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주 : 다나와 주간 가격동향은 PC, 가전제품 등 소비자들이 다나와에서 주로 검색하고 소비하는 주요 항목의 실제 판매가격, 판매량 동향을 수집하여 분석하는 콘텐츠입니다. 모든 자료는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에서 운영하는 소비형태통계시스템 '다나와리서치'에 수집된 수치를 바탕으로 합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지난주 기사에서 하락폭이 다소 둔화하고 있다고 언급한 SSD는 2차 세계대전급 가격전쟁을 다시 시작했다. AMD 라데온 그래픽카드 가운데 일부는 여전히 낮은 가격을 유지하고 있다. 특가와는 무관하게 낮은 가격대를 계속 유지할 것인지 지속적으로 관찰해야 한다. 인텔 CPU는 지난주보다 더 크게 올랐다. 그밖에 각 부품의 실제 판매 가격은 어느 정도인지 2018년 9월 4주차 주간 가격동향을 통해 알아보자.
1. 종목 선정 = 해당 주간에 이슈가 될만한 변화가 있는 종목(제품군)
2. 평균 판매가격 = 해당 기간의 총 판매액 ÷ 해당 기간의 총 판매량
3. 다나와리서치에 집계되는 판매액은 실제로 사용자가 상점에 지급한 가격이다.
4. 등락여부 · 등락률(%) · 등락폭(\)은 최근 2주간의 수치를 기준으로 한다.
CPU
▶ 인텔 CPU : 부르는 게 값. 신제품 출시가 필요하다
▲ 인텔 CPU는 14nm 공정을 이용한 제품의 재고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4주째 가격이 오르고 있는 인텔. 이번에도 큰 폭으로 올랐다. i5-8500의 경우 4주전과 비교하면 거의 다른 제품이 아닌가 싶을 정도로 통계상의 평균판매가격이 많이 올라가 있다. 가격이 단기간에너무 많이 변해서 통계시스템에 이상이 있는 것은 아닌지 데이터를 수 차례 확인했을 정도다.
가격 오름에 대항할만한 해결 방법은 신제품 출시. 9000번대 신제품이 출시되어서 높은 가격대를 메우면 상대적으로 성능이 낮아지는 하위 라인업은 자연스럽게 가격이 내려가며 서열정리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AMD CPU : 일단 발을 조금 내밀어 볼까?
▲ AMD CPU의 평균판매가격이 근래 보기 드물 정도로 많이 올랐다
AMD CPU 평균판매가격이 오랜만에 올랐다. 지난 초여름부터 8월까지 한동안 거침 없이 내려가다가 이후 8월~9월 사이 안정기를 거쳐 9월 하순부터는 오름세로 돌아선 것. 오름 폭은 꽤 큰 편이다. 경쟁상대인 인텔 CPU의 가격이 많이 오르다 보니 AMD CPU의 가격이 어느 정도 올라가도 가격 경쟁력이 있기 때문에 시장에서 가격이 오르는 것으로 예측해볼 수 있겠다.
RAM (시스템 메모리)
▶ RAM : 거북이가 엉금엉금, 정신차려 보니 7만원 대
▲ DDR4 8GB PC-19200의 스펙은 현재 시스템 메모리의 표준이다
▲ 시금치(삼성전자 DDR4 RAM의 별명) 가격이 떨어지는 건 좋은 현상이죠(feat. 베어그릴스)
LED가 없는 표준형 DDR4 시스템 메모리. 그 중에서도 기준점 역할을 하고 있는 삼성전자 DDR4 8GB PC4-19200의 평균거래가격이 7만 원대에 안착 중이다. 거북이처럼 조금씩 가고는 있지만 우하향 추세만큼은 확실하다. 6만원 대까지 진입할 수 있을지 길게 보고 관찰해야 한다.
메인보드
▶ 인텔 칩셋 메인보드 : 오락가락 하지만 현상유지 (1)
▲ 재고 부족, 우리와는 무관해요~
메인보드 가격은 한번 자리 잡으면 크게 변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 이벤트나 특가행사 등이 영향을 주어서 조금씩 오르내리긴 하지만 5주간 평균가격과 최근 가격을 비교해보면 거의 다르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나마 특이점으로는 H370이 약 5.5% 가량 올랐다는 것이다.
▶ AMD 칩셋 메인보드 : 오락가락 하지만 현상유지 (2)
늘 그렇듯 AMD칩셋 메인보드도 평온한 모습. B450도 이제 출시한지 1개월이 훌쩍 지나 시장에서 완전히 자리잡은 상태다. 가격대는 실거래 가격 13만 원을 B450 메인보드의 평균 수준으로 보면 될 것이다.
그래픽카드
▶ Nvidia 그래픽카드 : 'RTX폭풍' 편은 다음주로 연기, 그 대신 가격을 내려봤어요
▲ 정체중인 듯하더니 조금씩 내려오고 있다?
엔비디아는 지난 19일 진행된 미디어브리핑에서 2080, 2080Ti를 국내에 공개했고, 이어 20일부터는 RTX 2080의 판매를 개시했다. 대체로 2080은 가격 포지션이 나쁘지 않다는 평이지만 2080 Ti의 경우 예판가격을 예로 들어 가격이 너무 높다는 반응이다. 원래 이번 주 통계에서 RTX 2080의 가격동향을 담을 계획이었으나, 짧은 기간 동안의 통계자료는 결제취소, 환불, 반품 등을 반영하지 못하여 신뢰도가 낮기 때문에 다음 주로 한주 미룬 상태. 차세대 제품이 출시되면서 기존 제품들의 가격이 소폭 내려간 것이 눈에 띈다. 다만 일시적인 현상일 것으로 추정.
▶ AMD 그래픽카드 : "선생님, 롤러코스터가 바닥에서 안 올라가요"
▲ 어..? 다시 오를 줄 알았더니 바닥에서 머무른다?
매번 느끼지만 AMD 그래픽카드쪽 통계는 뭔가 클래스가 남다르다. RX560D는 1개월 전과 비교해서 30% 가량 내려갔고, RX580은 10만 원가량 저렴해졌다. 지난주에 워낙 많이 떨어져서 이번엔 오르겠지 싶었는데 바닥에서 머무르는 모습이 심상치 않다.
SSD : 농약 같은 녀석들, 시즌2
▲ SSD : 그냥 다 같이 흙 퍼먹고 살자!!
잠시 멈칫 하더니 다시 내려가기 시작한 SSD 특급 하행열차. 다 같이 죽자고 가격을 끌어내리는 모습이 니편내편 없이 다 싹을 말려버리는 '독한 농약'을 떠올리게 한다. 약 2개월 사이에 SSD의 가격경쟁력이 엄청나게 좋아지고 있다. 이 기세로 1개월 이상 더 내려갈 경우 스토리지 생태계에 굉장히 큰 파장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 단, 하락세 지속가능 여부는 지켜봐야 한다.
HDD : 우, 우리 뭐라도 해야 하는 거 아냐?
▲ 2TB가 약간 내렸지만 3~4TB는 올랐다
큰 변화가 없는 것이 HDD 시장의 미덕이긴 하지만, 옆 동네(SSD)의 광적인 가격하락 추세를 보면 마냥 가만히 있기는 불안하다. 물론 SSD가 아무리 많이 떨어져도 여전히 가용비는 압도적. 우수한 가용비를 바탕으로 한동안은 현상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획, 글 송기윤 iamsong@danawa.com
(c)가격비교를 넘어 가치쇼핑으로, 다나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