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주 : 다나와 주간 가격동향은 PC, 가전제품 등 소비자들이 다나와에서 주로 검색하고 소비하는 주요 항목의 실제 판매가격, 판매량 동향을 수집하여 분석하는 콘텐츠입니다. 모든 자료는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에서 운영하는 소비형태통계시스템 '다나와리서치'에 수집된 수치를 바탕으로 합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다행스러운 소식 한 가지, 인텔 CPU 가격 내림세가 계속 이어지고 있다는 것. 하지만 급등하기 전으로 회복하려면 아직 갈 길이 멀다. GTX 1080 Ti 가격이 내렸다는 소식도 꽤 괜찮다. 반대로 안타까운 소식도 있다. AMD CPU는 평균 판매가격이 올랐다. RAM 가격도 더 내려가지 않고 버티는 중이다. SSD의 가격 내림세가 잠시 주춤하고 있다. 그밖에 각 부품의 실제 판매 가격은 어느 정도인지 2018년 10월 3주차 주간 가격동향을 통해 알아보자.
1. 종목 선정 = 해당 주간에 이슈가 될만한 변화가 있는 종목(제품군)
2. 평균 판매가격 = 해당 기간의 총 판매액 ÷ 해당 기간의 총 판매량
3. 다나와리서치에 집계되는 판매액은 실제로 사용자가 상점에 지급한 가격이다.
4. 등락여부 · 등락률(%) · 등락폭(\)은 최근 2주간의 수치를 기준으로 한다.
CPU
▶ 인텔 CPU : 천리길도 한 걸음 부터
▲ 인텔 CPU는 14nm 공정을 이용한 제품의 재고/생산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인텔 CPU의 가격이 2주 연속 내려가고 있다. 코어 i7-8700K, i5-8500, i3-8100 등 인텔의 주요 CPU 모두에 해당한다. 물론 예전 가격으로 회복되기 위해서는 아직 갈 길이 멀다. 인텔의 재고 부족 사태가 아직 해소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인텔 9000번대 CPU 시리즈가 곧 국내에서도 판매 개시할 예정인 가운데, 향후 인텔 CPU의 가격이 어떻게 변화할지 세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 AMD CPU : 갑작스러운 인기에 당황하는 중
▲ AMD CPU의 평균 판매가격이 조금씩 상승했다
지난주에는 2700X가 한방에 훅 떨어지더니 다시 1주만에 가격이 올랐다. 그밖에도 주요 라인업 모두의 가격이 오르고 있다. 인텔 CPU 가격 고공행진 덕분에 시장에서 대안으로 AMD의 동급 CPU를 찾으면서 AMD CPU의 주가가 오르는 상황. 전반적으로 가격도 덩달아 오르는 모습이다.
RAM (시스템 메모리)
▶ RAM : 우리 메모리 님께서 잠시 쉬었다 가신답니다
▲ DDR4 8GB PC-19200의 스펙은 현재 시스템 메모리의 표준이다
▲ 7만 원대 후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방열판이 없는 기본형 DDR4 시스템 메모리. 그중에서도 기준점 역할을 하고 있는 삼성전자 DDR4 8GB PC4-19200의 평균판매가격이 약간 올랐다. 7만 9천원대를 찍으며 8만 원 돌파에 대한 불안감을 키우고 있다. 메모리 가격 상승과 관련한 뚜렷한 소식이 없는 가운데 가격이 오르면서 판매량도 평소에 비해 다소 줄었다.
메인보드
▶ 인텔 칩셋 메인보드 : 발끈한 H370, 곧 등장하는 Z390
▲ H370이 발끈하며 16만 원을 회복했다
이번 주 동향에서 눈에 띄는 것은 H370인데, 지난 주에 비해 5.35% 평균 판매가격이 올랐다. 판매량 증감이나 신제품 추가 등의 특이점은 없기 때문에 H370 중에서 고급형 제품이 평소보다 조금 더 많이 판매된 것으로 추정된다. 다음 주 가격동향 기사부터는 Z390에 대한 통계도 추가될 예정이다.
▶ AMD 칩셋 메인보드 : 터 잡은 B450 & X470
AMD의 차세대(?) 메인보드라고 할 수 있는 B450과 X470의 가격이 거의 자리를 잡는 모습이다. 가격 변화를 보면 B450은 13만 원, X470은 24만 원 수준에서 오락가락 하고 있는데, 그동안의 가격 변동내역과 '5주간 평균가격'을 비교해 보면 거의 차이가 없다. 신제품 프리미엄 없이 시장에서 가격이 안정적으로 매겨졌다고 볼 수 있겠다.
그래픽카드
▶ Nvidia 그래픽카드 : RTX 폭풍, 드디어 첫 영향력 행사!
▲ RTX 2080과 2080Ti가 추가된 후 GTX 1080 Ti의 가격이 처음으로 요동치고 있다
RTX 2080과 RTX 2080 Ti의 출시 이후 처음으로 GTX 1080 Ti의 가격이 하락했다. 고가 그래픽카드를 구매하는 사용자들이 점차 최신 제품인 RTX 시리즈를 택하는 일이 많아지면서, 판매량과 평균 판매가격에서 모두 GTX 1080 Ti가 RTX 2080에게 뒤쳐지고 있다.
RTX 2070도 각 유통사에서 출시를 시작한 가운데, 가장 수요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메인스트림 등급(2050~2060) 제품들의 가격이 어떻게 결정될 것인지 사용자들이 궁금해 하는 중이다.
▶ AMD 그래픽카드 : 내릴 때도, 오를 때도 항상 드라마틱하게
▲ 변함 없이 다이내믹한 AMD 그래픽카드 가격 통계
RX 560D와 RX 580의 가격이 조금 더 내렸다. 덕분에 처음 출시하던 때와 비슷한 수준, 혹은 그 이하로 맞춰지고 있다. 최근 일부 유통사에서 채굴용 벌크 제품을 초염가에 판매하는 경우가 있어서 조만간 통계상으로 더 큰 변화가 있을 예정이다. RX 580의 가격 통계가 이런 벌크 제품 판매의 수혜를 많이 볼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이번주에도 주인공은 RX 500시리즈가 아니라 VEGA 64가 차지했다. 지난 주에는 1주 만에 -14.5%, 금액으로는 12만 5,000원을 내려가더니 이번엔 다시 +15%, 금액으로는 11만 7,500원을 끌어올렸다. 다만 RX VEGA의 경우 재고도 없고 판매량도 적은 편이기 때문에 작은 변화에도 통계상으로는 크게 요동치는 면이 있다.
SSD : 2.5' SATA 1TB "추진력을 얻기 위해 잠시 숨을 고른 것이다!"
▲ 2주 전 크게 올랐던 SATA 방식 1TB의 가격이 다시 내려가고 있다
여기 사용자들에게 슬픈 소식이 있다. SSD 시장의 무한 가격하락이 멈추고 말았다는 것이다. 큰 폭으로 오르거나 한 것은 아니다. 하지만 약 2개월 이상 꾸준히 가격을 내려온 SSD가 제자리걸음 했다는 것은 사용자들의 단잠을 깨우기엔 충분한 소식이다.
그나마 기쁜 소식도 하나 있으니, 2.5인치 SATA 방식 1TB SSD의 평균 판매가격이 크게 내렸다는 것. 약 4만 원 가까이 내려 30만 원 언저리에 걸려 있는데, 30만 원 선을 무너뜨릴 수 있을지 사용자들의 기대가 커지고 있다.
HDD : 회귀 본능이 거의 옆집 아저씨급
▲ 4TB의 가격이 점차 내려오고 있다가 다시 올랐다
아무래도 HDD 시장은 평균 판매가격 변동을 받아들이지 않는 듯하다. 지난주 이슈였던 4TB의 가격 변동이 한 주만에 다시 제자리로 돌아가면서 거의 (술 한잔 걸친)옆집 아저씨급 회귀 본능을 보여주고 있다. 1TB와 3TB는 거의 변동이 없었고 2TB는 약간 올랐다.
기획, 글 송기윤 iamsong@danawa.com
(c)가격비교를 넘어 가치쇼핑으로, 다나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