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탁주제조협회(이하 서울탁주)가 설립 63주년을 맞아 막걸리 대중화와 세계화를 위한 행보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 1962년 서울 지역 51개 양조장이 모여 출범한 서울탁주는 전통 생막걸리의 정체성을 계승하면서도 현대적 감각을 더해 대한민국 대표 막걸리 브랜드로 자리 잡았다.
서울탁주 소속 양조장들은 3대 이상 가업을 이어온 곳이 많으며, 조선주조사에 따르면 가장 오래된 ‘무교양조장’은 1909년부터 막걸리를 빚어 117년의 역사를 자랑한다. 서울탁주는 이러한 유구한 전통을 바탕으로 ‘진짜 생막걸리’의 가치를 지키면서 현대적인 생산 방식을 도입해 품질 향상과 생산성을 높여왔다.
![]() |
||
▲ 서울장수 ‘장수 생막걸리’(사진=서울장수 제공) |
대표 제품인 ‘장수 생막걸리’는 1996년 출시 이후 신선함을 핵심 가치로 삼아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막걸리로 자리매김했다. 과거 가양주로 빚어지던 생막걸리는 소비기한이 5일을 넘기기 어려웠지만, 현대에는 콜드체인 시스템 발달로 유통기한이 연장되었다. 그러나 장수 생막걸리는 신선함을 유지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14일 유통 원칙을 엄격히 적용하고 있다. 이는 효모가 가장 건강한 상태를 유지해야 생막걸리 본연의 맛을 전달할 수 있다는 철학에서 비롯된 것이다. 일반적인 생막걸리의 소비기한이 30일인 것과 비교하면 상당히 짧은 기간이지만, 이는 117년 전 한양 막걸리의 전통을 계승하는 브랜드로서 신선한 막걸리를 제공하겠다는 의지를 반영한 조치다. 또한, 소비자가 신선함을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제조일자를 표기하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서울탁주는 막걸리의 신선도 유지를 위해 다양한 혁신을 거듭해왔다. 1978년 국내 최초로 막걸리 페트병 포장을 도입해 유통 방식을 개선했으며, 자동제국기와 대량생산 시스템을 구축해 품질 균일화와 생산성 향상을 동시에 확보했다. 또한, HACCP(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을 전 제조장에 도입하여 소비자가 언제 어디서나 신선한 생막걸리를 즐길 수 있도록 했다.
소비자층 확대를 위한 제품 다변화도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서울탁주 산하의 서울장수주식회사(이하 서울장수)에서 생산하는 ‘월매’는 살균막걸리 중 유일하게 연 매출 100억 원을 기록하며, 2023년 기준 누적 판매량 1억 병을 돌파했다. 또한, 프리미엄 유자 막걸리 ‘달빛유자’는 2024년 기준 전년 대비 매출이 80% 증가하며 젊은 소비자들에게 현대적이고 세련된 막걸리로 자리 잡았다. 최근에는 밤 원물을 활용한 신제품 ‘달밤장수’를 출시해 색다른 막걸리 경험을 제공하고 있으며, MZ세대를 겨냥한 허니버터아몬드주, 얼그레이주 등 다양한 플레이버 막걸리도 선보이고 있다.
서울장수는 국내뿐 아니라 해외 시장에서도 막걸리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해외 소비자 취향에 맞춘 ‘월매 복숭아맛’, ‘월매 청포도맛’ 등을 출시하며 전통주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으며, 스트릿 패션 브랜드 오베이(OBEY)와 협업해 젊은 층을 겨냥한 한정판 제품을 선보이는 등 막걸리 대중화와 세계화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서울장수는 서울탁주제조협회 창립 63주년을 기념해 오는 2월 14일까지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을 통해 SNS 이벤트를 진행한다. 창립기념일 축하 댓글을 남긴 참여자 중 추첨을 통해 한정판 각인 막걸리잔, 편의점 교환권 등 다양한 경품을 증정할 예정이다. 자세한 내용은 서울장수 인스타그램 계정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서울탁주 관계자는 “63년 동안 서울탁주제조협회가 막걸리를 통해 대한민국 전통주 문화를 이어오고 사랑받을 수 있었던 것은 소비자들의 성원 덕분”이라며 “막걸리는 단순한 술을 넘어 한국 술의 역사와 문화를 대표하는 상징이다. 앞으로도 전통을 기반으로 한 혁신을 지속하며 한국을 넘어 세계에서도 사랑받는 술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서울탁주제조협회는 1962년 2월 1일 서울의 51개 양조장이 힘을 모아 출범했으며, 1980년 서울탁주제조협회로 명칭을 변경했다. 이후 2009년 산하 법인으로 서울장수주식회사를 출범시켜 국내외 막걸리 시장에서 입지를 더욱 확장해나가고 있다.
ⓒ 뉴스탭(http://www.newstap.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