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근 발표한 자동차 부품 고관세 정책과 관련해 일부 유예 가능성을 시사하며, 기존의 강경한 무역 정책에서 다소 유연한 태도로 전환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관세 관련 질문에 “나는 매우 유연한 사람”이라며, “어느 정도의 유연성이 필요하다. 누구도 그렇게 엄격해서는 안 된다”고 언급했다. 이는 관세를 협상의 수단으로 활용하겠다는 의도로 해석되며, 향후 일부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 면제 조치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3월 수입 자동차에 대해 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오는 5월 3일부터는 수입 자동차 부품에도 동일한 수준의 관세를 적용할 방침이다. 다만, 최근 트럼프 대통령은 4월 14일 일부 자동차 업체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히며, 기존 입장에서 한발 물러선 태도를 보였다.
블룸버그 통신은 이러한 입장 변화가 GM, 포드 등 미국 주요 자동차 제조업체들의 요청에 따른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들 기업은 수입 부품에 대한 관세가 제조 원가 상승으로 이어질 것을 우려해 정부에 지속적으로 로비를 펼쳐왔다.
미국 상무부 자료에 따르면, 미국의 자동차 부품 수입 중 약 40%는 멕시코에서, 캐나다를 포함하면 북미 지역 비중은 50%에 이른다.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 발효 이후 미국 자동차 업체들은 북미 내 저렴한 인건비와 물류 효율성을 이유로 멕시코와 캐나다에 생산 거점을 확대해왔다.
트럼프 행정부의 고관세 정책은 미국 내 부품 생산을 유도하고, USMCA 조건을 충족해 무관세 혜택을 받도록 하는 것이 목표지만, 업계는 복잡한 글로벌 공급망 구조와 생산 이전에 따른 비용 부담 등을 이유로 현실적인 어려움을 호소해왔다.
정확한 면제 조치의 적용 범위와 기준은 아직 발표되지 않았으나,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정책이 일정 부분 조정될 가능성이 커졌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트럼프 #자동차관세 #미국무역정책 #수입차부품 #GM #포드 #USMCA #자동차산업 #고관세정책 #공급망이슈 #무역갈등 #백악관정책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