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아웃도어 장비탐구-기능성 소재

바끄로
2013.05.11. 01:09:36
조회 수
2,298
3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미국의 고어텍스를 필두로 독일의 심파텍스, 국내 업체도 소재개발에 나서

 


▲ 아웃도어가 주말 여가문화로 성장하면서 기능성 의류에 대한 판매도 증가하고 있다 

 

아웃도어 제품의 가격 거품 논란이 폭주하면서 정말 비싼 돈을 주고 산만큼의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일부 마니아들은 비슷비슷한 기능인데 브랜드값에 따라 가격이 달라진다는 의견을 내는 이들도 있다. 이에 이번 호에는 기능성 소재에 대한 탐구에 들어가 보기로 했다. <편집자>

 

등산 의류는 야외에서 주로 사용하는 만큼 방풍과 방수의 기능을 갖춘 기능성 소재를 사용한 제품이 대부분이다. 또한 이 같은 기능성 소재를 사용하기에 아웃도어 의류는 고가라는 인식이 팽배해왔다. 하지만 제품의 가격이 하루가 다르게 상승하면서 기능성 소재에 대한 회의와 가격에 대한 불만이 쏟아지고 있다. 이에 각 업체에서 재킷이나 의류에 즐겨 사용하는 아웃도어 소재에 대한 기능성 여부를 따져보았다.

 

 

 

▲ 이벤트 소재로 만든 재킷.

사실 우리나라는 미국이나 유럽에 비해 고어텍스에 대한 맹신이 강한 나라다. 유럽의 경우, 고어텍스보다 심파텍스나 등의 소재를 즐겨 사용하는 나라도 있으며 이웃 일본 역시 극우업체가 개발한 소재를 사용하기도 한다. 등산용 재킷이나 신발에 기능성 소재를 이용하는 원리는 매우 간단하다. 몸에서 생성되는 습기를 배출해야 땀에 젖지 않을 것이며 외부의 빗방울로 인해 옷이 젖지 않아야 저체온증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점을 고안해 탄생한 것이 기능성 소재다.

 

일반적으로 빗방울이나 물방울의 크기는 100~3000마이크론(㎛) 정도며 산행이나 트레킹 시 신체에서 나오는 열기로 인한 수증기의 크기는 0.0004마이크론 정도다. 이는 신체의 열기를 밖으로 배출하고 외부의 빗방울이 스며들지 않기 위해선 빗방울보다 작고 수증기보다 크기만 하면 된다. 만약 0.1~10마이크론 정도의 작은 구멍을 가진 소재일 경우, 빗물이 들어오진 않겠지만 몸의 습기는 밖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

 

따라서 이런 작은 구멍들을 많이 가진 소재인 경우, 방수와 방풍 기능을 동시에 유지할 수 있게 되는 셈이다. 기능성 소재란 이런 미세한 구멍을 가진 천에 활동적인 측면인 경량성과 신축성 등을 첨가한 것이다.

 

● 고어텍스

 

 

 

▲ 고어텍스 소재의 기능성 설명.

고어텍스는 테플론계 수지를 가열해 늘려서 많은 수의 작은 구멍이 생긴 엷은 막으로 이 막을 나일론 천에 접착한 것이다. 고어텍스는 1제곱인치당 0.2㎛(마이크로미터, 1㎛는 10,000분의 1㎜)크기의 90억 개 이상의 미세한 구멍이 나 있는 얇은 막으로, 500㎛인 이슬이나 3000㎛인 비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비해 불소수지의 미세한 구멍의 크기에 의해 0.004㎛의 크기인 수증기 입자는 자연스럽게 옷 밖으로 방출되는 것이다.

 

고어텍스 소재는 두 겹과 세 겹짜리로 나뉘며 어떤 기능성을 추가하는가에 따라 이름이 달라진다. 고어텍스 프로쉘 소재는 기존에 고어텍스 소재에 투습 기능을 대폭 향상시킨 것으로 무게가 가볍고 내구성 또한 우수하다.

 

고어텍스 엑티브 쉘은 운동량이 많고 가벼운 운동에 적합하도록 투습성이 극대화된 제품으로 고강도 유산소 운동을 하는 사람들에게 적합한 소재다. 고어텍스는 2레이어와 3레이어로 나누는 데 두 겹은 나일론 원단에 불소수지막을 코팅한 것이며, 세 겹은 두 겹에 얇고 부드러운 망사원단을 더한 것이다.

 

● 하이벤트

노스페이스에서 내놓은 하이벤트는 방수와 방풍, 투습 기능이 우수한 기능성 소재다. 하이벤트는 무공질 피막구조로 기존의 천 코팅 방법이 아니라 불수소지를 이용한 DWR(Durable ater Repellency)처리한 것으로 방수기능을 강화한 것이다. 하이벤트는 수십만 개의 미세한 구멍과 신축성 뛰어난 막을 통해 내부의 습기를 배출하고 외부의 빗물을 차단한다.

 

하이벤트 역시 고어텍스와 마찬가지로 천의 구멍이 물방울의 입자보다 작기 때문에 습기는 배출하고 빗물은 막는 것이다. 고어텍스와 다른 것이 있다면 멀티 레이어와 폴리우레탄 공법을 이용해 방수기능을 높였다는 것이다.

 

하이벤트의 장점은 막 자체가 신축성이 뛰어나 피막이 균열할 가능성이 적다는 점이다. 따라서 하이벤트는 다른 소재에 비해 투습 기능을 장시간 지속시켜줄 수 있다. 하이벤트 2.5레이어는 기존 막에 얇은 도트막을 입힌 것으로 안감을 사용할 필요 없이 홑겹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 이벤트

 


▲ 이벤트 소재의 기능성 설명. 

 

90년대 말부터 등장하기 시작한 이벤트 소재는 로우알파인이나 에코로바 등에서 사용하곤 했다. 고어텍스와 이벤트 멤브레인은‘e-PTFE’라는 똑같은 소재를 막으로 사용한다. 따라서 두 소재는 동일하다고도 할 수 있지만 가장 큰 차이는 후처리 방식이다. 고어텍스는 방수력을 높이기 위해 e-PTFE 막에 폴리우레탄 코팅을 하지만 이벤트는 소재는 자체가 방수가 처리돼 있어 코팅 과정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벤트 소재는 유럽에서 널리 사용되는 기능성 소재로 장점이라면 투습원단에 코팅 과정 없이 사용하는 만큼 고어텍스 소재에 비해 투습력이 더 우수하다는 것이다.

 

● 심파텍스

 


▲ 심파텍스의 기능성 설명. 

 

1985년에 개발된 심파텍스는 고어텍스와 쌍벽을 이루는 소재다. 고어텍스가 물 입자보다 작은 구멍을 통해 빗물을 막고 땀을 밖으로 배출시키는 데 반해 심파텍스는 구멍이 없는 방수투습 원단으로 물을 그대로 미끄러져 나가게 하는 원리다.

 

고어텍스와 심파텍스의 또 다른 차이는 친수성 분자와 발수성 분자의 혼합 배열을 통한 삼투압 방식으로 땀을 배출시킨다는 점이다. 심파텍스는 화학적 분자 삼투압 방식을 이용한다. 심파텍스의 막은 유독성이 없는 100% 자연적으로 분해되는 친환경 소재로 유럽에서는 70%정도가 사용하고 있다. 심파텍스는 막의 두께가 5마이크론 정도의 아주 얇은 필름으로 친환경 소재라 피부에 유해하지 않고, 재생이 가능하다.

 

● 옴니드라이와 옴니히트

컬럼비아스포츠웨어코리아가 개발한 옴니히트와 옴니드라이는 방수와 투습, 통기성 등을 모두 갖추고 있으며 외부의 물을 차단하고 밖으로 땀을 배출한다. 옴니드라이는 살아 숨 쉬는 막으로 불리며 악천후에서도 신체 활동을 하기 적합하다. 옴니드라이는 고어텍스에 비해 얇고 가벼운 것이 장점으로 빠르게 습기를 배출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옴니히트는 뛰어난 열반사 보온 기술로 혹독한 한파 속에서도 극한의 보온력을 발휘한다. 이 기술은 일반 안감보다 20% 정도 따뜻하며 불필요한 열기와 땀은 옷 밖으로 배출시켜준다. 옴니히트는 은박을 의류 안에 둘러서인체에서 나오는 장파를 반사시켜 몸을 데우는 역할을 하는 기술을 적용한 것이다.

 

● 네파 엑스벤트

고어텍스와 비슷한 미세한 구멍을 이용해 빗물을 차단하고 수증기를 배출하도록 한 것이다. 물 분자보다 작고 수증기보다 큰 미세한 구멍을 통해 완벽한 방수는 물론 옷 속의 땀을 직접 배출하는 투습기능을 갖췄다. 네파의 엑스벤트는 외부 변화에 따라 습도를 조절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 국내 업체가 하이벤트와 엑스벤트 소재를 이용해 만든 재킷.

 

● 힐텍스

힐텍스는 심파텍스처럼 무기공의 아주 얇은 막으로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테르에 얇은 막을 입힌 것이다. 힐텍스는 친수성 소재로 방수압 40,000㎜, 투습량 30,000이라는 뛰어난 기능을 자랑한다. 힐텍스는 인체에서 발생하는 땀을 신속하게 밖으로 배출하며 외부의 빗물은 차단한다.

 

● 크론텍스

크론텍스는 두 겹의 막 구조로 최대 투습도 22,659g/㎡, 내수도 10,000㎜HO 이상의 기능성을 지닌 소재다. 크론텍스는 기존의 기능성 소재에 비해 내구성이 우수하며 세탁하기도 편하다.

 

[ 출처 : 바끄로 http://www.baccro.com ]

< 저작권자 ⓒ 바끄로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최신 일반뉴스 전체 둘러보기
1/1
기업의 63%가 '중요하다'고 말하는 2025년 AI 에이전트 시장 4대 핵심 트렌드 AI matters
'당신의 감정까지 읽는다' 눈 깜빡임부터 감정까지 모방하는 AI 로봇 혁신 기술 AI matters
애플, 사파리에 AI 검색엔진 도입 추진… 구글 독점 구조 흔드나 AI matters
오픈AI, 각국 정부와 손잡고 AI 인프라 확장 나선다…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본격화 AI matters
넷플릭스, 생성형 AI 기반 검색 도구 도입… 10년 만에 홈 화면 개편 AI matters
사이버 공격에 AI까지 가세…2025년 위협 대응은 '속도와 지능' 싸움 AI matters
맥킨지가 밝힌 AI 마케팅의 미래는? 생성형 AI로 완성하는 5단계 개인화 마케팅 전략 AI matters
챗GPT가 바꾸는 교실의 미래… 교수와 학생이 알아야 할 새로운 학습의 법칙은? AI matters
AI 시대의 정보 과잉, 우리 뇌는 '오버히팅' 중? 사회적 인지 과부하의 실체와 해법 AI matters
시장조사 전문가들이 AI는 받아들이면서 합성 데이터는 거부하는 이유 AI matters
일론 머스크, 오픈AI 소송 유지한다 … "오픈AI 구조 개편안은 본질적 문제 해결 못해" AI matters
앤트로픽, 과학 연구자들에게 무료 API 크레딧 지원하는 'AI for Science' 프로그램 시작 AI matters
구글, iOS용 AI 기능 ‘심플리파이’ 공개… 복잡한 웹 텍스트 쉽게 풀어준다 AI matters
메타, '라마 프롬프트 옵스' 오픈소스 공개... LLM 프롬프트 자동 최적화 도구 주목 AI matters
구글, "웹사이트 운영자가 AI 학습 거부해도 검색 AI는 콘텐츠 학습한다" 고백 AI matters
아마존서 AI로 만든 건강 관련 도서 판매해 논란… “허위정보 많아” AI matters
LET 대회 2연패 김효주 "30대의 시작…올해 메이저 우승 목표" (1) 연합뉴스
1년 7개월 만에 컷 통과 박성현 "자신감 얻어…우승 향한 과정" 연합뉴스
김효주, 유럽여자골프 아람코 챔피언십 2년 연속 우승(종합) 연합뉴스
김효주, 유럽여자골프 아람코 챔피언십 2년 연속 우승 연합뉴스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