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주 : 다나와 주간 가격동향은 PC, 가전제품 등 소비자들이 다나와에서 주로 검색하고 소비하는 주요 항목의 실제 판매가격, 판매량 동향을 수집하여 분석하는 콘텐츠입니다. 모든 자료는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에서 운영하는 소비형태통계시스템 '다나와리서치'에 수집된 수치를 바탕으로 합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인텔의 글로벌 재고/생산 이슈로 시작된 CPU 가격 오름세가 점차 둔화하고 있다. RAM 가격 하락도 잠시 멈춘 한 주였는데, 그나마 SSD가 꾸준히 가격을 내리면서 사용자들에게 위안이 되고 있다. 엔비디아의 차세대 그래픽카드 '지포스 RTX' 시리즈의 가격 동향도 처음으로 집계 되었다. 그밖에 각 부품의 실제 판매 가격은 어느 정도인지 2018년 10월 1주차 주간 가격동향을 통해 알아보자.
1. 종목 선정 = 해당 주간에 이슈가 될만한 변화가 있는 종목(제품군)
2. 평균 판매가격 = 해당 기간의 총 판매액 ÷ 해당 기간의 총 판매량
3. 다나와리서치에 집계되는 판매액은 실제로 사용자가 상점에 지급한 가격이다.
4. 등락여부 · 등락률(%) · 등락폭(\)은 최근 2주간의 수치를 기준으로 한다.
CPU
▶ 인텔 CPU : 가격 상승도 결국은 한계가 있는 법, 이제 내려갈 일만 남았다?
▲ 인텔 CPU는 14nm 공정을 이용한 제품의 재고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5주 이상 가격이 오르고 있는 인텔. 하지만, 이번엔 게이밍 PC에 주로 쓰이는 주요 제품의 가격 인상 폭이 많이 줄었다. i5-8500은 지난주에 일주일만에 통계상의 평균판매가격이 10만 원 뛰는 기염을 토하더니 이번엔 제자리에 멈췄다. i7-8700K도 최근의 행보에 비하면 이번주는 오름 폭이 크게 줄어 거의 꼭대기임을 짐작하게 한다. 다만, 특이하게도 하위 라인업은 가격이 계속 오르고 있다.
▶ AMD CPU : 대체 수요 몰리며 가격 오르는 듯
▲ AMD CPU의 평균판매가격이 2주 연속 올랐다
AMD CPU 평균판매가격은 2주 연속 상승이다. 대략 3~4% 정도 상승했다. 인텔 CPU의 가격도 가격이지만 시장에서 물건 자체를 구하기 힘들다 보니 대체 수요가 몰리며 가격이 오르는 것으로 예상해볼 수 있겠다.
RAM (시스템 메모리)
▶ RAM : 우리 메모리님이 그럴 리가 없어
▲ DDR4 8GB PC-19200의 스펙은 현재 시스템 메모리의 표준이다
▲ 한참(?) 떨어지더니, 다시 올라가는 걸까?
LED가 없는 표준형 DDR4 시스템 메모리. 그 중에서도 기준점 역할을 하고 있는 삼성전자 DDR4 8GB PC4-19200의 평균판매가격은 7만 원대 후반에서 위기를 맞았다. 꾸준한 우하향 추세로 사용자들의 지지를 받았는데, 이번에 정체가 찾아와서 사용자들의 탄식을 자아내고 있다. 다음 주에도 더 오를 것인지, 혹은 일시적인 반등인지 지켜봐야 한다.
메인보드
▶ 인텔 칩셋 메인보드 : Z370이 꿈틀 했지만 효과는 미미했다
▲ HDD, 파워와 더불어 평온하기로 유명한 메인보드 시장
인텔 칩셋을 사용한 메인보드는 이번 주도 평온한 모습. 5주간 평균가격에서 큰 차이 없이 현상을 유지하고 있다. Z370 메인보드의 전체 평균판매가격이 약 5% 상승한 것은 다소 의외다. 메인보드에 장착할 CPU가 귀한 상황이기 때문.
▶ AMD 칩셋 메인보드 : 고급형이 인기인가?
AMD 칩셋 메인보드도 사정은 마찬가지. 인텔 Z370 칩셋 메인보드의 평균판매가격이 약 5% 올랐다면, AMD는 X470 칩셋 메인보드의 평균판매가격이 올랐다. 그에 비해 하위 라인업은 제자리를 잘 지키고 있다.
그래픽카드
▶ Nvidia 그래픽카드 : 'RTX폭풍' 불어올까?
▲ 지난주와 큰 차이 없는 그래프
엔비디아의 최신 그래픽카드인 RTX 시리즈는 현재 RTX 2080과 RTX 2080 Ti만 출시된 상태다. 2080은 가격 포지션이 나쁘지 않다는 평이지만 2080 Ti의 경우 괴물 같은 성능에도 불구하고 가격이 다소 높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쉽게 접근하기 힘든 제품이 되고 있다. 아직 RTX 시리즈의 다른 제품들은 안 나왔기 때문에 기존 제품들의 가격 하락은 없는 편.
▶ AMD 그래픽카드 : "출시 하던 그날의 초심을 기억 하니?"
▲ 제품을 막 출시하던 그때의 설레임이 느껴지는 가격
AMD 그래픽카드, 특히 RX 500 시리즈의 평균판매가격이 한달새 많이 내려갔다. 특가행사 등으로 전반적인 시세가 내려갔고, 채굴 붐이 꺼지면서 수요도 줄어서 제품 판매 가격이 자연스럽게 하락한 것으로 예상해볼 수 있겠다. 이 정도면 처음 출시하던 때의 가격과 견주어도 손색이 없을 정도.
SSD : 1테라보단 아래쪽을 공략하자
▲ SSD는 가격이 많이 내려온 상태다
SSD의 평균판매가격은 계속 하락 중이다. 2.5인치 SATA방식 1TB에서 가격이 갑자기 오르는 이슈가 있으나 다른 제품들은 모두 하락세를 기록하고 있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고가의 제품이 많이 선택받은 것이 아닌가 예상하게 된다. 지금 당장 SSD를 구매해야 한다면 500GB 정도의 제품이 가성비가 적절해 보인다.
HDD : 우, 우리 뭐라도 해야 하는 거 아냐?
▲ 변화가 거의 없는 상태
HDD는 이번에도 평온한 모습. 2TB의 가용비가 좋아보이고 4TB의 가용비가 상대적으로 안 좋아 보이지만, 여러 개의 1~2TB 제품을 장착하는 것보다 장착 슬롯을 아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니 대용량 시스템을 구축하고 싶다면 4TB 제품에도 관심을 기울여보자.
파워 : 700W대는 이제 흔해졌다
PC 성능이 향상되면서 고사양을 뒷받침할 파워의 중요성이 커졌다. 덕분에 사용자들이 파워 제품을 선택하는 기준도 점차 높아지게 되었다. 한때는 700W대(정격용량 700~799W 사이)의 제품이면 고가의 고급 제품만 찾아볼 수 있었지만, 이제 700W대는 보급형 제품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평균판매가격을 보면 700~799W는 평균 약 8만 7,000원, 800~899W는 약 17만 5,000원으로 격차가 매우 크다. 이제 고급형의 기준이 700~799가 아니라 800~899W가 되었음을 체감할 수 있는 대목이다.
기획, 글 송기윤 iamsong@danawa.com
(c)가격비교를 넘어 가치쇼핑으로, 다나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