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텔란티스가 자체 개발한 첫 번째 자율주행 시스템인 ‘STLA 오토드라이브 1.0(STLA AutoDrive 1.0)’을 공개했다. 이 시스템은 핸즈프리(Hands-Free) 및 아이즈오프(Eyes-Off) 기능을 갖춘 최초의 자체 개발 기술로, SAE 레벨 3 자율주행을 지원한다. 도시 교통을 위해 설계되었지만, 최대 94km/h(59mph)의 속도로 작동할 수 있다고 밝혔다.
스텔란티스는 STLA 브레인(STLA Brain) 및 STLA 스마트 콕핏(STLA Smart Cockpit)과 함께 이번 자율주행 시스템이 차량의 인공지능(AI), 자동화 기능, 사용자 경험을 한층 발전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STLA 오토드라이브는 최대 60km/h(37mph)의 속도로 자율주행이 가능하며, 특히 가다 서다를 반복하는 교통 체증 상황에서 운전자의 부담을 줄이도록 설계되었다고 설명했다.
이 시스템은 모든 주행 상황에서 자동으로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도로 조건이 충족될 경우 활성화할 수 있다. 운전자는 시스템 사용 가능 여부를 알리는 알림을 받은 후, 물리적 버튼을 눌러 시스템을 활성화할 수 있다. 시스템이 작동되면 차량의 속도를 조절하고, 안전 거리를 유지하며, 조향과 제동을 매끄럽게 관리한다고 스텔란티스는 설명했다.
또한, 최대 95km/h(59mph)의 속도에서는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이 활성화되며, 레벨 2(핸즈온) 및 레벨 2+(핸즈오프, 아이즈온) 모드에서 차선 중앙 유지 기능을 제공한다. 자동화된 센서 세척 시스템이 포함되어 있어, 센서와 카메라의 성능을 유지하고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스텔란티스에 따르면, 이 시스템은 고급 센서 기술을 통해 주변 환경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야간이나 가벼운 비, 도로에 물이 튀는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자율주행 기능이 탑재된 지프 왜고니어 S의 사진에서는 차량 지붕에 별도의 라이다 센서가 돌출되어 있지 않아, 센서와 카메라가 차체에 자연스럽게 통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부 모델에는 확장된 오프로드 자동화 기능이 적용될 예정이지만, 구체적인 도입 일정과 대상 모델에 대한 정보는 공개되지 않았다.
스텔란티스는 이 시스템이 확장 가능한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구축되어, 전 세계 시장에 맞춰 조정될 수 있으며, 자사 브랜드 전반에 걸쳐 순차적으로 적용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한, 클라우드와 연결되어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OTA) 및 실시간 데이터 통합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스텔란티스는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개발에 대해 신중한 접근을 취해왔지만, 전기차와 자율주행 기술 강화를 위해 두 개의 신규 테스트 센터를 설립하며 연구개발을 본격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