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라데온을 먹여 살린 RX 6600, 비결은 무엇일까? [차트뉴스]

다나와
2023.10.30. 15:06:00
조회 수
5,846
22
댓글 수
7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이미지 출처 : Youtube AMD 채널 발췌>


AMD 라데온의 명맥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이젠 라이벌이라고 하기엔 너무 덩치가 커버린 엔비디아의 기세에 기지개도 못 펼 정도로 점유율은 낮지만, 그 안에서 나름 가시적인 성과가 보인다. 최근엔 RX 7900 XTX로 하이엔드 급 시장까지 공략하는 모습이며 DLSS의 대항마, FSR 3까지 발표해 왕년의 기세를 조금이라도 되찾으려는 노력을 어필하고 있다. 그만큼 아직 라데온을 찾는 마니아층이 상당히 존재한다는 뜻이며, 엔비디아의 가격 정책에 반발하는 가성비 지향 층이 유턴을 한다는 뜻일까? 다나와 리서치 자료를 통해 라데온의 현재를 짚어본다. 



지난 1년간 판매된 라데온 계열 그래픽 카드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RX 6600 칩셋 제품이다. 판매량 점유율은 24.57%. 라데온 그래픽 카드 4대 중 1대 꼴이라는 말이다. 그 뒤로 RX 6600 XT 가 17.2%, RX 6650 XT가 11.18% 점유율을 차지했다. 딱 봐도 30만 원 미만 보급형 칩셋이 주류다. 아무래도 라데온 RX 6600의 경쟁 칩셋이라 할 수 있는 엔비디아 RTX 3060급 그래픽카드의 가격이 소비자들이 용납할 수 있는 선을 넘어버린 점이 제일 큰 이유라 하겠다. 



오히려 평균 가격 그래프에선 RTX 3060의 하위 칩셋인 RTX 3050급보다 라데온 RX 6600의 가성비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난다. 1년 전 35만 원대로 출발하던 RX 6600 급 그래픽 카드의 평균 가격은 현재 26만 원대까지 무려 25%나 떨어진 상태다. 이에 비해 RTX 3050 급 그래픽 카드의 평균 가격도 1년 전에 비해 7만 원 정도 떨어져 30만 원대로 진입했으나 RX 6600의 가격 하락 곡선에는 비할 바가 아니다. 성능은 비슷하지만, 20만 원대와 30만 원대의 앞자리가 주는 심리적 부담감은 다르기 때문이다. 


게다가 RTX 시리즈에 실망한 유저들이 GTX 1660 Super로 회귀하는 현상도 잠깐 관측되었으나 워낙 오래된 칩셋이고 비슷한 20만 원대 가격대로 포진되어 있어 그나마 출시된 지 2년밖에 지나지 않은 RX 6600으로 발걸음을 옮긴 소비자들이 꽤 있었으리라 추측된다.



이렇게 라데온을 먹여살린(?) RX 6600 칩셋 그래픽카드 중 인기를 많이 얻은 제품은 무엇일까? 1위는 무려 51.23% 판매량 점유율을 가져간 ASUS DUAL 라데온 RX 6600 D6 8GB 대원씨티에스<237,290>가 차지했다. 과반이 넘는 점유율이 인상적이다. 다른 제품에 비해 약 한 달 정도 늦게 출시되었지만, 1~2만 원 더 가격이 저렴하고 히트파이프가 다른 제품과는 달리 3개라 쿨링 성능에서 좋은 평가를 받은 덕이다. 그 뒤로는 2위 ASRock 라데온 RX 6600 CHALLENGER D D6 8GB 대원씨티에스<247,130>, 3위 MSI 라데온 RX 6600 메크 2X D6 8GB<259,000>, 4위 GIGABYTE 라데온 RX 6600 EAGLE D6 8GB 제이씨현<313,690> 제품들이 따르고 있다. 


<이미지 출처 : AMD 홈페이지>


RX 6600 제품 특성상 부스트 클럭이 동일하고 기판 차이가 거의 나지 않아, 세밀한 가격 책정, 쿨링 솔루션이 경쟁력의 핵심이다. 또한, LOL, 오버워치 등 높은 사양을 요구하지 않는 캐쥬얼 게임 위주로 사용하는 PC는 그래픽카드 가격이 합리적이어야 유리하다. 이런 면에서 RX 6600은 20만 원대 가격과 FHD 환경에서의 적절한 성능, 두 박자가 잘 어우러져   인기를 계속 이어갈 전망이다. 다만 태생적으로 PCIe 3.0 환경에서는 제 성능의 10% 도는 어진다는 것은 꼭 유념하고 구입해야 한다. 



기획, 편집 / 다나와 정도일 doil@cowave.kr

(c) 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www.danawa.com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저작권 안내
크리에이트 커먼즈 저작자 표시 필수 상업성 이용 불가 컨텐츠 변경 불가
저작권 안내
저작권 표시 필수
상업성 이용 불가
컨텐츠 변경 불가
* 본 내용은 위의 조건을 충족할 시, 별도의 허가 없이 사용이 가능합니다.

관련 상품

1/1
최신 차트뉴스 전체 둘러보기
4/1
라이젠 붐은 온다... 인텔 점유율 따라잡아버린 AMD 라이젠 최신 근황 [차트뉴스] (122) 다나와
Next time엔 게이밍 마우스 어때요? I am 인기에요~ [차트뉴스] (7) 다나와
라데온을 먹여 살린 RX 6600, 비결은 무엇일까? [차트뉴스] (7) 다나와
가격 안정화 중인 ‘대용량 M.2 SSD’ 대중화도 성큼 [차트뉴스] (5) 다나와
왕위를 계승하는 중입니다... 대세로 떠오른 와이파이 6 공유기 [차트뉴스] (10) 다나와
냉각성능에 화려함은 덤, ‘LED 냉각팬’ 시장의 현재 [차트뉴스] (5) 다나와
벌써 1년이 지난 RTX 4090, 그동안의 성적표는? [차트뉴스] (114) 다나와
인텔 남바완 CPU는? 코어 i5-13400F가 꽉 잡았다! [차트뉴스] (19) 다나와
CPU가 뜨거울수록 저변 넓어지는 일체형 수랭식 냉각장치 [차트뉴스] (9) 다나와
‘고성능 PC 필수품’ 고효율ㆍ대용량 파워서플라이 시대 활짝~ [차트뉴스] (7) 다나와
이 세상이 거대한 나를 원하고 있어, 빅타워 케이스 [차트뉴스] (3) 다나와
QHD 시대 온다지만 아직은 27인치 FHD가 대세! [차트뉴스] (9) 다나와
어쩔 외장 하드~? 외장 SSD의 붐이 온다! [차트뉴스] (10) 다나와
기승전 녹투아? 저소음·고성능 명품 쿨링팬은 못참지! [차트뉴스] (8) 다나와
은퇴하기에는 아직 일러요~ 초장수 그래픽칩셋 GTX 1660 Super [차트뉴스] (19) 다나와
삼성전자 M.2 SSD, 기분 좋은 역주행? 아니면 집안 싸움? [차트뉴스] (11) 다나와
지금 PC 메모리는 세대교체중! [차트뉴스] (3) 다나와
AMD 라이젠 5세대의 큰 힘 7800X3D, 아직 갈 길은 멀다 [차트뉴스] (6) 다나와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