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세돌 9단도 기존 바둑 프로그램보다 엄청나게 진보된 인공지능의 능력을 경험한 뒤 깜짝 놀랐을 것이다. 그런데 이번 대국은 프로그램을 테스트하는 과정의 일환이지 인간과 인공지능의 대결로 몰아가는 건 좀 알맞지가 않은 것 같다. 사람과 동등한 선에 놓고 비교하는 건 좀 무리가 있다.

성석제 소설가
알파고를 관찰한 결과 연산 능력이 떨어지는 것 같아 보였다. 일반적인 바둑프로그램이 보이는 반응이 그렇다. 자신이 가진 논리를 벗어나는 수에 대해선 대응을 못하는데 그것이 한계다. 인간에겐 이런 한계가 발전할 수 있는 계기로도 작용하는데 인공지능은 그렇지 못하다. 4국에서의 이세돌 9단의 승리는 이러한 인간의 강점을 잘 보여준 것이다.
인공지능이 보편화 된 시대가 오더라도 인간은 인간 본연의 가치와 자신의 정체성을 가지고 살아갈 것이다. 편리하게 효율을 도모할 때 사용하는 도구가 인공지능이다. 우리가 톱이나 도끼가 장작을 쪼개는데 있어 인간보다 효율적이라 해서 인간보다 위대한 존재로 여기진 않는다. 인공지능은 인간의 생활을 편리하게 하는 보조적 기능을 하는데 그칠 것이고 그게 합당한 것이다.
심민관 기자 bluedragon@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