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데일리카 김지원 기자 ] 현대모비스는 해외 AS법인의 현지인 매니저들과 본사 담당자들 간에 화상회의 형식의 직 소통 채널을 구축해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고 30일 밝혔다.
미주, 유럽, 중동 등 해외 12개 AS법인의 현지 외국인 매니저 50여 명과 본사 관련 부서 임직원 30여 명이 화상회의 시스템을 통해 매달 직접 만나 회의를 개최키로 한 것이다.
통역 없이 영어로만 진행되는 사이버상 회의는 앞으로 매월 마지막 주마다 정기적으로 개최되며, 국가별 시차 등을 고려해 오전과 오후 두 차례로 나뉘어 실시된다. 전 세계 물류관리 현장과 고객들이 제기하는 문제점을 실시간으로 개선해 나가기 위해 관련 부문의 임원급 실장들도 직접 회의에 참석한다.
기존 해외 매니저들의 목소리는 1차로 현지 주재원들이 취합해 2차로 각 지원 부서를 거쳐야만 본사의 해당 부서 담당자에게 전달됐으나, 이번에 전 세계 현지 매니저들과 본사 담당자들이 한 데 모여 회의할 수 있는 채널을 마련함으로써, 기존 2단계에 이르는 중간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아예 없애고 직접 소통할 수 있게됐다. 현대모비스는 이러한 소통 혁신을 통해 문제 개선 속도를 높이는 것은 물론, 글로벌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실시간으로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 3~4월 열린 시범운영 회의에서 제기된 57건의 안건 중 절반에 가까운 25건은 회의 종료 이후 즉시 조치를 통해 한 달 안에 개선 작업이 바로 이뤄졌으며, 주요 시스템이나 정책 개선 등 시간이 소요되는 나머지 안건들도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개선해 나가고 있다.
현대모비스의 이러한 노력은 최근 현대차그룹이 집중하고 있는 글로벌 브랜드 경쟁력 강화와도 맥을 같이 한다. 완성차 판매 이후 AS에 대한 고객만족도가 재구매율 등 브랜드 충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만큼, 신속 정확한 AS부품 공급을 통해 고객만족 극대화를 꾀하기 위한 차원이다.
현대모비스는 앞으로 글로벌 AS 서비스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카테고리 별로 각 개선항목을 세워 전략적 투자를 단행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54개에 이르는 글로벌 거점을 2020년까지 60여개로 확대하는 ‘물류거점 확충’▲지역별 중요성에 따라 물류센터를 재정비하고, 저순환재고부품을 통합 관리하는 ‘물류합리화’▲지난해 시베리아 횡단철도로 순정부품 운송기간을 약 40% 단축한 것처럼 각 지역에 맞는 새로운 운송방식을 발굴하는 ‘운송방식 개선’ 등이 대표적이다.
현대모비스 해외서비스 부품담당 손찬모 이사는 “국내는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도 원활하고 신속한 부품 공급으로 현대기아차 고객들이 AS에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할 것”이라면서 “인프라 개선에 더해 해외 법인과의 직접 소통 채널을 마련한 것도 완벽한 AS 서비스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 기사제보/보도자료 help@dailycar.co.kr
~ 대한민국 1등 자동차 뉴스 채널 데일리카 http://www.dailycar.co.kr
~ 본 기사를 인용하실 때는 출처를 밝히셔야 하며 허락없는 기사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 관련기사 ]
▶ 현대차, 호주서 토요타 제치고 ‘판매 질주’..그 이유는?
▶ 르노삼성, 전기차 SM3 Z.E. 부산서 ‘에코 투어’..친환경 관광
▶ 쉐보레, 이번엔 대전서 신형 말리부 바람몰이..마케팅 강화
▶ 르노삼성, QM6 9월 출시..싼타페·쏘렌토에 정면 도전
▶ 현대모비스, 대리점과 ‘안전보건 파트너십 협약’ 체결..상생강화
▶ 임영득 현대차 해외공장지원실 부사장, 현대모비스 대표로 승진
▶ 직장인 60%, ‘후배 잘못 대신 책임지는 선배 모습’에 큰 감명