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년 KG 그룹의 가족사로 편입된 이후, KG 모빌리티는 글로벌 시장에서 의미 있는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특히, 2024년에는 사상 최대 수출 실적을 기록하며 지난 10년간의 한계를 뛰어넘는 성과를 달성했다. 이는 단순한 판매량 증가를 넘어, 브랜드의 글로벌 입지를 확장하고 제품 경쟁력을 강화한 결과다.
KG 가족사 편입 이후 수출 판매는 꾸준한 성장세를 기록하며 2024년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하였다. 2022년 KG 가족사로 편입된 이후 수출 판매 성장률은 매년 평균 17%에 달하며, 2024년에는 10년 만에 연간 최대 수출 실적을 기록하였다.
곽재선 회장은 해외 제품 론칭 및 시승 행사에 직접 참관하며, 각국 딜러들과 마케팅 전략 및 판매 확대 방안을 논의하는 등 소통 기회를 지속적으로 확대해왔다. 튀르키예, 호주, 뉴질랜드 등에서 KGM 브랜드 및 토레스와 토레스 EVX를 론칭하고, 현지 미디어를 대상으로 시승 행사를 진행하는 등 글로벌 시장 공략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또한, 각국 딜러 및 대리점과 직접 소통하며 KGM 브랜드 및 신제품 개발 계획, 수출 전략, 마케팅 협력 방안을 논의함으로써 다양한 정보 공유의 계기를 마련하였다. 아울러,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KGM 브랜드와 제품을 설명하고, 수출 전략을 알리는 등 기업 이미지를 제고하고 있다.

2022년 7월 국내에서 토레스가 론칭된 이후, 해외 시장에서도 칠레, 파라과이, 사우디아라비아, 폴란드, 튀르키예 등지에서 토레스 및 토레스 EVX를 공식적으로 출시하고 현지 미디어 시승 행사를 성공적으로 진행하였다. 또한, 대리점 대회에서 액티언을 론칭하고 제품 소개를 통해 KGM 브랜드를 적극적으로 홍보하였다.
2024년 9월 개최된 세계 대리점 대회에서는 대리점 시상식과 마케팅 전략을 중심으로 미니 콘퍼런스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대리점 간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판매 및 마케팅 성공 사례를 공유하며 동반 성장을 도모하였다.

특히, 2014년(72,011대) 이후 10년 만에 최대 수출 실적을 기록하였으며, 전년 대비 18.2% 증가하였다. 2020년 이후 수출 판매 실적은 매년 44%, 61%, 16.5%, 18.2%의 증가율을 보이며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주요 판매 차종은 티볼리, 코란도, 토레스, 토레스 EVX, 렉스턴, 렉스턴 스포츠 칸(수출명: 무쏘 그랜드) 등이다.
2021년에는 전기 SUV 코란도 이모션을 해외 시장에 출시하며 유럽 환경 규제를 충족시켜 판매 성장세를 견인하였다. 2022년에는 글로벌 전략 차종인 중형 SUV 토레스를 해외에 출시하며 제품 다양화를 실현하였다. 2024년에는 중형 전기 SUV 토레스 EVX와 쿠페형 SUV 액티언을 해외 시장에 선보이며 수출 시장의 폭을 더욱 넓혔다. 또한, 2024년 독일 현지에 유럽 판매 법인을 설립하고 독일 딜러 콘퍼런스를 개최하는 등 유럽 시장 확대에도 집중하고 있다.

유럽 및 중동, 중남미 등 핵심 글로벌 신흥 시장 판매 확대 지속 추진
유럽 시장에서는 영국 경제의 회복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시장 특성에 따른 Tier별 관리 전략을 통해 2024년 대비 물량 증가를 이루었다. 2024년 현지 판매량은 26,890대로, 2007년 이후 최대 실적을 기록하였으며, 전년 대비 18% 성장하였다. 또한, 유럽 내 판매 공백 지역이었던 포르투갈과 그리스 등 일부 지역에 재진입하여 네트워크를 확대하였다.
2024년 8월 유럽 판매 법인을 설립하여 판매 네트워크의 안정화를 도모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공격적인 마케팅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현지에서 ATL(Above The Line) 및 BTL(Below The Line)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가격 대비 상품성을 강조한 전략을 통해 유럽 시장 내 지속적인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중남미 시장에서는 주요국의 기준금리 안정화 및 인플레이션 완화, 정부 주도의 인프라 개선 정책 확대 등 긍정적인 요인과 함께, 미국 트럼프 정권 출범으로 인한 무역·투자 불확실성 및 현지 화폐 가치 하락 등 불안 요인이 상존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도 신규 차종 투입 및 현지 맞춤형 마케팅 활동, 네트워크 재구축(대리점 교체 등)을 통해 판매 증대를 계획하고 있다.
특히, 주요 시장인 칠레에서는 픽업 차종을 중심으로 Fleet 시장(일반 소매시장 외)을 적극적으로 개척하여 판매 확대를 지속하고 있다. 또한, 2025년 상반기 중 지상고를 증대한 픽업 모델을 런칭하여 중남미 시장의 특성에 맞춘 제품을 출시하고 추가 물량을 창출할 계획이다.

중동 및 아프리카 시장에서는 주력 시장을 중점적으로 관리하는 한편, 대리점 마케팅 강화를 통해 판매량 증대를 도모하고 있다. 주요 시장인 튀르키예, 이스라엘, 이집트를 중심으로 판매 물량 확대를 추진하고 있으며, 신규 시장 개척을 통해 판매 네트워크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또한, 신규 전기차 모델(프로젝트명: O100)을 적기에 론칭하여 EV 라인업을 확장하고 물량을 창출할 계획이다.
CIS 시장 개척 및 특수 사업 확대를 통한 사업 다각화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주력 시장인 카자흐스탄을 중심으로 판매 체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페루 및 인도네시아 등에서는 특수 사업을 확대하여 사업 다각화를 실현하고 있다.
2024년 9월 카자흐스탄과 신규 네트워크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4분기부터 본격적인 판매를 개시할 예정이다. 2024년 4,978대 판매를 시작으로 2025년에는 1만 대 이상 판매를 목표로 하고 있다.
기존 주요 시장인 유럽에서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특히 동유럽/CIS, 중동 등 신흥국가로의 시장 개척을 통해 판매 확대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 수출 9만 대 이상 체제 구축을 위한 판매 확장 전략
2024년 총 판매량 10.9만 대에서 2025년에는 내수 및 수출을 포함하여 13.5만 대를 목표로 규모 성장을 추진하고 있다. 2025년 판매 목표는 2024년 대비 23.4% 증가한 13.5만 대이며, 수출 목표는 2024년 대비 46.7% 증가한 9만 대 이상으로 설정되었다.
수출 비중은 2024년 57%에서 2025년 68% 수준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통해 해외 시장에서의 성장이 중장기 목표 달성 및 경영 정상화의 중요한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2025년에는 동유럽/CIS, 중남미, 아시아·중동 지역을 중심으로 신흥 시장 개척을 확대하고 신규 디스트리뷰터 발굴 및 CKD 사업 확대 등을 통해 신흥 시장 중심의 진출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지속적인 성장 달성을 위한 경쟁력 강화 및 글로벌 시장 확장 전략
지속적인 성장을 달성하기 위해 글로벌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는 동시에 공격적인 마케팅 전략과 지역별 특성화 전략, 신시장 개척을 추진하여 판매 역량을 더욱 확대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대형 신규 시장 개발 및 특수 사업 증대를 통한 사업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해외 서비스 역량을 강화하고 고객 만족도를 높이는 다양한 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해외 서비스 역량 강화를 위해 지역별 부품 센터를 활용한 적기 부품 공급 체계를 구축하고, 거점별 트레이닝 센터를 통해 지역별 특성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또한, 글로벌 부품 판매 네트워크를 새롭게 개발하고, 신규 사업으로 액세서리 개발 및 장착 운영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토레스 및 액티언 하이브리드 제품 출시를 통해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의 캐즘(Chasm)을 극복하고, 신차 O100 및 상품성 개선 모델 등의 성공적인 론칭을 위해 사전 마케팅 기획을 진행하고 있다. 프로젝트명 O100과 하이브리드 제품(토레스, 액티언), 상품성 개선 모델을 해외 시장에 출시하여 제품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
또한, 브랜드 강화 전략을 추진하는 한편, 딜러 및 디스트리뷰터 재구축과 판매 활성화를 도모하여 해외 시장 내 입지를 공고히 할 계획이다.

KD사업 지속 강화
KD(Knock-Down) 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며, 주요 시장에서 현지 생산을 통해 판매를 증대할 계획이다.
● 사우디아라비아(SNAM): 공장 건설이 완료되었으며, 2025년 6월 현지 생산을 목표로 2025년 2월부터 생산 설비 설치를 시작할 예정이다. 2025년 6월부터 생산을 개시하며, 2025년 8천 대, 2026년 1만 5천 대 판매를 목표로 하고 있다.
● 베트남: 2025년 2월부터 공장 건설을 시작하여 2026년 4월부터 현지 생산을 진행할 예정이다. 2026년 1만 5천 대 판매를 목표로 하고 있다.
● 인도네시아: 렉스턴 롤링 샤시를 활용하여 국방부향 군용차 제작 사업을 확대할 예정이며, 롤링 샤시 현지 조립 생산을 통해 2025년 2천 5백 대를 시작으로 점진적인 물량 증대를 계획하고 있다.
● 페루: 국방부 산하 조병창(FAME)과 협업하여 무쏘 그랜드를 현지 조립 방식으로 관공서 판매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24년 400대를 시작으로 2025년에는 2천 대 판매를 목표로 하며, 엠뷸런스 특장 개발을 통해 사업을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
● 방글라데시: 현지 조립 사업을 통해 2025년 시장 진출을 예정하고 있다.
이와 함께 KD 신규 시장 개척을 위해 동유럽, 아시아 지역 및 남미 지역으로 KD 사업을 확장하고, Fleet 및 사업 다각화 시장에 진출하여 지속적인 성장 동력을 확보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수출 체제를 9만 대 이상으로 구축하고, 해외 판매를 지속적으로 확대함으로써 중장기적인 성장과 경영 정상화를 달성할 계획이다.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