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아가 2025 EV 데이를 통해 선보인 전동화 전략은 전기차 시장의 흐름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겠다는 강한 의지를 담고 있다. "전동화 시장의 흐름 전환(Turn the tide)"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에서 기아는 새로운 양산 모델인 EV4와 PV5, 그리고 콘셉트 EV2를 공개하며 전기차 대중화를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제시했다. 특히, 전기차 플랫폼과 소프트웨어, 그리고 제조 방식의 혁신을 강조하며 기아가 전동화 시장을 선도하는 브랜드로 자리매김하려는 전략을 명확히 했다.

기아는 전동화 시장에서 차별화된 전략을 펼치기 위해 단순한 전기차 개발을 넘어 새로운 기술과 모빌리티 솔루션을 적극 도입하고 있다. 기존 내연기관 중심의 자동차 산업이 점진적으로 전기차로 전환되는 가운데, 기아는 단순한 전기차 출시를 넘어 소비자의 실생활과 비즈니스 환경에서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번 EV 데이를 통해 공개된 EV4, PV5, 콘셉트 EV2는 이러한 기아의 전략적 방향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모델이다.

EV4는 기아가 출시한 첫 번째 전동화 세단으로, 전기차 시장의 SUV 중심 트렌드를 넘어 세단형 전기차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준중형(글로벌 C 세그먼트) 전동화 세단으로 개발된 EV4는 기존의 내연기관 세단과 차별화된 혁신적인 디자인과 첨단 기술을 갖췄다.
EV4는 81.4kWh 롱레인지 모델과 58.3kWh 스탠다드 모델로 운영되며, 기아 전기차 라인업 중 가장 높은 5.8km/kWh의 복합전비를 기록했다. 이를 통해 1회 충전 시 최대 533km를 주행할 수 있는 성능을 갖추고 있으며, 350kW급 초급속 충전을 지원해 충전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했다.
또한, EV4는 공력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공기역학적 설계를 도입했다. 공기저항계수 0.23을 달성했으며, 휠 갭 리듀서, 공력 휠, 능동 냉각 시스템을 활용해 에너지 효율성을 높였다. 여기에 최신 커넥티비티 기술과 OTA(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기능을 적용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했다.

기아는 EV 데이에서 PBV(Purpose-Built Vehicle) 비즈니스 전략을 공개하며, 단순한 자동차 제조를 넘어 맞춤형 모빌리티 솔루션 제공업체로 변모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기아는 PBV의 핵심 기술로 E-GMP.S 플랫폼을 공개했으며, 이 플랫폼을 기반으로 다양한 산업군에 적합한 맞춤형 차량을 개발하고 있다.
PBV 전략의 첫 모델인 PV5는 다목적 활용성을 극대화한 중형 PBV로, 패신저, 카고, WAV(휠체어 접근 차량) 등 다양한 형태로 출시될 예정이다. 기아는 PBV 시장에서 고객의 요구를 반영한 특장 사양을 직접 제공함으로써 시장 내 경쟁력을 확보하고, 제조 공정을 유연화하여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에 맞춰 생산할 계획이다.
또한, 기아는 삼성전자와의 협업을 통해 스마트싱스 프로(SmartThings Pro) IoT 플랫폼을 PBV 차량에 접목하고, 차량과 사업장의 사물 인터넷 생태계를 연결하는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려 하고 있다. 이러한 혁신적인 접근은 단순한 전기차 제조를 넘어 자동차를 하나의 서비스 플랫폼으로 변화시키는 기아의 비전을 보여준다.

콘셉트 EV2는 도심 운전에 최적화된 소형(글로벌 B 세그먼트) 전기 SUV로, 기아의 글로벌 시장 확대 전략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모델이다. EV2는 콤팩트한 크기에도 불구하고 프론트 트렁크와 폴딩 기능이 적용된 2열 시트를 통해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했다.
디자인 측면에서도 스타맵 시그니처 라이팅을 적용해 미래지향적인 감각을 강조했으며, 기술적으로는 무선(OTA)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기능과 V2L을 지원하는 등 상위 차급에서 볼 수 있던 기능을 적용했다. 기아는 2026년 유럽 시장을 시작으로 콘셉트 EV2의 양산형 모델을 출시할 계획이다.

기아가 EV 데이를 통해 발표한 전략과 모델들은 단순히 전기차를 출시하는 것이 아니라 전동화 시대를 주도하는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EV4를 통해 전동화 세단 시장을 개척하고, PV5를 통해 맞춤형 모빌리티 솔루션을 제공하며, 콘셉트 EV2로 도심형 전기 SUV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 기아의 목표다.
또한, PBV를 통해 단순한 자동차 제조업체가 아닌 모빌리티 솔루션 기업으로 변화하려는 기아의 움직임은 자동차 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중요한 시도가 될 것이다. 향후 기아의 전동화 전략이 시장에서 어떤 반응을 얻게 될지 관심이 모이고 있으며, 이러한 접근이 글로벌 EV 시장에서 기아의 입지를 더욱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