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인공지능 게임 그래픽 보정ㆍ가속 기술의 빛과 그림자

2025.03.17. 10:35:13
조회 수
322
10
댓글 수
3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게임 그래픽 기술이 발전하면서 현실 수준에 가까운 품질을 제공한다. 이미지는 게임 퍼스트 디센던트의 스크린샷 / 출처=IT동아
게임 그래픽 기술이 발전하면서 현실 수준에 가까운 품질을 제공한다. 이미지는 게임 퍼스트 디센던트의 스크린샷 / 출처=IT동아

[IT동아 강형석 기자] 3D 그래픽 기술이 발전하면서 혜택을 보는 분야 중 하나가 게임이다. 좋은 이야기와 게임 자체의 즐거움 외에도 자연스러운 그래픽이 더해져 보는 즐거움까지 제공하기 때문이다. 특정 게임은 게임 내 그래픽이 사진영상 수준에 도달했을 정도다. 하지만 뛰어난 게임 그래픽 이면에는 높은 하드웨어 처리 능력이 필요하다. 단순 그래픽 처리 외에도 ▲부드러운 화면(고주사율) ▲고해상도 출력 등 변수가 많아진 게 이유다.

게이밍 환경은 빠르게 변하고 있지만, 2년~3년 주기로 출시되는 그래픽 처리장치는 발전이 더디다. 2025년 1월 출시된 지포스 RTX 5090만 하더라도 실제 하드웨어 성능 향상은 지포스 RTX 4090 대비 20%~30% 수준에 불과하다.

하드웨어 성능 향상은 제한적이지만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은 이어지고 있다. 그중 하나가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한 것이다. 그래픽 출력 품질을 높이는 것 외에도 그래픽 효과 처리에도 관여하면서 게이밍 경험 향상에 도움을 주고 있다.

‘인공지능’ 하드웨어 제한을 극복, 최적의 게이밍 환경을 구축하다

지난 2018년, 엔비디아는 지포스 RTX 20 시리즈 그래픽카드를 출시하면서 그래픽 처리장치(GPU) 내에 인공지능 연산 기능을 담았다. 인공지능을 그래픽 효과 가속에 활용하기로 한 것이다. ‘딥 러닝 슈퍼 샘플링(DLSS – Deep Learning Super Sampling)’ 기술이 이때 등장했다.

초기 DLSS 기술은 화면 처리 능력이 부족했지만, 학습을 거듭하며 꾸준히 개선됐다. 지포스 RTX 40 시리즈 그래픽카드에는 3세대 DLSS 기술이 적용됐는데, 화면을 부드럽게 출력하는 ‘프레임 보간(Frame Generation)’ 기능을 추가해 게이밍 경험을 한 단계 높였다.

AMD는 ‘FSR(FidelityFX Super Resolution)’ 인공지능 게이밍 처리 기술을 쓴다. 선명도를 높이고 프레임 보간 기술을 더해 높은 해상도에서 쾌적한 게이밍 경험을 제공한다. ‘플루이드 모션 프레임(AFMF – AMD Fluid Motion Frames)’ 기술은 드라이버 자체에서 프레임 보간 기술을 지원한다.

후발 주자인 인텔은 ‘Xe 슈퍼 샘플링(XeSS – Xe Super Sampling)’ 인공지능 그래픽 처리 기술을 적용했다. 인텔 Xe 설계 기반 ▲인텔 내장 그래픽 ▲아크 그래픽카드 등에서 사용 가능하다.


고해상도와 실시간 그래픽 처리 등 그래픽 처리장치에 걸리는 부담이 커졌다. 인공지능 기술 도입에 적극적인 이유다 / 출처=IT동아
고해상도와 실시간 그래픽 처리 등 그래픽 처리장치에 걸리는 부담이 커졌다. 인공지능 기술 도입에 적극적인 이유다 / 출처=IT동아


인공지능을 활용한 해상도 확대(업스케일링) 및 프레임 보간 기술을 도입한 이유는 방대한 그래픽 처리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함이다. 과거와 달리 QHD(1440p)~4K(2160p) 해상도 이상 환경에서 게임을 즐기는 게이머가 증가한 것도 이유다.

풀HD 해상도(1920 x 1080)에서 4K 해상도(3840 x 2160)로 게이밍 환경이 바뀔 경우 단순 데이터 처리량은 4배 이상 증가한다. 처리화면 영역이 4배 확대되기 때문이다. 그래픽카드에 걸리는 부하는 그 이상이어서 현존하는 고성능 그래픽카드로도 4K 해상도를 원활히 처리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처리 데이터가 정해진 그래픽 효과가 아닌 실시간 처리가 요구되는 그래픽 효과는 하드웨어 부하가 더 크다. 광선추적(레이 트레이싱) 기술이 대표적이다. 실제 광원의 위치와 효과에 따라 데이터를 실시간 처리하기에 그래픽 처리장치에 큰 부하가 걸린다. 대부분 그래픽 처리장치는 저해상도 광원 효과를 해상도에 맞춰 확대할 때 발생하는 왜곡 현상(노이즈)을 인공지능으로 제거하는 형태로 활용한다.

인공지능 그래픽 보정ㆍ가속 기술은 모두를 위한 게 아니다

화면을 부드럽게 만들거나(프레임 보간) 출력 품질을 높이는(화질 향상) 등 인공지능 기술로 게이밍 경험을 개선하는 것이 자연스럽게 느껴진다. 문제는 모든 게이머가 동일한 경험을 할 수 없다는 점이다. 이는 그래픽카드 등급과 세대 등으로 분류할수록 심해진다.

엔비디아 지포스 그래픽카드를 예로 들자. 엔비디아는 지포스 RTX 20 시리즈 그래픽카드부터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했다. 지포스 RTX 20 시리즈에 적용된 인공지능 그래픽 처리 기술은 화질 개선에 초점을 뒀다. 광선 추적 효과도 인공지능으로 처리했다.

하지만 지포스 RTX 40 시리즈 그래픽카드 출시 이후 인공지능 기술 지원 기조가 달라졌다. 해당 그래픽카드에서만, 인공지능 프레임 보간(Frame Generation) 기술이 적용됐기 때문이다. 같은 인공지능 가속 기술을 갖춘 지포스 RTX 20ㆍRTX 30 시리즈 그래픽카드는 이 기술을 지원하지 않았다. 인공지능 가속 능력이 떨어진다는 게 이유였다.


엔비디아 DLSS MFG 기술은 RTX 50 시리즈 그래픽카드만 지원한다 / 출처=엔비디아
엔비디아 DLSS MFG 기술은 RTX 50 시리즈 그래픽카드만 지원한다 / 출처=엔비디아


지포스 RTX 50 시리즈 그래픽카드가 출시되면서 엔비디아는 인공지능 프레임 보간 기술을 개선했다. 기존 프레임 출력량을 2배에서 4배로 높인 ‘딥 러닝 슈퍼 샘플링 다중 프레임 생성(DLSS – Multi Frame Generation)’기술을 적용한 것이다. 그러나 DLSS-MFG 기술은 지포스 RTX 40 시리즈 그래픽카드에서 지원하지 않는다. 인공지능 성능 부족이 이유였다.


AMD의 FSR 기술도 4세대는 라데온 RX 9000 시리즈부터 지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 출처=AMD
AMD의 FSR 기술도 4세대는 라데온 RX 9000 시리즈부터 지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 출처=AMD


AMD도 라데온 RX 7000 시리즈까지 제공하던 FSR 기술을 라데온 RX 9000 시리즈를 선보이며 새로 업그레이드했다. 그래픽 처리장치 설계를 새로 구성하며 머신러닝 기술을 접목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라데온 RX 9000 시리즈 그래픽카드 이전 제품은 새 인공지능 기술을 쓸 수 없다.

이렇게 그래픽카드에 적용된 기술 수준이나 기본기 등에 따라 인공지능 기술 적용 범위가 다르다. 모두가 인공지능 기술을 쓰는 게 아니지만, 상대적 박탈감을 느낄 수 있다. 기능이 있는 데 쓰지 않는 것과 없어서 못 쓰는 것은 분명한 차이가 있다.

한계 있지만, 발전 가능성은 충분해

인공지능 그래픽 처리 기술은 장점과 한계가 뚜렷하다. 먼저 모든 게임에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되는 게 아니다. 게임 개발사에서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해야 사용 가능한 구조다. 인공지능 화질 개선 기술은 2018년 전후에 출시된 게임은 대부분 지원하지만, 프레임 보간 기술까지 쓰는 게임은 100개 전후로 많지 않다. ▲엔비디아 ▲AMD ▲인텔은 지원 게임 수를 확대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다만, 그래픽카드 세대에 따라 지원하는 기술이 다르므로 게이머 경험에는 차이가 있다.


파이널 판타지 7 리버스는 2025년 1월 출시됐지만, 인공지능 프레임 보간 기술은 지원하지 않는다. 모든 최신 게임이 인공지능 기술을 전부 지원하지 않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 출처=IT동아
파이널 판타지 7 리버스는 2025년 1월 출시됐지만, 인공지능 프레임 보간 기술은 지원하지 않는다. 모든 최신 게임이 인공지능 기술을 전부 지원하지 않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 출처=IT동아


장점은 다양한 장비에서 최적의 게이밍 경험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데스크톱과 달리 ▲노트북 ▲모바일 기기는 크기와 전력 소모 등의 이유로 성능 구현에 제약이 있다. 이를 인공지능으로 극복, 최적의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기술 개발에 속도가 붙을수록 게이밍 경험에 큰 변화가 있을 전망이다.

IT동아 강형석 기자 (redbk@itdonga.com)

]]>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최신 일반뉴스 전체 둘러보기
1/1
대원씨티에스, 몬스터헌터 와일즈 게임 코드 증정 이벤트 연장 진행 다나와
‘해킹사고’ SKT, 유심 무료 교체 결정…“이심으로 바꿔도 될까요?” IT동아
화물 운송 마을택시 ㆍ수용응답형 전세버스... 운송 서비스 규제 확 풀린다 오토헤럴드
김민규, 인천서 열리는 LIV골프 코리아 출전…세 번째 한국 선수 연합뉴스
앤트로픽 CEO “2027년까지 AI 모델 내부 완전 해석 목표” AI matters
퍼플렉시티 CEO "사용자 온라인 활동 전체 추적해 '초개인화' 광고 판매할 것" (1) AI matters
백악관, AI 정책 대중 의견 1만 건 공개… 저작권·무역 관세 등 논쟁 촉발 AI matters
Meta AI 챗봇 미성년자 성적 대화 논란, '신뢰성 위기' 직면 다나와
오픈AI, 진정한 '오픈' AI 모델 공개 준비... 클라우드 모델과 연동 기능 탑재 예정 AI matters
아카데미, 'AI로 만든 영화도 오스카상 수상 가능하다'...인간의 기여도는 여전히 고려 다나와
SK온, 美 전기차 스타트업 '슬레이트' 배터리 공급...2도어 전기 픽업트럭에 탑재 오토헤럴드
기아, 1분기 역대 최대 매출 경신… 10분기 연속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 오토헤럴드
현대차·기아·현대모비스, 선임사외이사 도입… 이사회 독립성·투명성 강화 오토헤럴드
르노, 전동화 호조 1분기 판매량 6.5%↑... 한국, 그랑 콜레오스 효과로 선전 오토헤럴드
"사막을 달려야 트럭" 타타대우모빌리티 막시무스와 더쎈, 중동 시장 론칭 오토헤럴드
한국토요타, 모터스포츠 짜릿함 체험 '2025 보령·AMC 페스티벌’ 참가 오토헤럴드
한국타이어 후원, 이슬라스 카나리아스 랠리 '토요타 가주 레이싱 팀' 우승 오토헤럴드
미니 모토 레이스 '2025 혼다 원 메이커 레이스’ 시즌 첫 라운드 개최 오토헤럴드
슬레이트 오토, 2만 달러 이하 전기 픽업트럭 공개 (1) 글로벌오토뉴스
[영상] 새로운 시대의 AMG, 메르세데스-AMG E 53 하이브리드 4MATIC+ 에디션1 글로벌오토뉴스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