / 14.2% / 삼성전자 그랑데 WF21T6000KP (777,310)



2022년 9월부터 2023년 2월까지 최근 6개월간 삼성전자 드럼세탁기 중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 제품이다. 14.2% 점유율로 1위를 차지한 이 제품은 21kg 대용량의 세탁 전용 드럼세탁기로 은은한 실버 컬러를 띠고 있다. 에너지소비효율은 1등급. 강력한 물줄기를 사용해 세탁력을 높여주는 워터샷 기능과 거품을 이용해 세탁 효율을 높이는 버블워시 기능이 포함되었으며 무세제통세척 기능으로 전용 세제 없이도 세탁조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같은 라인업의 건조기가 있을 경우 스마트폰을 통해 건조기와 연동할 수 있고 스마트폰을 통한 원격 제어도 가능하다.



2위 / 12.2% /  삼성전자 그랑데 WF21T6000KW (738,640)



앞서 소개한 제품에서 컬러만 화이트로 변경된 모델이다. 용량과 기능 등이 모두 동일하며 최근 6개월간 판매 점유율은 12.2%로 1위에 오른 제품과 함께 상당히 인기 있는 모델이다. 실버 컬러인 WF21T6000KP, 화이트 컬러인 WF21T6000KW 외에도 블랙 컬러인 WF21T6000KV 모델이 있으며, 색상별로 판매 가격은 조금씩 다르다.



3위 / 9.7% / 삼성전자 WW90T3000KW (432,930)



1인 가구가 사용하기 적합한 9kg 용량의 세탁 전용 드럼세탁기다. 저렴한 가격을 내세워 9.7% 점유율을 차지한 모델로, 성능이나 기능보다는 가성비에 신경을 쓴 모델답게 워터샷, 버블워시, 무세제통세척 기능이 모두 빠져있으며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기능 또한 제공되지 않는다. 에너지소비효율 등급은 4등급. 화이트 컬러로 출시되었다.



4위 / 9.3% / 삼성전자 그랑데 WF19T6000KW (719,740)



점유율 9.3%를 차지한 삼성전자의 19kg 드럼세탁기다. 일반세탁기와 같은 용량이라도 드럼세탁기는 세탁물을 조금 덜 채워야 세탁이 잘 되기 때문에 2~3인 정도에 적합하다. 세탁 전용 모델로 점유율 1위, 2위에 오른 제품과는 용량이 상이하다. 에너지소비효율 1등급에 워터샷, 버블워시, 무세제통세척 기능을 동일하게 갖추었으며, 스마트폰 연동 기능 또한 제공한다. 색상은 화이트.



5위 / 7.4% / 삼성전자 그랑데 AI WF24T8500KV (943,930)



점유율 7.4%를 차지한 삼성전자의 24kg 대용량 드럼세탁기다. AI 기능이 탑재된 모델로, 옷감 무게를 감지하여 정량의 세제와 유연제를 투입하고 오염도에 따라 세탁과 헹굼 시간을 자동으로 조절해준다. 전력은 물론 물과 세제도 아낄 수 있어 경제적이다. 워터샷, 버블워시, 무세제통세척 및 스마트폰과의 연동 기능도 제공되며 에너지소비효율은 1등급, 색상은 고급스러운 블랙이다.




다나와에서 인기있는 LG전자 드럼세탁기 BEST 5



1위 / 13.7% / LG전자 트롬 F15WQA (728,520)



2022년 9월부터 2023년 2월까지 최근 6개월간 LG전자 드럼세탁기 중 가장 많이 판매된 제품이다. 13.7% 점유율로 1위를 차지한 이 제품은 15kg 용량의 세탁 전용 드럼세탁기로 에너지소비효율 1등급에 깔끔한 화이트 컬러다. 전력 효율과 세탁 효율을 높이고 내구성이 좋은 DD인버터 모터를 사용한다. 빨래의 특성을 감지해 맞춤 세탁을 제공하는 AI 기능과 손빨래 기능을 구현한 6모션 기능, 스마트폰 연동 기능 등을 탑재해 부족함 없는 성능을 자랑한다.



2위 / 7.3% / LG전자 트롬 F17WDBP (758,990)



LG전자 드럼세탁기 시장에서 점유율 7.3%를 차지한 제품이다. 세탁 전용 드럼세탁기로 용량은 17kg. 2~3인 가구에 적합하다. DD인버터 모터와 6모션 기능을 탑재하여 전력 효율 및 세탁 효율을 높였으며, 스마트폰 연동 기능은 제공되지만 AI 기능은 제공되지 않는다. 가장 무난하게 잘 어울리는 화이트 컬러에 에너지소비효율 1등급을 획득한 모델.



3위 / 6.9% / LG전자 트롬 F15WQWP (630,290)



2022년 말 출시되어 6.9% 점유율을 차지한 LG전자의 15kg 드럼세탁기다.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한 LG전자 트롬 F15WQA 모델과는 거의 동일한 제품으로, 에너지효율등급 라벨이 변경되면서 새롭게 출시되었다. DD 인버터 모터는 물론 의류 소재와 무게에 따라 맞춤 세탁을 제공하는 AI 기능과 6모션 기능을 모두 제공하며 스마트폰 연동도 가능하다. 에너지소비효율 1등급에 깔끔한 화이트 컬러이며 성능이나 기능에 비해 합리적인 가격대로 나왔다.



4위 / 5.9% / LG전자 트롬 F21VDA (1,044,580)



LG전자 드럼세탁기 시장에서 점유율 5.9%를 차지한 제품이다. 이불 빨래도 가능한 21kg 대용량 드럼세탁기로 세탁 전용이며, DD 인버터 모터와 6모션 기능을 탑재했다. 에너지소비효율은 2등급. AI 기능은 없지만 앞서 소개한 제품들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던 99% 살균 스팀 기능과 알러지케어 기능을 제공하여 어린 아이나 반려동물이 있는 집에 추천한다. 스마트폰과 연동이 가능하며 실버 그레이 컬러로 모던한 느낌을 준다.



5위 / 4.0% / LG전자 트롬 F19WDBU (908,710)



LG전자 드럼세탁기 시장에서 점유율 4%를 차지한 세탁 전용 제품이다. 19kg 용량으로 2~3인 가구에 추천하며 DD 인버터 모터와 6모션 기능을 탑재해 전력 효율과 세탁 효율을 높였다. 에너지소비효율은 1등급. 깔끔한 화이트 컬러로 출시되어 집안 어디에나 잘 어울리며 다른 제품들과 마찬가지로 스마트폰과 연동 기능을 통해 원격 제어도 가능하다.





기획, 편집 / 다나와 최정표 wjdvvy@cowave.kr

글 / 박다정 news@cowave.kr

(c) 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www.danawa.com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저작권 안내
크리에이트 커먼즈 저작자 표시 필수 상업성 이용 불가 컨텐츠 변경 불가
저작권 안내
저작권 표시 필수
상업성 이용 불가
컨텐츠 변경 불가
* 본 내용은 위의 조건을 충족할 시, 별도의 허가 없이 사용이 가능합니다.
최신 차트뉴스 전체 둘러보기
1/1
메인보드에 Wi-Fi 기능은 이제 기본 옵션이죠~[차트뉴스] (1) 다나와
치열한 M.2 SSD 시장, 삼성은 내려가고 WD가 뜨는 중! [차트뉴스] (16) 다나와
독보적 색상 표현, OLED TV의 붐은 온다! [차트뉴스] (8) 다나와
인텔 ARC로 재평가받는 노트북의 내장 그래픽 칩셋 [차트뉴스] (7) 다나와
애플은 가성비가 별로라고? 맥북 에어는 다르다! [차트뉴스] (5) 다나와
IP카메라 인기는 24시간 연중무휴! [차트뉴스] (2) 다나와
"쨍하고 해뜰날 돌아온단다~" 대중화의 길 열리는 OLED 모니터 [차트뉴스] (70) 다나와
마우스가 점점 가벼워져요~ 유선일까요? 무선일까요? [차트뉴스] (19) 다나와
올해 라데온 그래픽카드, 뭔가 심상치가 않다?[차트뉴스] (31) 다나와
한 번 쓰면 빠져든다! 복합형 오븐의 세계 [차트뉴스] (19) 다나와
빨래를 안 해도 빨래한 것처럼, 필수 가전의 자리를 노리는 의류관리기 [차트뉴스] (13) 다나와
연초에 사야 지원금 받는다? 음식물 처리기 선택기준 알아보기 [차트뉴스] (14) 다나와
노트북 받침대, 노트북과 건강을 모두 지켜줍니다 [차트뉴스] (14) 다나와
물만 나오는 게 아니라 요즘 직수형 정수기는 이것까지 해줘요! [차트뉴스] (22) 다나와
50 시리즈 나왔는데... RTX 4060의 인기는 계속될 수 있을까? [차트뉴스] (13) 다나와
새학기 학부모님들의 필수 코스~ 복합기! [차트뉴스] (12) 다나와
밥맛은 저에게 맡기세요~ IH압력밥솥 트렌드 알아보기 [차트뉴스] (19) 다나와
스마트기기 대중화로 변화하는 USB 충전기 트렌드 [차트뉴스] (18) 다나와
외산 노트북의 춘추전국시대가 시작되었다! [차트뉴스] (16) 다나와
“공습 경보! 노트북 시장을 재편 중입니다” AI 노트북 [차트뉴스] (27) 다나와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