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전기차 제조업체 BYD가 프리미엄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 '신의 눈(God’s Eye)'을 출시했다. 창안자동차는 지능형 업그레이드를 위한 세부 로드맵을 담은 '두베 2.0(Dubhe 2.0)' 전략을 발표했으며, 리 오토는 3년 내 레벨4 스마트 주행 솔루션을 탑재한 자율주행차 출시를 예고했다. 또한 샤오펑은 올해 말까지 레벨3 자율주행 시스템을 선보일 계획이다.
최근 등장한 오픈소스 대규모 언어 모델 딥시크(DeepSeek)의 영향으로 중국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지능형 자동차 시대를 앞당기겠다고 선언하며 경쟁을 본격화하고 있다. 이는 2년 전 오픈AI가 생성형 AI를 공개했을 당시처럼, 마치 모든 것이 가능하다는 듯한 발표가 잇따르는 분위기다.
이들은 대규모 연구개발(R&D) 투자와 기술 개발 계획을 공개하며 자신들의 전략을 뒷받침하고 있다. BYD는 5,000명 이상의 엔지니어로 구성된 지능형 주행 부문 팀을 운영하고 있으며, 2024년 1~3분기 연구개발 투자액이 전년 동기 대비 34% 증가한 333억 위안(약 45억 6,000만 달러)에 달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리 오토는 연간 100억 위안 이상의 R&D 투자액 중 절반가량을 인공지능(AI)에 집중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4개의 AI 전담 팀을 설립했다고 강조했다.
중국 내 애널리스트들은 딥시크 도입이 지능형 주행 시스템의 훈련 속도를 가속화하고 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중국증권저널은 "이로 인해 자동차 제조업체들 사이에서 고급 지능형 주행 시스템의 보급률이 높아지고, 소비자들도 보다 쉽게 해당 기술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이러한 움직임은 미국 기업들이 보여 온 주주 자본주의 모델을 중국 자동차 업계에서도 재현하는 모습으로도 해석된다. 기업들은 미래 청사진을 제시하며 대규모 투자를 정당화하고 있으며, AI를 중심으로 한 신기술 도입을 빠르게 추진하고 있다.
딥시크는 단순히 엔비디아와 같은 AI 반도체 기업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중국 자동차 산업에도 새로운 성장 모멘텀을 제공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다만, 이 기술이 소비자들이 실제로 받아들일 수 있는 수준까지 발전할 수 있을지 여부는 여전히 지켜봐야 할 부분이다.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